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꿈틀대는 아파트 분양권 시장] 위례·미사 웃돈 한달 새 3000만~5000만원↑
- [꿈틀대는 아파트 분양권 시장] 위례·미사 웃돈 한달 새 3000만~5000만원↑

서울·수도권 분양권 거래 급증

수도권도 마찬가지다. 부동산리서치업체인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1분기 경기도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은 총 682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이상 늘었다. 이 중 동탄2신도시가 위치한 화성시가 987건으로 가장 많았고 김포시 799건, 수원시 761건으로 뒤를 이었다. 화성과 김포 두 지역의 분양권 거래 건수만 1786건으로 경기도 아파트 분양권 거래 10건 중 2건 이상이 이곳에서 이뤄졌다. 분양권 거래가 잦았던 곳은 최근 1∼2년 새 아파트 분양이 집중된 대규모 공공택지가 있는 지역이다. 특히 화성·김포에서 거래된 분양권 중 85㎡(이하 전용면적) 이하 아파트 거래가 1594건으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거래량이 늘면서 웃돈도 오름세다. 하남시 미사강변도시 동원로얄듀크 84㎡는 최근 웃돈이 1000만원 이상 올라 4500만~5000만원 수준에 거래가 되고 있다. 분양가가 4억3600만원이었던 이 아파트는 지난해 말 웃돈이 3500만원까지 떨어졌지만 4월 입주를 앞두고 거래가 늘면서 지난해 가을 고점(5000만원)대로 올랐다. 4월 입주하는 미사강변 푸르지오 1차 84㎡ 역시 웃돈이 올 초 6000만원 선까지 빠졌지만 최근 7000만~8000만원대를 회복됐다. 한때 최고 9000만~1억원을 호가하던 것과 비교하면 낮지만 그래도 최고가에 근접하고 있는 것이다. 인근 태양공인 김상미 실장은 “2월부터 입주를 앞둔 2개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늘면서 가격도 오르고 있다”며 “아직 대출 규제 여파로 관망하는 분위기가 있어 당장 지난해 수준을 회복하긴 어렵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제자리를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도권 신도시 광풍을 주도하던 위례신도시 역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위례신도시 중앙 푸르지오 84㎡는 최근 웃돈이 8500만~9500만원까지 올랐다. 4월 초만 해도 8500만원 안팎이었지만 집주인이 최근 호가를 다시 올리고 있다. 위례 호반베르디움 98㎡ 역시 프리미엄 호가가 1000만원가량 상승한 7000만~8000만원이다. 특히 매도자가 부담하던 양도소득세를 다시 매수자가 부담하고 있다. 양도세는 양도 차익에 대한 세금으로 당연히 매도자 몫이지만 이 마저도 웃돈에 반영하고 있는 셈이다. 위례신도시 S공인 관계자는 “연초엔 입주 물량이 늘면서 분양권 값이 약세를 보였지만 3월 들면서 급매물이 모두 사라졌다”며 “웃돈에 양도세까지 더하면 실제 웃돈은 1억~1억5000만원 선”이라고 말했다.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아직 남은 남양주시 다산신도시에서도 분양권 물밑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다산신도시 한양수자인 84㎡는 평균 4000만~5000만 원의 웃돈이 붙어 거래되고 있다는 게 중개업소들의 전언이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11월 공급 당시 평균 15.8대 1로 지구 내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인근 유승한내들 센트럴 84㎡는 2500만~3500만원, 반도유보라 메이플타운은 2000만~2500만원 선에서 웃돈이 형성돼 있다. 전매제한이 차례로 풀리고 있는 화성시 동탄2신도시에서도 분양권 매수 문의가 늘고 있다. 화성시 청계동 P공인 관계자는 “투자 수요보다는 추가 가격 상승에 앞서 집을 마련하려는 실수요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출 규제 받지 않아 수요자 몰려
분양권은 청약통장이 없어도 되고 입주 시기나 층·향·동을 골라 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높은 웃돈을 주고 사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분양권 웃돈은 정확한 시세가 없으므로 중개업소 여러 곳에 문의하는 게 좋다. 웃돈이 지나치게 높다면 거품일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 앞으로 새 아파트 공급 물량이 많이 남은 곳에선 웃돈이 내릴 수 있다. 정확한 전매 해제 시기도 확인해야 한다. 전매가 풀리지 않은 물량을 거래하면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세금을 아끼기 위한 ‘다운 거래’도 피해야 한다. 적발되면 벌금 등 처벌 받는다.
분양권은 등기가 없는 상태에서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에 반드시 건설 업체를 통해 분양 계약자가 맞는지 확인해야 하고 계약자 본인과 거래해야 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 전문위원은 “전매제한에서 풀린 분양권 매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 웃돈이 붙은 단지라도 일시적으로 웃돈이 하락할 수 있다”며 “실수요자라면 조금이라도 낮은 웃돈을 주고 원하는 물량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황정일 기자 obidius@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관세 인플레 유발 조짐에 뉴욕증시↓…엔비디아 4% 급등[월스트리트in]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준호♥김지민, 럭셔리 신혼집 공개..어디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연 350조 보증' SGI서울보증, 보안 인증도 안 받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류성의 제약국부론]K바이오 글로벌 위상 드높이는 AI 대표주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