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챗 GPT로 커닝했나'... 연세대, 관련자 전원 0점 처리 예고
문제가 된 수업은 3학년 대상 ‘자연어 처리와 챗GPT’ 과목으로, 수강 인원이 약 600명에 달하는 대형 강의다. 온라인 시험 형식으로 진행된 가운데, 일부 학생들이 카메라 촬영 각도를 조작해 감독의 사각지대를 만들고 챗GPT 등 AI 도구를 활용해 문제를 푼 정황이 드러났다.
해당 교수는 시험 후 부정행위를 적발한 정황을 공지하며 “부정행위로 판단된 학생 전원에게 0점을 부여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대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서는 자체 투표를 통해 “커닝을 했다”고 응답한 인원이 약 190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측이 실제 부정행위자로 판단한 학생은 이 중 약 50명으로 전해졌다.
한 수강생 A씨는 “사각지대를 이용해 노트북 외 기기로 챗GPT를 사용했다”며, “비대면 시험이라 다들 사용하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이처럼 AI 기술이 과제뿐 아니라 시험 영역까지 광범위하게 침투하고 있는 현상이 확인됐다.
실제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 10명 중 9명이 과제나 자료 검색 등에 AI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 학생은 “AI를 사용하면 과제 처리 속도가 3~5배 빠르다”며, “거의 모든 과제에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AI를 무조건 금지하기보다는, 교육방식의 전환과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김명주 인공지능안전연구소 소장은 “AI를 활용한 과제와 별도로 학생 개인의 사고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병행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한양행, 존슨앤드존슨과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한국 공동판촉 계약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1G 노 골’ 역사상 이렇게 못 넣은 팀 없었다…K리그 최악의 기록 또 새로 쓴 충북청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9100원→5만8500원' 노타, 상장 한 주 만에 '6배'…6%↑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K푸드 붐에도…내수 부진에 소화 안되는 식품기업 매물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차상훈 에이프릴바이오 대표 "추가 기술이전 3건 더 기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