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영어 1등급의 벽, 서울과 지방 간극은 더 넓다 [임성호의 입시지계]
- 영어는 1·2등급 모두 서울·지방 격차 커
절대평가 과목이 변동성 키운다는 지적도
현행 통합수능은 2027학년도를 끝으로 종료된다. 2022학년도부터 6년간 시행 중인 현 제도는 국어에서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수학에서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중 하나를 선택해 응시하는 방식이다. 미적분과 기하는 이과생이, 확률과 통계는 문과생이 주로 선택했다. 같은 원점수를 받아도 선택 과목에 따라 표준점수가 달라지는 구조 탓에, 이른바 ‘문과 침공’ 현상이라는 말이 생겼다.
하지만 2028학년도 입시부터는 이 같은 선택과목이 사라진다. 수학 범위가 문과 기준으로 축소되고, 문·이과 구분 없이 사회·과학탐구 과목을 모두 응시해야 하는 형태로 바뀐다. 평가 체계는 현재와 동일하게 국어·수학·탐구는 상대평가, 영어는 절대평가를 유지한다.
지역 간 편차 다른 상위권
2022학년도부터 실시된 통합수능의 결과를 보면, 과목별로 상위권 학생 비율의 지역 간 편차가 다르게 나타난다. 고3 학생을 기준으로 상위 4% 이내 국어 1등급 학생 비율은 2022학년도 서울이 4.3%로 가장 높았고, 최저 지역은 1.4%로 격차는 2.9%p였다.
2023학년도에는 3.7%p, 2024학년도 3.5%p, 2025학년도 3.7%p로 비슷한 수준이 유지됐다. 17개 시도 중 최고 비율은 모두 서울이었다. 2등급 이내로 범위를 확대하면 격차는 7.4~8.5%p까지 벌어졌다.
수학은 1등급 학생 비율의 지역 간 차이가 2022학년도 4.4%p, 2023학년도 5.1%p, 2024·2025학년도 각각 4.4%p였다. 2등급 이내에서는 10.2~11.0%p 격차가 나타났다.
절대평가인 영어는 상대평가 과목보다 격차 폭이 더 컸다. 1등급 학생 비율의 지역 간 차이는 2022학년도 5.4%p, 2023학년도 7.0%p, 2024학년도 5.2%p, 2025학년도 5.9%p로 나타났다. 2등급 이내로 확대하면 14.9~16.6%p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국어·수학은 상대평가 방식으로 매년 난이도에 관계없이 일정 비율의 등급이 정해지지만, 영어는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난이도에 따라 등급 비율이 크게 요동친다. 이 때문에 절대평가 과목이 지역 간 격차를 줄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상황에 따라서는 상대평가 과목보다 격차를 키운 경우도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서울과 지방 간 단순 평균을 비교해도 흐름은 비슷하다. 국어는 2022~2025학년도 동안 1등급 구간에서 2.3~3.0%p, 2등급 이내에서 5.5~6.6%p의 격차가 발생했다. 수학은 1등급 구간에서 3.5~3.9%p, 2등급 이내에서 8.1~8.6%p였다. 영어는 1등급 구간에서 4.0~5.3%p, 2등급 이내에서는 11.0~11.9%p로 격차 폭이 가장 컸다.
결국 절대평가 과목이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기는커녕, 오히려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시험 난이도에 따라 고득점자 비율이 급격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평가는 난이도와 상관없이 일정 비율의 등급을 보장하지만, 절대평가는 한 해의 출제 수준에 따라 1·2등급 비율이 크게 달라져 특정 지역이나 학교의 평균을 더 벌릴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상대평가와 절대평가가 혼합된 현재의 수능 체제에서, 두 방식이 학교·지역 간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고득점자 비율이 지역별 학력 수준의 차이뿐 아니라 출제 난이도와 맞물려 달라질 수 있는 만큼, 단순히 제도 변경만으로는 지역 불균형 해소가 어렵다는 것이다.
2028학년도부터 새로운 수능 체제가 도입되지만, 또다시 ‘2032학년도 개편설’이 거론되고 있다. 현 초등학교 6학년이 치르게 될 차기 수능을 겨냥한 변화 논의가 이미 시작된 셈이다. 교육부는 수능 부담 완화라는 큰 틀을 유지하되, 지역·학교 간 격차 문제를 더 세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결국, 수능 체제가 어떻게 바뀌든 간에 ‘평가의 형식’보다 중요한 것은 그 결과가 지역별 학력 격차를 좁히느냐 넓히느냐다. 절대평가의 취지가 성취 수준을 객관화하는 데 있다면, 실제로는 지역별 격차를 더 벌릴 수도 있다는 점에서 제도 설계의 정교함이 요구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매니저 금전 피해’ 성시경, ‘먹을텐데’ 사칭 650만원 피해 본 업주 사비로 보상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매니저 금전 피해’ 성시경, ‘먹을텐데’ 사칭 650만원 피해 본 업주 사비로 보상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머스크 '돈방석' 1조달러 보상안 통과…월가 '말말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IPO 공백기…프랜차이즈·리테일, 볼트온 딜 잇따라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삼일제약, 삼각 성장에도 매출보다 낮은 시총에 오너일가 ‘지분 쇼핑’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