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트럼프 "마두로와 대화하겠다"…베네수엘라 군사작전도 배제 안 해
- 카리브해 항모 전단 배치에 이어 마약 카르텔 공격 가능성도 시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2026년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태스크포스와 진행한 행사에서 취재진이 마두로 대통령과의 대화 가능성을 묻자 "나는 아마도 그와 대화할 것이다. 나는 모든 이와 대화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어느 시점에 나는 그와 대화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베네수엘라에 미국 지상군을 투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것이냐는 질의엔 "아니다. 나는 그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나는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가자전쟁(이스라엘-하마스전쟁)과 우크라이나전쟁 등에서 미 지상군 투입에 철저히 선을 그었던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앞마당에 위치한 베네수엘라에 대해선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대외 군사개입 최소화'가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지지층이 공유하는 '미국 우선주의'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2기 출범(1월) 이후 '돈로주의'(Donroe Doctrine)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메리카 대륙과 그 주변에서의 영향력 강화를 집요하게 모색해왔다.
유럽의 간섭을 배제하고 미주 대륙 국가들의 자주성을 강조한 제임스 먼로 전 대통령의 '먼로주의'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 '도널드'를 합성해 만든 돈로주의는 고립주의 속에 '세계 경찰' 역할을 이어가는 것을 거부하면서도 자국 이익을 위해 아메리카 대륙을 포함한 서반구에서만큼은 군사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의미를 품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단지 베네수엘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들은 감옥에서 수십만명을 우리나라로 떠넘겼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그(마두로)는 우리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줬다. 마약 문제가 주된 이유이기도 하지만, 그 어떤 국가보다 우리나라로의 (베네수엘라) 죄수들의 유입은 재앙이었다"며 "그래서 어떻게 될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날 세계 최강 항공모함(항모) 제럴드 R. 포드호를 주력으로 하는 항모 전단을 베네수엘라 북쪽 연안인 카리브해에 배치하며 군사적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아울러 베네수엘라 기반 국제 범죄조직인 '카르텔 데로스 솔레스'를 외국테러조직(FTO)으로 지정하는 것을 예고하고 해당 조직의 수장으로 마두로 대통령과 그의 측근들을 지목하면서 마두로 축출 및 정권 전복을 위한 군사공격 명분을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의 마약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해상에서의 '마약 의심 선박' 격침 작전뿐 아니라 멕시코와 콜롬비아 본토의 마약 카르텔에 대한 공격 가능성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마약 차단을 위해 멕시코에서 공격을 할 것이냐고? 나는 오케이다. 마약을 막기 위해 해야 할 모든 것을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멕시코와 논의 중이다. 그들은 내 입장을 알고 있다"고 밝힌 뒤 미국에 유입되는 마약의 대부분이 멕시코를 통해 들어온다면서 "나는 멕시코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콜롬비아에 대해서도 "콜롬비아에는 코카인 제조 공장이 있다. 내가 그 공장을 파괴할 것이냐고? 나는 개인적으로 자랑스럽게 생각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실행할 것이라고 말한 것은 아니다"면서 "하지만 나는 수백만명의 생명을 구할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걸 자랑스러워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남미 마약 카르텔에 대해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면서 "그들은 우리 국민을 죽이고 있다. 이는 전쟁과 같은 것"이라고 규정한 뒤 의회에서 멕시코 및 콜롬비아 공격에 대한 승인을 구할 것이라면서 "미친 게 아니라면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동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홍정환 스페클립스 대표 “국내 유일 레이저 광학 원천기술, 글로벌 성장 자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MVP 김현수와 결별하나...LG의 FA 이상기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엔비디아 전량 매도' 실리콘밸리 거물이 쓸어담은 종목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지스 인수 3파전 확전…국내 원매자 잇단 악재 변수되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AI 신약개발사 최고 성과...정부·삼성 점찍은 프로티나 뭐가 달랐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