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슈
알리바바, 中정부와 군사적 연계 됐나…美, 1급 기밀로 주시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 알리바바와 중국군 사이에 군사적 연계가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14일(현지시간) 백악관의 국가안보 메모를 입수해 이같이 보도했다.
1급 기밀(Top Secret)이 포함된 이 메모에는 알리바바가 미국 내 표적물에 대한 중국군의 '작전'에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알리바바 클라우드 사용자의 IP 주소, 와이파이 정보, 결제 기록 등 민감한 고객 데이터를 중국 정부와 중국군에 제공했다. 또 알리바바 직원들이 중국군에 제로데이 취약점과 관련한 정보를 넘겼다는 의혹도 있다.
제로데이 취약점이란, 네트워크 사용 기기에서 취약점은 발견됐으나 아직 보안 패치가 이뤄지지 않은 것을 말한다. 사이버 공격에 대한 무방비 상태를 뜻한다. 방어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해킹 능력을 중국군에 제공했다는 뜻이다. 미국 정보 전문가들은 알리바바의 이런 기술 지원이 중국군의 사이버 전략과 직결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에서 중국 분석 책임자를 지낸 데니스 와일더는 “중국군의 사이버 침입 작전의 폭과 깊이는, 그들의 전통적인 사이버 스파이 공격을 넘어 전례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지적했다. “중국군은 태평양 주둔 미군뿐만 아니라 미국 본토 내의 공항, 항구 및 기타 중요 운송 거점을 포함한 미국 주요 기반 시설에 대해 광범위하게 그리고 매일 침입을 시도하고 있다”며 “목표는 군사 분쟁 시에 실행할 시스템 파괴 전쟁 전략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FT는 이 메모가 한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정상회담을 통해 무역 전쟁을 1년 휴전하기로 결정한 직후인 지난 1일 작성됐다고 전했다.
알리바바는 이에 대해 “터무니없는 소리”라며 “이는 명백히 여론을 조작하고 알리바바를 헐뜯으려는 시도”라고 반발했다. 존 몰레나르 미국 하원 중국공산당특위 위원장은 알리바바가 고객 보호를 포기하고 중국군과 협력한다며 알리바바를 포함한 중국 기업들에 대해 뉴욕 증시 상장 폐지 등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흥케이병원 ”최소침습 무릎인공관절 카데바 워크숍 개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V리그 여자부, 우려와 달리 흥행 대박..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김건희 ‘샤넬백 3종’…法 검증대 오른 제품들 살펴보니[누구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FC코리아 매각 난항…밸류 이견에 협상 제자리걸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카무루스 '긍정적' 임상 결과, 펩트론에 쏠리는 눈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