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이후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빈도 늘어
보이스피싱·개인정보 유출 등 사고도 2.7%p ↑

한국은행은 25일 발간한 ‘2021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설문조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 35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한은은 “20~30대가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고 비대면·온라인 거래를 선호하면서 모바일카드와 선불카드 이용 비중이 커졌다”며 “반면 60대 이상은 신용카드 발급에 제약이 있고, 전자지급수단 이용방법에 미숙한 영향 등으로 현금 이용 비중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빈도에 변화가 있었는지 질문에는 조사 대상자의 42.1%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40대 이하 연령대와 소득 3000만원 이상 가구에서 모바일금융 경험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모바일카드와 선불전자지급수단 등이 보편화되면서 보이스피싱, 개인정보 유출 등 사고를 경험한 사람도 늘었다. 조사대상자의 10%가 최근 1년 내 지급수단의 분실·도난·위변조·보이스피싱 등의 사고나 개인정보 유출 등 부당이용 시도를 겪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2019년 7.3%보다 2.7%p 높아졌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뉴욕증시, 인플레 우려·은행 실적 실망에↓…엔비디아는 4% 급등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준호♥김지민, 럭셔리 신혼집 공개..어디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연 350조 보증' SGI서울보증, 보안 인증도 안 받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류성의 제약국부론]K바이오 글로벌 위상 드높이는 AI 대표주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