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우지 파동’ 잊어라…삼양식품, ‘삼양1963’으로 흑역사 정면 돌파 [우지의 귀환]①
- 36년 만에 ‘우지 라면’ 부활
초심 통해 미래 의지 전해
[이코노미스트 강예슬 기자] "‘삼양1963’은 단순한 복고 제품이 아닙니다. 삼양식품의 창업 정신을 현대적으로 되살린 상징이며 명예의 복원이자 진심의 귀환입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지난 11월 3일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삼양 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라며 “삼양식품의 정신을 잇는 새로운 출발점이자 선언”이라고 강조했다.
출시 전부터 화제…“우지는 ‘진심’의 재료”
이날 삼양식품은 약 60년 전 출시된 삼양라면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차세대 라면인 삼양1963을 공개했다.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삼양 브랜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프리미엄 미식 라면이다. 과거 삼양라면의 핵심 재료였던 ‘우지’(牛脂·소기름)를 사용해 출시 전부터 화제를 모았다.
1960~80년대 중반까지 점유율 70%대로 국내 라면 시장 1위였던 삼양식품은 1989년 이른바 '우지 파동'을 계기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공업용 우지로 면을 튀겼다는 익명 투서가 검찰청에 전달되고 언론 보도를 타면서다.
당시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가 자체 조사를 통해 기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고, 몇 년 뒤 법원에서도 무죄 판결을 내렸지만 우지 라면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우지 파동 사건이 발생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 만인 이날 삼양식품은 우지를 활용한 신제품을 통해 브랜드의 정통성 계승과 기술 혁신 의지를 내비쳤다.
김 부회장은 “우지는 삼양라면의 풍미를 완성하던 진심의 재료였다”면서 “정직의 상징이자 삼양식품이 추구해 온 ‘진정한 맛의 철학’”이라고 설명했다.
“시아버지 한 풀었다”…김정수 부회장 ‘울컥’
삼양식품은 신제품 발표 장소를 삼양식품의 출발점인 남대문시장 근처로 정했다. 1963년, 삼양식품 창업자인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은 남대문시장에서 ‘꿀꿀이 죽’으로 끼니를 해결하던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했다.
김 부회장은 “전 명예회장이 강조했던 ‘식족평천’(食足平天·먹는 것이 족하면 천하가 태평하다)이라는 단어가 삼양식품의 시작”이라며 “삼양식품은 ▲굶주림의 시대에 음식으로 ▲위기의 시대엔 정직으로 ▲풍요의 시대에는 문화로 언제나 시대의 허기를 채워 왔다”고 전했다.
그는 “우지 사건으로 공장에 불이 꺼지고 수많은 동료가 떠나야 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절치부심’(切齒腐心·이를 갈고 마음을 썩이다) 했다”면서 “소비자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 한 그릇 한 그릇 마음을 담은 노력과 진심의 시간이 '불닭볶음면'이라는 세계적인 브랜드로 부활했다”고 언급했다.
삼양1963 출시 소감을 묻자 김 부회장은 "한때 상상하지 못할 큰 어려움을 겪었던 삼양식품이 이제는 K-푸드의 상징이자 글로벌 브랜드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삼양1963을 통해 시아버지인 전 명예회장이 품었던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 싶어 울컥하고 그분의 정신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가슴의 울림이 크다"고 답했다.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이사도 "익명의 투서 한 장에서 시작된 우지 파동으로 한 기업이 무너질뻔한 사실이 너무 안타깝다”면서 “36년이 지난 지금 삼양1963을 세상에 선보인 이유는 과거의 잘잘못을 따지기보다 그 시간을 통해 배운 경험을 미래로 이어가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삼양1963 프로젝트를 준비하며 자주 전 명예회장을 떠올렸다”면서 “항상 ‘진심으로 만든 음식은 결국 진심으로 돌아온다’고 했던 전 명예회장의 말처럼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세상에 드리는 한 그릇의 약속”이라고 말했다.
‘우지’ 현대적 재해석…깊고 진한 국물 맛 구현
삼양식품은 이번 신제품에 1960년대 라면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적용했다. 동물성 기름 우지와 식물성 기름 팜유를 황금 비율로 혼합한 골든 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강화했다. 삼양식품에 따르면 골든 블렌드 오일은 면의 맛을 살리면서 조리 시 면에서 용출되어 면과 육수가 조화를 이루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액상 수프와 후첨 분말 후레이크를 적용해 원재료의 풍미도 살렸다. 사골육수로 면에서 우러나온 우지의 풍미를 높여 깊은 맛을 더하고 무와 대파, 청양고추로 깔끔한 뒷맛과 얼큰함을 강조한 국물을 완성했다.
후레이크는 큼직한 크기의 단배추, 대파, 홍고추로 구성해 풍부한 식감과 감칠맛을 더했다. 동결 건조 공법에 후첨 방식을 적용해 재료 본연의 맛과 향, 식감이 오래 유지되도록 했다.
채혜영 삼양식품 삼양브랜드부문장은 “우지는 구이·튀김·조림 등 풍미를 극대화하는 조리용 식자재로 많이 쓰인다”며 “깊고 진한 국물 맛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지가 최적의 선택이었다”고 설명했다.
채 부문장은 “몇 년 동안 제품을 준비하며 가장 신경 쓰고 우려했던 게 시장과 소비자의 반응이었다”면서 “올해 초부터 유튜브에 관련 콘텐츠가 올라오며 우지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을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병훈 삼양식품 연구소장은 “과거에는 돼지기름인 돈지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삼양식품은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할랄 기준에 위배되는 돼지고기 관련 원료를 쓰기는 어렵다”며 “고민 끝에 우지와 현재 조미 기술을 활용해 소비자가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적당한 우지의 풍미를 즐길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했다.
이 소장은 “소비자가 먹었을 때 제품을 친숙하게 느끼도록 상품을 개발하는 게 목표”라면서 “앞으로도 불닭볶음면처럼 혁신적인 제품을 계속 개발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삼성SDI, 테슬라 수주하나…ESS용 배터리 공급 논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홈런왕' 박병호 은퇴 "많은 사랑 받았습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사상 첫 '4200피' 달성…'60만닉스'가 이끌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2조 규모 연구단지 설립하는 종근당…회사채 발행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노보' 인수전 참전에 디앤디파마텍 '신고가'...와이바이오·지니너스도 급등[바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