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562억달러…세 분기만 반등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 대외금융자산(대외투자)은 2조7976억달러로 집계됐다. 2분기 말보다 1158억원 많은 사상 최대 규모다. 다만 증가 폭은 2분기 1651억달러보다 줄었다.
대외금융자산 가운데 거주자의 증권투자 잔액은 1조2140억달러로, 한 분기 사이 890억달러불어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기업의 직접투자 잔액은 8135억달러로, 이 역시 이차전지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87억달러 늘었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를 뜻하는 대외금융부채 잔액은 1조7414억달러로 900억달러 늘었다. 비거주자의 증권투자가 885억달러 증가한 1조1395억달러였다. 코스피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들어온 영향으로 파악됐다. 반면 직접투자는 37억달러 감소해 3135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처럼 대외금융자산 증가 폭이 대외금융부채 증가 폭을 웃돌면서,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562억달러로 2분기보다 258억달러 늘었다. 이는 세 분기만의 반등이고, 작년 4분기 말 사상 처음 대외금융자산 1조달러 흑자국 반열에 오른 뒤 네 분기 연속 1조달러대를 유지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한 국가의 대외 지급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임인혁 한국은행 국외투자통계팀장은 “미국 증시 호조와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 등에 따라 해외 지분증권(주식 등)·부채성증권(채권 등) 투자가 늘어난데다 외환보유액 총액인 준비자산도 운용수익 증가 등으로 늘어 대외금융자산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주가도 올라 비거주자의 국내 증권투자도 늘었지만, 원화 약세로 달러 환산액이 감소하는 비거래 요인 등이 대외금융부채 증가 폭을 제약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의 3분기 말 기준 대외채권 잔액은 1조1199억달러로 2분기 말보다 271억달러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은 189억달러, 장기 외채는 82억달러 증가했다. 대외채무 잔액은 7381억달러로 25억달러 늘어나는 데 그쳤다.
대외채권과 대외채무는 우리나라 거주자의 해외 투자에 해당하는 '대외 금융자산', 외국인의 국내 투자에 따른 '대외 금융부채'에서 가격이 확정되지 않은 지분·주식(펀드 포함)·파생금융상품을 뺀 것이다. 결국 가치가 유동적인 주식 등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에서 규모가 확정된 대외 자산과 부채만을 말한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 잔액은 3818억달러로 한 분기 사이 246억달러 증가했다. 대외채무 가운데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의 비중은 21.9%로 2분기 말보다 0.8%포인트(p) 줄었고,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의 비율(38.3%)도 2.4%p 낮아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카카오헬스케어, 차바이오그룹으로 최대주주 변경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윤채경·이용대 열애설…양측 모두 “사생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살 곳도 없다” 中, 日 수산물 수입 중단…“군국주의” 비난도(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자회사 빼면 의미없다"…이지스운용 매각 무산 위기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삼익제약 상급종병 입성, 티앤알 ‘체급전환’ 본격화[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