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곡물값 급등에 치솟는 식품주, 마니커·한일사료 상한가 [증시이슈]
- 마니커 전 거래일보다 29% 올라

18일 오전 10시 6분 기준 코스닥시장에서 마니커는 전 거래일보다 29.84%(470원) 오른 2045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 급등해 상한가에 직행했다. 같은 닭고기 기업인 하림 역시 전 거래일보다 14.52%(490원) 오른 3875원에 거래 중이다. 곡물값이 오르면서 한일사료도 전 거래일보다 29.91%(1400원) 오른 60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밖에 유가증권시장에서 CJ제일제당(2.20%), 오리온(0.92%), 농심(1.30%) 등 나란히 상승세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국제 식량 가격이 연일 폭등하고 있다. 지난 1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3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식량가격지수는 지난달보다(141.4포인트) 12.6% 상승한 159.3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1996년 이후 최대치로,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국내 곡물값도 올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2분기 수입 식용 곡물 가격이 지난 분기보다 10.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사료용 곡물은 13.6%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식량 가격이 오르면서 실제 식품업체들은 가격 인상에 나섰다. 지난 1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닭가슴살 파우치 생산업체인 하림, CJ제일제당 등은 이달부터 제품 가격을 10% 이상 인상했다.
김희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농산물 수급 악화를 초래했고 식품 물가 의존도가 높을수록 애그플레이션 영향이 크다”면서 “특히 한국은 쌀을 제외하고는 곡물자립도가 낮아 식품 물가 민감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관세 인플레 유발 조짐에 뉴욕증시↓…엔비디아 4% 급등[월스트리트in]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준호♥김지민, 럭셔리 신혼집 공개..어디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연 350조 보증' SGI서울보증, 보안 인증도 안 받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류성의 제약국부론]K바이오 글로벌 위상 드높이는 AI 대표주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