은행
‘환승저축’ 시즌 또 오나…청년도약 vs 청년미래적금 비교해보니[김윤주의 금은동]
- 납입액 70만원 vs 50만원, 만기 5년 vs 3년
이번엔 ‘도약’보다 ‘미래’가 더 현실적일까
금융‧은행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글로벌 확장 등 내부 목표는 물론, 주요국 금리인상 등 외부 요인도 영향을 끼칩니다. 횡령, 채용 비리와 같은 다양한 사건들도 발생합니다. 다방면의 취재 중 알게 된 흥미로운 ‘금융 은행 동향’을 ‘김윤주의 금은동’ 코너를 통해 전달합니다. [편집자주]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저축에도 ‘환승’이 있다면, 그 시즌이 곧 다가온다. 내년 6월 출시를 앞둔 청년미래적금이 올해 말 막을 내리는 청년도약계좌의 뒤를 잇는다.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한 만큼, 청년들 사이에서는 ‘이번엔 어떤 통장을 선택해야 할까’를 두고 셈법이 복잡하다.
정부는 청년층의 목돈 마련 사다리를 잇기 위해 ‘청년미래적금’을 내년 6월 선보인다. 3년간 월 최대 5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의 6%를 기여금으로 얹어주는 구조다. 청년층의 초기 자산 형성에 집중된 상품으로, 특히 중소기업 취업 청년과 청년 소상공인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청년미래적금 가입대상은 만 19~34세 중 연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소상공인의 경우 연매출 3억원 이하 조건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월 50만원씩 3년간 납입하면 일반형의 경우 정부기여금 108만원(6%), 중소기업 취업 청년은 우대형으로 최대 216만원(12%)을 지원받는다.
앞서 윤석열 정부에서도 청년들을 위한 정책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했다. 2023년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까지 5년을 유지하면 최대 5000만원 안팎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이다. 가입 대상은 만 19~34세로, 청년미래적금과 동일하지만 가입 소득 범위가 더 넓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조건은 개인 연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다. 가입 청년이 월 최대 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2만1000~3만3000원의 기여금을 얹어준다. 기본 이자에 더해 비과세 혜택까지 적용돼, 연 9%대 금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출범 초반 반응은 뜨거웠다.청년도약계좌 출시 2년 만에 누적 가입자 200만명을 돌파했지만, 긴 만기와 높은 납입액은 청년층에게 만만치 않은 부담이었다. 실제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율은 빠르게 상승 중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서민금융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율은 16.5%에 달한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230만명 가운데 38만명이 통장을 깬다는 의미다. 중도해지율은 2023년 8.2%, 2024년 14.9%로 계속 오르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청년도약계좌보다 만기 기간을 짧게 하고 납입 부담을 낮춘 ‘청년미래적금’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려는 모습이다. 현 정부는 기존 도약계좌 가입자에게 상품 선택권을 부여하기 위해, 두 상품 간 갈아타기 등 연계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앞서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할 때도 직전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과의 연속성을 고려해, 이른바 ‘환승저축’ 흐름을 만들어낸 바 있다.
기준금리 하락기를 맞아 안정적으로 목돈을 모으고자 하는 청년들의 고민은 여전하다. 여유 자금이 충분하고 장기 저축이 가능한 이들에게는 도약계좌가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다. 반면 매달 납입액이 부담스럽거나 단기간 내 자금 활용 계획이 있다면, 미래적금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케어젠 ‘CG-P5’ 美 임상 1상 CSR 수령 일정 내달 30일로 연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헉' NBA 감독이 불법 스포츠 베팅 혐의라니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3941.59 최고치 마감…삼전·하닉 시총 1000조 돌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개미만 모르는 위험신호...국민연금, LG화학에 비공개 경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中 이노벤트 초대형 딜에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중항체에 쏠리는 눈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