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은행 모두 1%대…하나은행 가장 작아
중저신용 비중 높은 토스뱅크는 4% 훌쩍

20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의 8월 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대출 등 정책서민금융을 뺀 가계 예대금리차는 1.73%포인트로 집계되며 5대 은행 중 가장 컸다. 이어 가계 예대금리차는 ▶KB국민은행 1.40%포인트 ▶우리은행 1.37%포인트 ▶신한은행 1.36%포인트 ▶하나은행1.09%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지난달 대출 금리는 다른 은행보다 낮았지만, 3개월 이상~6개월 미만의 단기성 정부 정책자금 예금을 많이 취급하면서 다른 은행 대비 예금 금리가 낮았던 탓에 예대금리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8월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부터는 일부 정책금융상품을 제외한 예대금리차가 따로 공개됐다. 은행권이 7월 첫 공시 이후 저소득·저신용 서민 대상의 정책금융상품의 금리가 높아, 이를 많이 취급할수록 예대금리차가 커지는 왜곡 현상을 지적하자 보완한 결과다.
인터넷전문은행 중에서는 토스뱅크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4.76%포인트로 가장 컸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유일한 수신 상품인 2% 수시입출금식 통장이 수신금리에 미반영 된 영향”이라고 밝혔다.
이어 ▶케이뱅크가 3.13%포인트 ▶카카오뱅크가 1.86%포인트를 기록했다.
지방은행, 외국계은행을 포함해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가운데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4.80%포인트를 기록한 전북은행이었다. IBK기업은행 0.96%포인트로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작았다.
기업 대출까지 포함한 전체 은행의 예대금리차 통계를 보면, 5대 은행 가운데 NH농협은행이 1.78%포인트로 가장 컸다. 이어 ▶KB국민은행 1.45%포인트 ▶우리은행 1.43%포인트 ▶신한은행 1.39%포인트 ▶하나은행 1.20%포인트 순이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40만닉스 간다…3분기 11.3조 영업익 가능-현대차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500 바라보는 코스피…‘8만전자’ 달성도 초읽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옥석 가리는 AI의료]루닛 이후 2세대 기업도 1조 클럽 가능…뜨는 다크호스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