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래프톤은 증권시장 상장을 준비하며 공모가 고평가 논란이 있었다. 당초 최대 55만7000원이었던 공모가 희망 밴드(범위)는 금융감독원이 크래프톤에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청하자 40만~49만8000원으로 낮춰졌다. 상장 이후에도 투자자의 외면을 받았다. 증권시장 거래 첫날 크래프톤은 시초가(44만8500원) 대비 1.23% 오른 45만4000원으로 장을 마쳤으나 이튿날 10.35%가량 폭락했다.
증권가에선 크래프톤의 글로벌 IP를 성장 동력으로 지목한다. 모바일게임 신작 '배틀그라운드:뉴스테이트'(뉴스테이트)의 흥행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뉴스테이트는 지난 7월 사전예약 당시 2000만명을 끌어모으면서 게임 유저의 관심을 모았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DAU(하루 동안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수)를 약 5000만명(중국 제외)으로 추산한다면 뉴스테이트에 상당수의 유저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2022년 뉴스테이트 매출액은 2조4400억원, 일평균 67억원 수준"이라고 했다.
선모은 인턴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 달 240만 원"…한강뷰 포기 못하고 '벌금' 내는 군인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0만원 돌려준다”…첫날 79만명 몰린 ‘상생페이백’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