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메프, 손익 37.6% 개선…매출 2448억∙영업손실 338억
2.9% 업계 최저 수수료에도… 2년간 수익성 55% 개선

위메프는 지난해 매출액 2448억원, 영업손실 338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수년간 이어진 이커머스 업계의 적자 기조를 탈피하진 못했지만 전년 대비 영업손실을 37.6% 줄이며 가능성을 봤다. 최근 3개년 영업손실은 757억원(2019년), 542억원(2020년), 338억원(2021년)으로 2년간 수익성을 55% 개선했다.
위메프의 이러한 성과는 재작년부터 이어진 강도 높은 체질 개선과 시스템 운영 효율화가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이는 지난해 2월 취임한 하 대표의 리더십에서 비롯됐다. 하 대표는 취임 직후 2.9%라는 업계 최저 정률 수수료 정책을 내놨고 실적 악화 우려에도 온라인몰 평균 수수료를 16.7%(공정위 2021년 대규모 유통업자 유통거래 실태조사)의 6분의 1 수준으로 낮췄다.
이커머스 업계에서 수수료 정책은 수익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낮추기가 쉽지 않다. 하 대표는 단기적 성과에 연연하지 않고 ‘체질 개선’을 위한 과감한 승부수를 던지는 쪽을 택했다. 위메프 만의 확고한 정체성을 위해 장기적 플랜을 가져가기로 한 것이다.
그 일환으로 전체 판매액 중 이용자 결제액이 고스란히 매출로 계산되는 직매입 규모도 지속적으로 줄여나가고 있다. 지난해 직매입 매출은 575억원으로 전년 대비 48.5% 감소했다.

위메프는 올해에도 손익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테크(메타쇼핑)와 휴먼(큐레이션)을 결합한 유저 중심 ‘플랫폼 고도화’에 속도를 높여 서비스 체질 역시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 2.9% 수수료로 파트너사 및 상품 DB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메타쇼핑과 D2C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여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위메프 관계자는 “지난해 플랫폼 변화를 시도하면서도 뚜렷한 손익 개선을 이끌어 냈다”며 “올해는 플랫폼 고도화에 집중해 중장기적으로 매출과 손익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천김밥축제, 개막 직후부터 인산인해…또 김밥 동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거기 살죠?” 서동주, 기괴한 스토커 음성 공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北, 일종의 핵 보유국…김정은과 만날 의향 100%”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VC 한파 속 산업자본이 움직인다"…포스코, 철강 넘어 기술에 베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中 이노벤트 초대형 딜에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중항체에 쏠리는 눈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