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초저금리 시대 끝났다…기준금리 인상 후폭풍
- '영끌'로 집산 가계 부담 증가 우려
대출이자 오르면 기업도 위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한국은행(한은)이 26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 방향 회의를 열고 연 0.5%인 기준금리를 0.75%로 인상했다. 동결 기조를 유지한 지 15개월 만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을 막기 위해 유지해온 초저금리 정책이 끝난 셈이다. 기준금리가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에 영향을 미치는 기준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는 작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영끌’해 집 사고 주식‧코인 투자한 가계 부담 우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을 정도로)로 빚을 내 집을 사고 주식과 코인에 공격적으로 투자한 사람들에겐 금리인상이 직격탄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국내은행 가계대출 잔액을 보면 20대는 43조6000억원, 30대는 216조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44조원) 증가한 수치다.
자금사정 나쁜 중소기업‧자영업자 불안 가중
한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재무제표 공시기업 2520개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한계기업은 1001개(39.7%)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라는 것은 기업이 번 돈으로 대출 이자도 다 갚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런 기업은 한계기업 또는 ‘좀비기업’으로 표현된다. 세계금융위기가 터졌던 2008년 말 한계기업 수는 33.2%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 중소기업 경영난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할 수 있다.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
테이퍼링은 금리 인상에 앞서 돈줄을 서서히 조이는 긴축 정책이다. 지난 1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가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보면 다수의 의원이 테이퍼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경제가 예상대로 좋아질 경우’라는 전제가 달렸지만, 테이퍼링을 실시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장에 어떤 후폭풍을 일으킬지 [이코노미스트]가 가계·기업·부동산 분야별 파장을 진단해봤다. ‘금리 인상 후폭풍’을 검색하면 금리 인상 여파를 좀더 자세하게 전망할 수 있다.
▶ [금리 인상 후폭풍]
① 가계 유동성 파티 끝, ‘빚투’ 청구서 온다
② 역대급 ‘불장’ 집값에 ‘소방수’ 될까
③ 기업 “코로나 피해보다 이자가 더 무섭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금리인하에도 웃지 못한 뉴욕증시…파월 ‘신중 발언’에 주춤[월스트리트in]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5세 맞아?… 이가령, 비키니로 시선 압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리스크 관리 차원 '스몰컷'…추가 금리인하엔 신중한 파월(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개정에 매각 줄줄이 좌초 우려…상장사 매물 든 PEF ‘고심’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옥석 가리는 AI의료]루닛 이후 2세대 기업도 1조 클럽 가능…뜨는 다크호스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