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정부 ‘공급 확대 본격화’ VS 선행지표 개선 불구 ‘공급 부족'
- 지난해 주택 인허가 19%↑·착공 11%↑

주택 인허가·착공 등 실적이 전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해 '2·4 대책' 등 공급 확대 정책 본격화로 주요 선행지표가 개선됐다고 평가했지만, 아직 ‘공급 부족 시그널’은 여전하다는 시선이 나온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54만5412호로 전년(45만7514호) 대비 19.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29만1348호로 전년과 비교해 15.5% 증가했고, 지방은 25만4064호로 23.8% 늘어났다. 특히 서울의 인허가 물량은 8만3260호로 전년보다 43.1%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문재인정부 출범 직전 연도인 지난 2016년 72만6048가구에 비하면 18만636가구(24%)가 줄어든 수치다. 특히 지난해 인허가 실적 상승은 2020년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이 7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실제 문 정부 들어 인허가 물량은 ▶64만3441가구(2017년) ▶55만4136가구(2018년) ▶48만7975가구(2019년) ▶45만7515가구(2020년)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문제는 인허가 감소로 인해 공급부족이 향후 2~3년은 더 지속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상 주택 인허가 물량은 2~3년 뒤 분양 물량을 결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주택은 인허가, 착공, 분양, 입주 순서로 공급되는데, 인허가가 줄어들면 입주 물량 감소가 불가피해 진다.
실제 지난해 주택 준공 물량은 총 43만1394호로 전년(47만1079가구) 대비 8.4% 감소했다. 5년 대비 증감률은 20.1%나 줄어들었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은 24만7220호로 전년보다 1.2% 줄었고, 지방은 18만4174호로 16.6% 감소했다. 아파트(33만1971호)는 전년 대비 11.1% 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9만9423호)은 2.0% 늘었다.
하지만 정부는 '3080+(2·4대책)'을 포함한 그간의 공급확대 정책이 본격화 되며 인허가와 착공 등 주요 선행지표가 크게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주택 인허가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42만3363호로 전년 대비 20.4% 증가했다. 아파트 외 주택은 12만2049호로 15.3% 늘어났다. 지난해 주택 착공 물량은 58만3737호로 전년(52만6311호)과 비교해 10.9%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30만141호로 전년보다 7.8% 증가했고, 지방은 28만3596호로 14.4% 늘어났다.
일반분양은 25만8176호로 전년보다 3.5% 증가했고, 임대주택은 3만8802호로 12.6% 늘었다. 조합원분은 39.2% 감소한 3만9555호였다. 국토부는 지난해 분양 실적에 사전청약 물량까지 포함하면 총 37만5000호 규모로 전년 대비 7.3% 많은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 인허가와 착공 등 선행지표가 개선되면서 올해 분양물량은 46만호로 작년보다 22.8%, 준공은 48만8000호로 13.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 이럴 수가, KOVO컵 개막 하루 전날 외국인 선수 출전 불가 통보...구단 "황당하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단독] 이럴 수가, KOVO컵 개막 하루 전날 외국인 선수 출전 불가 통보...구단 "황당하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관세전쟁 재점화…산업장관 뉴욕서 美상무장관과 줄다리기(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혁신 기대했는데…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개점휴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이민우 듀셀 대표 “세계 최초 인공혈소판 대량 생산 도전…獨 바이오사도 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