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2016 대한민국 100대 기업의 CEO | 제약·바이오 부문 3위 | 허은철 녹십자 사장] 독감백신 수출 기록 해마다 경신
- [2016 대한민국 100대 기업의 CEO | 제약·바이오 부문 3위 | 허은철 녹십자 사장] 독감백신 수출 기록 해마다 경신

- 한우물만 파며 글로벌 제약사 노려
- 백신 수출액 50% 이상 증가
- 국내 제약사 최초 4가 독감백신 개발
녹십자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혈액분획제제의 세계 시장 규모는 220억 달러(약 25조5000억원)에 달한다.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11%씩 성장했다. 미국 시장은 세계 시장의 절반을 차지한다. 미국 면역글로불린 시장은 38억 달러(약 4조5000억원) 규모다. 혈액제제 분야는 대규모 설비 투자와 고도의 운영경험이 필수다. 소수의 글로벌 제약사가 세계 공급량의 70% 이상을 생산한다. 진입장벽은 높지만 그만큼 부가가치가 크다. 미국 시장에서 면역글로불린 가격은 국내보다 네 배 정도 높다.
녹십자는 지난해부터 건립 중인 캐나다 혈액분획제제 생산 시설을 북미 생산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직 캐나다에는 면역글로불린과 알부민 생산 시설이 없다. 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하면 독점적 설비 덕분에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 캐나다 혈액제제 공장은 늦어도 2019년 본격 상업생산을 시작한다.
녹십자의 또 다른 주력인 백신 부문의 수출 성과도 눈부시다. 지난해 녹십자 독감백신 수출액은 500억원을 넘어섰다. 아시아 최초이자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독감백신의 사전적격성 인증을 받은 녹십자는 매년 독감 백신 수출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해외로 진출한 지 5년 만에 중남미 독감 백신 입찰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녹십자는 항체 신약 및 희귀질환 치료제도 개발 중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항체인 ‘GC1102’는 세계 최초로 간 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는 지난해 임상시험 1상을 시작했다. 또 대장암을 치료하는 ‘GC1118’은 기존 치료제와 차별화된 항암 바이오 신약으로 임상시험 1상을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후속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헌터라제의 투여경로를 다양화하는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차세대 혈우병 치료제를 비롯한 다양한 혁신 바이오 신약은 비임상 단계의 공정을 개발 중이다.
-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관세 인플레 유발 조짐에 뉴욕증시↓…엔비디아 4% 급등[월스트리트in]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준호♥김지민, 럭셔리 신혼집 공개..어디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연 350조 보증' SGI서울보증, 보안 인증도 안 받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류성의 제약국부론]K바이오 글로벌 위상 드높이는 AI 대표주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