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융지주] 증권사 약진에 은행 어깨 가벼워져

2011년부터 사업 포트폴리오 개선 추진

신한은행과 제주은행의 호실적에도 은행 부문이 그룹 전체에서 차지하는 이익 비중은 작아졌다. 얼마 전까지 60%를 넘었던 신한은행의 이익 비중은 올해 3분기 59%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부진보다는 비은행 계열 포트폴리오와 금융상품을 다양화하는 데 성공한 것이 배경이다. 카드·금융투자·보험·캐피털 등 비은행 부문의 당기순이익은 3분기 누적 기준으로 8740억원이다. 전체 이익에서 비은행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4.4%포인트 커져 40.9%로 확대됐다. 금융지주들이 비은행 부문 강화를 저금리 기조를 이겨낼 돌파구로 삼아 왔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대목이다.
2001년 출범한 신한금융지주는 저금리·저마진 상황이 도래한 2011년부터는 안정적인 이익 창출을 위해 비은행 부문의 이익 증가 등 사업 포트폴리오의 개선을 추진해왔다. 지주 이익의 70~80%를 차지하는 은행 위주의 이익 구조를 비은행 부문으로 분산해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이를 위해 비은행 계열사와 은행과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이익 회복을 노렸다. 이 같은 이익 구조 개선 전략의 효과가 올 들어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비은행 중에서도 신한금융투자의 기여도가 크게 높아졌다. 업계 5위권 증권사인 신한금융투자의 올 1~3분기 당기순이익은 194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2.6%(1029억원) 급증했다. 특히 지주 자회사 편입 이후 사상 최대 순이익이다. 이에 따라 지주 기여도는 지난해 4.6%에서 올해는 9.1%로 4.5%포인트 증가했다. 자산관리(WM)와 기업투자금융(CIB) 부문에서 은행과의 협업을 통해 금융상품의 수수료 이익 증가와 운용 자산 확대에 따른 자기매매 이익 증가 덕이다.
신한금융투자의 이익이 커졌지만, 아직 비은행 중 규모가 가장 큰 건 카드 부문이다. 업계 1위 신한카드는 3분기까지 169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꾸준히 경쟁사 실적을 앞서고 있다. 그러나 증가율은 2.7%(138억원)에 그쳤다. 지주 기여도는 25.3%에서 24.4%로 0.9%포인트 떨어졌다. 신한생명은 당기순이익이 29.7%(202억원) 늘어난 883억원을 기록하면서 지주 기여도는 3.4%에서 4.1%로 0.7%포인트 올랐다.
보험·증권사 M&A도 고려

카드 부문의 시장점유율 하락도 불안 요소다. 무너지지 않을 것 같았던 점유율 20% 선이 최근 깨졌기 때문이다. 업계 2위 삼성카드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고, 무엇보다도 카드 업계가 가지고 있던 고유 사업 영역에 다른 업종 기업들이 빠르게 진출하면서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물론 신한카드의 실적이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은 작다. 하지만 앞으로 카드 수수료 인하가 추진되면 실적 부진 우려는 커질 수 있다. 또 각종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공격적인 마케팅이 시작되면서 고객층을 많이 뺏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한지주의 주가는 지난해 하반기의 하락세 이후 바닥권에서 상승도 하락도 않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월 이후 조금씩 오르고 있지만, 깜짝 실적 발표만큼의 기대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저금리 여파로 은행 부문의 이자수익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과 수익 구조가 다소 개선될 것이란 관측이 동시에 나오고 있어서다. 다만, 향후 신한은행이 이미 진출한 해외 시장으로 신한금융투자와 신한생명의 동반 진출이 가능한데, 이 경우 주가에도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신한은행은 30여년 동안 꾸준히 글로벌 진출을 모색해왔다. 해외 글로벌 은행들에 비교하면 아직까지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해외 수익 비중을 높여나가고 있다. 올 2분기 기준 신한은행의 해외 점포 총자산 규모는 20조7138억원으로 시중은행 중 가장 규모가 크다. 특히 1993년 진출한 베트남 시장에서 외국계 은행 중 HSBC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순이익을 올리며 순항 중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비은행 부문 비중 확대를 위해 베트남, 중국 등 기 진출 지역에서의 증권 부문 인수·합병(M&A)을 통한 현지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함승민 기자 ham.seungmin@joins.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관세 인플레 유발 조짐에 뉴욕증시↓…엔비디아 4% 급등[월스트리트in]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준호♥김지민, 럭셔리 신혼집 공개..어디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연 350조 보증' SGI서울보증, 보안 인증도 안 받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류성의 제약국부론]K바이오 글로벌 위상 드높이는 AI 대표주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