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WSJ “美, 비자 안 늘리면 해외 기업 투자 꺼릴 것”
- 사설서 조지아 사태 지적
李 대통령 발언 조명도

WSJ은 12일(현지시간) 사설에서 “지난 9일 조지아주 현대차 공장에 대한 이민당국의 무분별한 급습이 한국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특히 WSJ는 지난 11일 열린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 발언을 주목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기업 입장에서는 현지 공장을 세우면서도 불이익을 받거나 어려움이 생긴다면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대미 직접투자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술자가 있어야 장비 설치를 할 수 있는데, 미국에는 그런 인력이 없으면서도 우리 인력이 현지에서 일할 수 있도록 비자를 내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WSJ은 이 같은 발언에 대해 “미국인들에게 불편하게 들릴 수 있으나 사실”이라며 “현재 미국에는 이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 없다”고 평가했다.
또한 WSJ은 “미국 동맹국들은 자국 수출품에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위험보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받아들이는 쪽을 선택해왔다”면서도 “그러나 이러한 유연성은 자국 내 유권자들의 인내심과 충돌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사설은 특히 수갑과 사슬에 묶여 있는 한국인 노동자들의 모습이 담긴 이민세관단속국(ICE) 영상이 서울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WSJ은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을 전하며 “일부 노동자는 불법으로 국경을 넘었고, 다른 일부는 비자가 만료된 상태에서 일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조지아에서 벌어진 급습은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외국인 투자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보수 성향의 유력 경제 전문지로 알려진 WSJ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나 정책 가운데 합리성을 결여한 부분에 대해서는 꾸준히 비판적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완선 “명품 옷 안 사…어차피 한두 번밖에 못 입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진짜 미쳤다”…김대호, 집안에 모래 20박스 부어 ‘대운대’ 완성 (나혼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서명 안 하면 25% 관세 내”…美상무장관 만났더니(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혁신 기대했는데…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개점휴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이민우 듀셀 대표 “세계 최초 인공혈소판 대량 생산 도전…獨 바이오사도 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