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28

신세계 ‘화성국제테마파크’ 첫 공식 인허가...2029년 오픈 목표

유통

화성국제테마파크가 글로벌 IP사 유치에 이어 화성시 최초의 관광단지로 지정, 공식적인 인허가 절차의 첫 단추를 꿰며 본궤도에 올랐다.신세계화성은 오는 31일 경기도 화성시 송산 그린시티 특별계획구역8 테마파크 용지 일원 약 86만평이 경기도로부터 ‘화성국제테마파크 관광단지’로 지정, 고시된다고 밝혔다. 경기도 최대 규모 관광단지이자 화성시 최초의 관광단지다.‘화성국제테마파크 복합개발사업’은 신세계화성이 경기도 화성시 송산 그린시티 내 127만평 규모 부지에 테마파크·워터파크·스타필드·골프장·호텔·리조트·공동주택 등을 집약한 복합단지를 건립하는 사업이다.이번 관광단지 지정은 지난 17년 간 숙원해 온 화성국제테마파크 복합개발사업이 공식적인 인허가 단계를 처음으로 통과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지난 2007년부터 시작된 화성국제테마파크 복합개발사업은 그간 2차례 무산되는 등 위기를 겪었으나, 신세계프라퍼티 컨소시엄이 2019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래 2020년 사업 협약 체결, 2021년 토지 매매계약을 거쳐 2023년 마스터 플랜을 완성하는 등 사업의 토대를 착실히 마련해 왔다.지난 7월에는 사업단지 공식 명칭을 ‘스타베이 시티’(일상과 비일상적 경험이 어우러져 빛나는 곳이라는 의미)로 선정, 사업 의지를 공고히 했다. 10월에는 글로벌 미디어 그룹 ‘파라마운트 글로벌’(Paramount Global)을 테마파크 IP사로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나아가 신세계화성은 이번 관광단지 지정 인허가까지 완료하며 본격적인 스타베이 시티 실현에 나서게 됐다.관광단지는 다양한 관광 및 휴양을 위해 각종 관광시설을 종합적으로 개발하는 관광 거점지역으로 개발 필요성·타당성·관광개발계획 적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지정된다.스타베이 시티는 경기도 최대 규모 관광단지로서 국내 최초의 파라마운트 브랜드를 활용한 테마파크를 비롯해 각종 엔터테인먼트·문화·휴양·여가·쇼핑·주거까지 다양한 콘텐츠와 시설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수도권 및 인천국제공항으로부터 접근성이 뛰어나 국내외 관광객 유치에 유리하고, 공룡알화석지 등 인근 관광자원도 풍부한 만큼 향후 아시아 대표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해 지역 경제와 국내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경기도와 화성시는 성공적인 사업 착수를 위해 두 팔을 걷어붙였다. 경기도는 지난 10월 민간개발 지원센터 1호 안건으로 ‘화성국제테마파크 관광단지 조성사업’을 선정하고, 경기도·화성시·신세계화성 간 상호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원 사안을 논의하는 등 신속한 행정 처리를 추진하고 있다. 화성시 역시 경기도와 함께 조속한 인허가 등 행정 절차를 적극 지원 중이다.신세계화성은 관광단지 조성계획 수립을 준비하고 있다. 2025년 내 관광단지 조성계획을 승인받아 2026년 착공에 돌입, 2029년 개장이 목표다.

2024.12.30 11:30

2분 소요
대구 범어·수성·대명·산격지구 등 4개 대규모 노후 주택지 통개발

정책이슈

대구시가 지역 대표적 노후주택지에 대해 '통개발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입지 여건과 잠재력을 가진 노후주택지를 미래 50년을 상징하는 미래지향적 주거 공간으로 탈바꿈 시킨다는 청사진이다.대구시는 18일 노후 주택지 통개발 마스터플랜을 발표하고, '대구형 5분 동네'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통개발 마스터플랜은 범어, 수성, 대명, 산격 등 4개 지구(7.42㎢)를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공간 혁신사업이다.범어지구는 ‘프리미엄 주거지’로 조성하기 위해 지형과 조화되는 주택 유형을 배치했고, 야시골 공원에서 동촌유원지로 이어지는 녹지가로를 조성해 주민들의 산책 및 휴식 공간을 확대한다.수성지구는 신천에서 수성유원지 그리고 범어공원으로 이어지는 녹지 가로와 통경축을 확보하고 들안길·동대구로의 여건을 고려한 개발을 유도한다.대명지구는 앞산으로 이어지는 녹지·경관축을 살리고 안지랑 곱창거리·앞산 카페거리 등의 특성을 극대화해 주변과 조화롭게 개발될 수 있도록 했다.마지막으로 산격지구는 신천에서 연암공원으로 이어지는 통경축을 확보해 미래 세대를 위한 주거환경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했다. 대구시는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최소 10만 m2 이상 대규모 블록 단위로 개발해, 잔여부지 발생을 방지하고 5분 이내에 일상 생활시설 이용이 가능한 '대구형 5분 동네'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통개발 마스터플랜 적용 대상지는 고층 및 중·저층 주택 등으로 구성된 표준모델이 최소 개발 규모가 되며, 평균 용적률 220%, 기반 시설률 20%를 목표로 개발된다.또, 민간이 통개발 마스터플랜에서 제시하는 커뮤니티 가로, 동네 인프라, 20분 산책로 등 계획 요소를 충족하면 종상향을 허용하도록 해, 민간의 공공시설 부담 의무를 대폭 줄였다.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형 5분 동네 사업은 노후 주택단지 정비를 통해 쾌적한 미래형 주택단지를 조성하는 대구시의 공간혁신 사업이다”고 말했다.홍성철 기자 thor0108@edaily.co.kr

2024.04.18 18:00

2분 소요
대보건설, 지난해 수주 1조원 돌파…“공공 역량 집중”

부동산 일반

지난해 대보그룹의 건설 계열사 대보건설이 2년 만에 수주 1조원을 돌파했다. 대보건설은 지난해 연간 수주 실적을 집계한 결과 1조1170억원을 수주했다고 4일 밝혔다. 대보건설은 2017년 최초로 수주 1조원을 돌파한 이후 2020년과 2021년 2년 연속 수주 1조원을 달성했다.먼저 토목 부문에서는 울산지사 원유배관 교체공사, 외룡~봉화 천연가스 공급시설 제1공구 건설공사, 행정중심복합도시 5-2생활권 조성공사 등을 수주했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올해 종합심사낙찰제 공사 중 마지막 대어로 꼽힌 인덕원~동탄선 복선전철 노반신설 공사 중 총 공사비 2025억원 규모의 6공구를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건축 부문에서는 광주 종합운동장(주경기장) 건립공사를 수주했다.또 시공책임형 CM(CMR) 입찰 방식으로 평택고덕 A4블록 민간참여 공동주택사업, 고양 일산테크노밸리 조성공사를 수주했다. 일산테크노밸리는 경기북부 대표 자족형 최첨단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법곳동 일원에 약 26만평(871,840㎡) 규모의 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지하차도 1개소와 교량 5개소를 포함하고 있다. 그린스마트스쿨 낙동초 외1교(금양중) 임대형 민간투자사업, 한국해양대학교 시설개선 임대형 민자사업(BTL) 등 교육 관련 민자사업에서도 실적을 추가했다. 민간 부문에서는 부산 동매역 지식산업센터와 함께 부천 원종동 우성빌라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다수의 정비사업을 수주했다.대보실업도 수주 목표 1000억원을 초과한 1178억원의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대보건설 관계자는 “꾸준히 역량을 축적해 온 공공부문의 강점을 살려 2년만에 다시 1조원을 돌파했다”며 “2024년에도 공공부문에 역량을 집중하고 민간과 공공아파트 6만5000여가구의 실적을 바탕으로 사업성이 우수한 민간개발사업과 도시정비사업을 선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4.01.04 16:52

2분 소요

부동산 일반

국내 증권시장에 상장된 10대 건설사의 상반기 미청구공사액이 1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불황에 빠지면서 GS건설을 제외한 모든 건설사의 미청구공사액이 일제히 증가했다. 미청구공사액이 사업장에서 공사를 진행하고도 받지 못한 ‘외상값’에 해당되는 만큼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위기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건설사 입장에선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10대 건설사의 미청구공사액(미청구공사채권)은 총 17조8944억원으로 지난해 말(14조4114억원) 대비 24.2% 증가했다. 6개월 만에 3조원 이상 늘어난 수치로 한 달에 5000억원 이상 증가한 셈이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도급순위에 따르면 국내 증권시장에 상장된 10대 건설사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DL E&C ▲포스코건설 ▲GS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HDC현대산업개발이 포함된다. 재무제표상 미청구 공사 항목은 건설사가 발주처에 대금을 청구하지 못한 미수채권을 뜻한다. 건설 공사는 장기간에 걸쳐 공사 진행률에 따라 발주처로부터 대금을 회수하게 되는데 만약 공정률을 인정받지 못하거나 수주금액을 초과한 실제 공사비를 받지 못하면 미청구 공사로 반영된다. 통상 미청구 공사는 공사기간 지연과 원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발생한다.미청구공사액이 공사를 진행하고도 발주처로부터 대금을 지급 받지 못한 돈인 만큼 건설사 입장에선 잠재적 손실로 인식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미청구공사액이 증가할수록 건설사의 수익성 둔화와 재무건전성 악화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삼성물산·현대건설 비중 40%업체별로 보면 미청구공사액 규모가 가장 큰 곳은 현대건설이다. 현대건설의 올해 상반기 기준 미청구공사액은 4조9700억원으로 지난해 말(3조7347억원) 대비 33.1% 늘었다. 10대 건설사 미청구공사액 중 현대건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27.8%에 달했다. 현대건설의 천문학적 미청구공사액은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으로 꼽히는 둔촌주공 사업장과 관련이 깊다. 과거 둔촌주공 조합과 시공사업단 간 시공비 갈등이 불거지면서 공사에 차질이 발생했고 미청구공사액 증가로 이어진 것이다. 실제 둔촌주공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재착공 돌입과 올해 1분기 무순위청약 완판 등으로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지만 사업 규모가 워낙 크다 탓에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물산은 10대 건설사 중 미청구공사액 증가폭이 가장 컸다. 삼성물산의 올해 상반기 기준 미청구공사액은 2조4230억원으로 지난해 말(1조1503억원) 대비 110.6% 급증했다. 이에 따른 삼성물산의 미청구공사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5%다.삼성물산의 미청구공사액 증가는 대형 프로젝트인 삼성전자 평택공장(5354억원)에서 발생한 매출 영향이 크다. 삼성전자 평택공장 건설에 속도가 붙으면서 수주액이 매출로 빠르게 전환됐고, 그 과정에서 미청구공사액 역시 크게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업계에서는 삼성물산의 미청구공사액 상당수가 삼성전자 등 우량 사업자로부터 비롯됐다는 점과 전체 수주잔고 등을 고려했을 때 위험성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지난해 하반기 이후 불안한 행보를 이어오고 있는 롯데건설도 미청구공사액이 2조원에 육박했다. 롯데건설의 도급순위가 8위로 10대 건설사 중 약체로 분류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미청구공사액이 다소 과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롯데건설의 올해 상반기 미청구공사액은 1조7153억원으로 지난해 말(1조4727억원) 대비 16.5% 늘었다. 롯데건설의 미청구공사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6%다. 롯데건설은 시행사에 대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지급보증과 정비사업 지급 보증, 민간개발사업 자금보충약정 등 우발 채무 규모가 크게 늘어나면서 잠재적 위험이 커진 상태다. 디엘이앤씨·GS건설 안정성 돋보여디엘이앤씨는 모든 건설사들의 미청구공사액이 조 단위를 기록하는 와중에도 9000억원대를 유지했다. 증가폭 역시 전체 평균(23.6%)보다 2배 이상 낮아 안정감이 돋보였다. 디엘이앤씨의 올해 상반기 기준 미청구공사액은 9192억원으로 지난해 말(8255억원) 대비 11.4%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대우건설(3.8%) 다음으로 낮은 증가폭이다. 디엘이엔씨의 미청구공사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로 10위에 해당된다. 디엘이앤씨가 이처럼 낮은 수준의 미청구공사액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보수적인 수주 전략 덕분이다. 호황기에 수주 전략을 보수적으로 취할 경우 경쟁사 대비 성장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지만 요즘과 같이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선 오히려 안정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주차장 붕괴 사고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GS건설의 경우 10대 건설사 중 유일하게 미청구공사액이 감소했다. GS건설의 올해 상반기 기준 미청구공사액은 1조1878억원으로 지난해 말(1조5213억원) 대비 21.9% 줄었다. GS건설의 미청구공사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6%다. 검단 신도시 사업장의 철거 및 재시공으로 대규모 충당부채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미청구공사액 관리에 집중하며 불확실성을 최소화했다는 평가다.앞서 지난 4월 29일 GS건설 컨소시업이 시공한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안단테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공사 중인 지하주차장 일부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GS건설은 총 1770가구에 달하는 해당 단지를 전면 철거하고 다시 짓고, 재시공에 따른 모든 비용을 부담하기로 했다. 이밖에 ▲포스코이앤씨 1조6833억원(23.7%↑) ▲현대엔지니어링 1조4465억원(16.6%↑) ▲대우건설 1조2514억원(3.8%↑) ▲SK에코플랜트 1조2020억원(21.5%↑) ▲HDC현대산업개발 1조959억원(20.3%↑) 순으로 미청구공사액이 많았다.

2023.09.18 06:00

4분 소요
10대 건설사 미청구 공사액 14조 돌파…3개월 만에 2.2조 증가

부동산 일반

국내 10대 건설사의 미청구 공사액이 14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금리 인상과 늘어난 미분양 물량 여파로 미청구 공새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발주처에 대금을 청구하지 않은 미청구 공사 특성상 당장 실적에 영향을 끼치진 않지만 부동산 경기 회복이 요원한 상황에선 장기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10대 건설사의 미청구 공사액은 총 14조2516억원으로 전년 말(12조496억원) 대비 18.3% 증가했다. 3개월 만에 2조원 이상 늘어난 셈이다. 10대 건설사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2년 도급순위에 따른 것으로 ▲삼성물산 ▲현대건설 ▲DL E&C ▲포스코건설 ▲GS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HDC현대산업개발이 포함된다. 재무제표상 미청구 공사 항목은 건설사가 발주처에 대금을 청구하지 못한 미수채권을 뜻한다. 건설 공사는 장기간에 걸쳐 공사 진행률에 따라 발주처로부터 대금을 회수하게 되는데 만약 공정률을 인정받지 못하거나 수주금액을 초과한 실제 공사비를 받지 못하면 미청구 공사로 반영된다. 건설사 입장에선 공사를 진행하고도 대금을 지급 받지 못하는 만큼 미청구 공사 항목을 잠재적 손실로 취급한다. 통상 미청구 공사는 공사기간 지연과 원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발생한다. 부동산 경기 악화에 미청구 공사액 증가세부적으로 보면 미청구 공사액이 가장 많은 건설사는 현대건설로 올해 1분기 기준 3조6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2조4032억원) 대비 25.1% 늘어난 것으로 10대 건설사 전체 미청구 공사액 중 22%에 해당하는 수치다.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으로 꼽히는 둔촌주공 사업장에서 조합과 시공사업단 간 시공비 갈등이 불거지며 공사에 차질이 발생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4분기 둔촌주공이 재착공에 들어갔지만 1조원이 넘는 추가 시공비를 두고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라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평가다.현대건설 다음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많은 건설사는 업계 1위 삼성물산이다. 삼성물산의 올해 1분기 기준 미청구 공사액은 1조7115억원으로 전년 대비 78.8% 급증했다. 삼성물산의 미청구 공사액 증가폭은 10대 건설사 중 최대 수준이다. 다만 다른 건설사들과 달리 관계사인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 현장을 비롯해 대다수가 우량 사업으로 분류돼 비교적 손실 위험이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지난해 부실 논란이 불거진 롯데건설도 미청구 공사액이 같은기간 1조4727억원에서 1조6609억원으로 늘어나며 뒤를 이었다. 롯데건설은 시행사에 대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지급보증과 정비사업 지급 보증, 민간개발사업 자금보충약정 등 우발 채무 규모가 크게 늘어나면서 잠재적 위험이 커진 상태다. 반면 GS건설은 10대 건설사 중 미청구 공사액이 유일하게 줄었다. GS건설의 미청구 공사액은 지난해 말 1조1885억원에서 올해 1분기 9562억원으로 19.5% 감소했다. 다만 GS건설의 경우 최근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에서 발생한 신축공사 붕괴사고로 미청구 공사액이 다시금 증가해 불확실성을 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이밖에 ▲현대엔지니어링 1조5678억원(26.4%↑) ▲포스코건설 1조3047억원(26.6%↑) ▲대우건설 1조2302억원(2.7%↑) ▲HDC현대산업개발 9793억원(7.6%↑) ▲DL E&C 9540억원 (15.8%↑) ▲SK에코플랜트 8803억원(6.6%↑) 순으로 미청구 공사액이 많았다. SK에코플랜트 미수금 대폭 감소 반면 10대 건설사의 공사 미수금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기준 10대 건설사의 공사 미수금은 총 6조8360억원으로 전년 말(8조9566억원) 대비 23.7% 감소했다.공사 미수금은 도급받은 공사를 완료하거나 약속한 진행률에 도달했을 때 발주처에 공사비를 청구했지만 받지 못한 금액을 뜻한다. 공사비를 받지 못한 만큼 건설사 자체 재원으로 이를 충당해 공사를 진행한 셈이다. 공사 미수금은 통상 대손충당금 비중이 낮아 발주처 파산 등의 위험이 발생할 경우 공사비를 회수하지 못해 대형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공사 진행률에 도달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공사비 청구 권리가 인정되지 않아 돈을 못 받는 미청구 공사금액과 다른 성격의 채권이다.공사 미수금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SK에코플랜트다. SK에코플랜트의 올해 1분기 기준 공사 미수금은 3809억원으로 지난해 말(1조439억원) 대비 63.5% 급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중 중단됐던 공사가 재개되면서 공사비 정산이 이뤄진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밖에 삼성물산(1조5587억원·49.3%↓)과 HDC현대산업개발(2259억원·34.5%↓), 롯데건설(5762억원·33.9%↓) 대우건설(4360억원·4.6%↓), 현대건설(8943억원·2%↓)도 공사 미수금이 감소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DL E&C 포스코건설, GS건설은 공사 미수금이 늘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DL E&C, 포스코건설의 올해 1분기 기준 공사 미수금은 각각 3554억원 2788억원, 2698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7.1%, 5.5%, 11.5% 증가했다. 미청구 공사액을 크게 줄인 GS건설의 경우 공사 미수금은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나 눈길을 끌었다. 같은 기간 GS건설의 공사 미수금은 1조4086억원에서 1조8600억원으로 32% 급증했다.시장에서는 부동산 경기 회복이 더디고 경기침체가 장기화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미청구 공사액과 공사 미수금 증가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미청구 공사액을 줄이기 위해선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해소돼야 한다”며 “하지만 가파른 금리 인상과 공사비 상승 등 외부 요인으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해결이 요원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2023.05.27 08:00

4분 소요
그룹 관계사에 발목 잡힌 롯데건설…못 받은 미수금만 2400억 [이코노 리포트]

산업 일반

최근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롯데건설의 공사미수금이 1조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롯데케미칼을 비롯한 그룹 내 관계사로부터 받지 못한 공사 미수금도 2400억원에 달해 롯데건설의 유동성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건설의 지난해 말 기준 공사미수금은 총 1조670억원으로 전년(7940억원) 대비 34.4% 증가했다. 이 중 특수관계인 롯데케미칼과 부산롯데호텔 등 그룹 내 관계사로부터 받지 못한 공사미수금은 2388억원으로 같은 기간(1581억원) 대비 44.7% 급증했다. 이는 전체 공사미수금 중 22.4%에 해당된다. 즉 롯데건설의 공사미수금을 100만원으로 가정했을 때 그룹 내 관계사들로부터 22만4000원을 받지 못한 셈이다.공사미수금은 도급받은 공사를 완료하거나 약속한 진행률에 도달했을 때 발주처에 공사비를 청구했지만 받지 못한 금액을 뜻한다. 공사비를 받지 못한 만큼 건설사 자체 재원으로 이를 충당해 공사를 진행한 셈이다. 공사미수금은 통상 대손충당금 비중이 낮아 발주처 파산 등의 위험이 발생할 경우 공사비를 회수하지 못해 대형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공사 진행률에 도달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공사비 청구 권리가 인정되지 않아 돈을 못 받는 미청구 공사금액과 다른 성격의 채권이다.이처럼 공사 미수금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롯데건설의 재무 부담 역시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미 롯데건설은 시행사에 대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지급보증과 정비사업 지급 보증, 민간개발사업 자금보충약정 등 우발 채무 규모가 크게 늘어나면서 잠재적 위험이 커진 상태다. 실제 롯데건설은 #현대건설과 #태영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동부건설, #코오롱글로벌, HL디앤아이한라와 함께 우발채무가 현금 유동성보다 높은 위험 건설사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현대건설과 롯데건설, 태영건설은 브릿지론 규모가 1조원을 넘는다.홍세진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부동산경기 침체 장기화 시 위험군 우발채무 외에서도 부실화 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자체 차입금, 공사비 선투입 부담, PF 우발채무 부담 확대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건설은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로 부동산 PF 시장이 경색되며 유동성 위기를 겪은 바 있다. 회사 측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관계사와 시중은행 등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 롯데건설은 지난해 11월 보통주 148만5450주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운영자금 1782억원을 조달한 바 있다. 이 중 9772주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1억7254만원의 사재를 통해 매입했고 롯데케미칼과 호텔롯데도 각각 875억7758만원(72만9874주), 861억3590만원(71만7859주)를 투입했다. 이외에도 롯데건설은 롯데케미칼에서 5000억원을 차입했고 롯데정밀화학과 롯데홈쇼핑에서도 각각 3000억원, 1000억원을 빌렸다. 하나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 시중은행에서도 총 3500억원을 차입한 바 있다.

2023.04.21 06:30

2분 소요
강남따라잡기① 강남도 처음엔 신도시였다[김현아의 시티라이브]

전문가 칼럼

‘강남’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는가. 아파트, 학군, 부자 동네 등등이 있을 것이다. 싸이의 ‘강남스타일’로 강남은 세계적인 유명세를 얻기도 했다. 즉 강남만이 보유한 묘한 특성과 브랜드 가치가 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다. 그런데 지금의 강남이 단지 ‘각본도 없던 드라마’로부터 시작돼 개발됐다면 사람들이 믿을까? 이 같은 선택이 종국적으로 기존의 강북을 죽이면서 강남을 새로운 서울의 중심으로 부각시키게 됐는데 말이다. 그 시발은 경부고속도로 건설로부터였다. 엄격히 말하면 고속도로의 도로용지 확보가 강남 개발의 목적이었다. 서울은 당초 여의도를 거점으로 서울-인천 축으로 성장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경부고속도로 사업 때문에 기존의 ‘서울-인천 각본’이 폐기처분되었고, 당시에는 수요가 없던 강남에 아주 특별한 개발이 시작됐다. 강남 개발, 도로부지 확보 위해 시작 단지 그 이유 때문에 강남 일대에선 세계에서 전무후무한 규모의 구획정리사업이 시작된다. 처음부터 사업은 대규모였다. 최근 수도권 신도시 규모만한 1034만㎡(313만평)으로 시작된 개발 면적은 그 후 1719만㎡(520만평)으로 확대되기에 이른다. 게다가 애초에 계획된 개발이 아니었기에 청사진이 있을 리 만무했고 강남 개발은 머릿속에 그린 그림을 맞추어가는 그야말로 ‘숨은 그림찾기’였다고 할 수 있다.사업은 급박하게 진행됐다. 정부는 현재의 강남구와 서초구를 도시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 1966년 도시기본계획에 이 지역을 부도심으로 계획한다. 부도심 지정 배경에는 같은 해인 1966년 1월에 착공되어 1969년 2월에 준공된 제3 한강교(현재의 한남대교) 건설과 앞서 설명했듯 1968년 2월에 착공되어 1970년 7월에 개통된 경부고속도로 건설이 있었다. 이는 경부고속도로의 기점이 바로 현재의 한남대교 남단으로부터 시작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서울시는 도로주변 용지 1686만㎡(510만평)을 ‘영동 제1지구 구획정리사업(1968년 2월 1일에 실시・인가)’으로 신속히 개발한다. 사업비는 저가에 매수한 토지를 구획정리한 후 체비지를 매각하는 방식으로 조달됐다. 서울시는 1970년 6월 16일 한수이남계획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강남 신시가지개발을 시작한다. 이 계획은 영동 제2지구 1207만㎡(365만평)과 잠실지구 582만㎡(176만평)에 새로운 계획도시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었다. 현재 강남의 모습은 이 때 갖춰졌다. 한강 이남 건너 간 건 제비뿐, ‘특단의 조치’ 나와전 방위적인 개발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강남 지역에 주택 건설이나 주거이동이 극히 부진했다. 아무 것도 없는 강남에 사람을 모으기란 쉽지 않았다. 지금은 상상하긴 어렵지만 당시는 아무리 강남에 가라고 해도 가지 않던 때였다. 강남은 기존 도심에서 너무 멀었고, 가봐야 허허벌판에 아파트뿐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는 힘없는 공무원부터 강남으로 보냈다. 학교도 보냈다. 강남 8학군은 그렇게 탄생했다. 교통체증을 이유로 고속버스 터미널도 강남으로 옮긴다. 정부의 강남개발을 위한 개입은 억지에 가까웠다. 기존의 강북을 죽이면서 강남은 그렇게 생명력을 얻고 있었다. ‘강남 완성’의 과정은 흥미롭다. 정리해보면, 대부분의 신도시가 아파트 먼저 짓고 그 나머지 기능들을 채워갔던 것에 비해 강남은 한남대교와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결정하고 그것을 완성하기 위해 주거지를 채워 넣었다. 또한 연접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특단의 지원책이 있었다. ‘베드타운’과 ‘비(非)베드타운’의 차이는 도시완성의 순서가 결정한 셈이다.그럼 여기서 강남 이전을 유도한 ‘특정지구 개발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을 좀 살펴보자. 도대체 어떤 당근이 있었기에 강남으로 사람과 자본을 이동시켰을까. 1972년 12월 30일 법률 제2436호로 제정・공포된 ‘특정지구 개발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은 강남지구를 특정지구로 고시함과 동시에 1975년까지 해당지역에 영업세·등록세·취득세·재산세·면허세 등 세제상의 혜택을 주었다. 민간 아파트 단지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공부분이 먼저 총대를 멨다. 1972년 거점개발전략으로써 서울시 공무원 아파트와 시영주택단지가 개발되는데 이는 민간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마중물 사업이었다. 지금은 대부분 재건축으로 그때의 모습이 사라지거나 사라지고 있는 개포・압구정・청담・도곡・이수지구 아파트 단지가 모두 이때 건설됐다. 그러고 보면 강남은 신도시개발 이후 30년 만에 재건축으로 이미 다시 태어나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이 같은 강남의 급성장 배경에는 강북의 상대적 희생이 있었다. 이 당시는 남북관계가 적대적 대립관계였기 때문에 한강 이북지역은 ‘한수이북’이라고 부르면서 특별관리를 받게 된다. 그러던 차에 강북의 주요 학교, 기관들을 대거 강남으로 이전시키면서 대규모 주거단지개발까지 병행되자 강북지역은 상대적인 열세를 띨 수밖에 없었다. 특히 아파트 위주의 대단위개발은 동질적인 중산층의 집단거주지로 인식되었고 강남지역의 개발과 성장을 위한 재정적 투자와 정책적 배려는 강북과의 뚜렷한 차이를 촉발시켰다. 강남이 격자형의 신세계로 변모하는 동안 강북의 도심 낙후지역과 사대문 밖 불량주택 밀집지역에는 도시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됐고 이로 인해 도시기능의 쇠락이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서울시 도시공간의 불균형은 이전보다 심화됐고 특히 주거지의 공간분화는 강남으로 무게중심을 보다 빨리 옮기는데 기여했다. 주거지 분화와 관련해 동질적인 중산층의 집단 이주는 향후 해당 지역을 특별한 근린으로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강남이 신흥 주거지로 자리 잡아갈 때쯤 나온 유행어가 바로 “아직도 강북에 사십니까?”이다. 600년 도읍지로서의 강북 서울이 개발에 착수한지 불과 10여년도 지나지 않은 강남에 패권을 넘겨줄 때 만들어진 냉소적인 농담인 셈이다. (다음 편에 계속)

2023.04.09 10:00

4분 소요
영화 속 ‘미래도시 서울’ 볼 수 있을까…달라지는 스카이라인

부동산 일반

서울 용산구 래미안 첼리투스와 성동구 트리마제는 강북 한강변 스카이라인을 바꾼 대표 건물로 통한다. 성냥갑 아파트 대신 시원하게 뻗은 현대적인 건축물이 한강변을 지나가는 이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두 개 단지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장직에서 사퇴하기 전인 2009년 부지 25% 이상을 기부채납하는 정비사업에 대해 최고 50층 건립을 허용했던 당시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이들 아파트는 지금까지 ‘디자인 서울’, ‘한강 르네상스’를 기치로 내걸었던 오 시장 정책을 상징하는 곳으로 꼽힌다.2019년 4월 보궐선거를 통해 서울시장이 바뀌었을 때 시장에서 기대했던 변화 역시 이 같은 높이규제 완화에 집중됐다. 한정된 땅에 집중된 주거와 업무 수요를 충족하는 방식은 공간을 위로 확장하는 것 뿐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답답했던 도시 미관을 ‘글로벌 선도도시’라는 야심에 걸맞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방법이기도 하다. 지난해 발표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은 이 같은 기대를 웃돈 수준이었다. 그동안 경직된 ‘관(官)’의 불가침 영역으로 취급되던 용도지역, 용적률 규제가 대폭 완화된 것이 골자다. 제목 그대로 2040년까지 완성을 목표로 추진되는 이 기본계획에 따라 뉴욕, 싱가포르 등 세계적인 금융 허브에서 볼 수 있던 독특한 디자인의 초고층 건물을 미래 서울에서도 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초고층 빌딩 숲’ 되나이 같은 높이 규제완화의 결과가 가장 극대화할 곳은 용산 철도정비창과 종로 세운지구가 될 전망이다. 첫 주자는 ‘비운의 금싸라기 땅’으로 불리는 용산 철도정비창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 철도정비창에 조성되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해 법적 상한 용적률을 1500% 이상으로 높이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용적률 상한이 1500%를 넘길 경우 국내 최고층 건물인 롯데월드타워(높이 555m)보다 높은 건물이 들어설 수 있다. 롯데월드타워 용적률은 800% 가량이다. 서울시는 ‘비욘드 조닝’(Beyond Zoning)이란 개념을 제시했다. 비욘드 조닝은 건축물의 용도 및 용적률, 층수 등을 제한하던 기존의 ‘용도지역’ 제도를 전면 완화하는 개념으로, 용도지역에 따른 법적 용적률에 더해 조례로 이중 규제를 하던 서울시의 도시계획 방향이 완전히 전환된 셈이다. 기존 토지용도와 상관없이 건물을 주거와 상업 등으로 복합 개발할 수 있어 한정된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고밀개발에 적합하다. 한국철도공사가 보유한 용산국제업무지구 부지는 서울 한강변 중심에 있어 서울의 전체적인 스카이라인을 바꿀 뿐 아니라 규제완화 정책의 테스트베드로서 쓰일 전망이다. 용산은 물론 종로 세운지구에도 이 같은 개념이 적용할 계획이다.‘글로벌 스탠다드’에 한 발, 난개발 우려도 나와 비욘드 조닝 등은 용산 개발계획 발표에 앞서 같은 해 3월 공개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기본계획의 중요한 지침으로서 수립된 2040년 서울의 미래상은 ‘살기 좋은 나의 서울, 세계 속에 모두의 서울’이다. 서울시는 ‘살기 좋은 나의 서울’을 실현하는 대표적 방안으로 주거·업무·여가 기능을 통합해 일상생활을 도보 30분 내에서 향유하는 ‘보행일상권 강화’를 계획하고 있다. ‘세계 속에 모두의 서울’은 중심지 기능 고도화를 통한 ‘중심지 기능 혁신’을 통해 실현될 전망이다. 특히 개발 영역에서뿐 아니라 경제·산업적인 측면에서 규제완화, 창업지원 역시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됐다. 지난 1월 2040서울도시기본계획이 원안대로 확정 공고됨에 따라 실현에 한 발 다가선 상태다. 2월 9일 오세훈 시장은 해당 계획을 기초로 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을 발표하면서 “성냥갑 아파트 퇴출 2.0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이번 혁신방안에서도 특색 있고 상징성 있는 건물 디자인을 위한 규제개혁 및 행정지원 개선이 핵심을 차지했다. 민간개발에 대해 공모를 통한 혁신 건축 디자인 제안을 할 경우 높이, 용도 등 규제완화와 법정 용적률 120% 상향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그러나 일각에선 규제완화의 부작용으로 서울시가 난개발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허드슨야드 같은 모범 사례가 될 수 있지만, 홍콩 아파트촌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2021년 정부가 도심 주택공급을 위해 역세권 용적률을 700%까지 완화하는 방안을 내놨을 때부터 이 같은 우려는 꾸준히 제기됐다. 이에 대해 서울시와 정부는 규제완화가 제한적이므로 난개발 우려는 기우라는 입장이다. 최진석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현재 서울의 주거지역은 너무 주거지역스럽고, 업무지구는 너무 업무지구스럽다”며 “쌍문동처럼 생활편의시설이 부족한 주택밀집지역을 비욘드 조닝을 통해 복합용도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라고 풀이했다. 때문에 “특정지역에 주거와 상업시설이 동시에 들어가도 난개발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3.03.13 07:32

4분 소요
이재명 “법치 탈 쓴 정권퇴행에 경고 보내달라”…체포안 부결 호소

정책이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자신에 대한 체포동의안에 대해 “법치의 탈을 쓴 정권의 퇴행에 엄중한 경고를 보내달라”며 부결 처리를 촉구했다.이 대표는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신상발언을 통해 “권력자가 국가위기와 국민고통을 외면한 채 권력을 사적으로 남용하는 것은 주권자에 대한 배반이자 민주공화정에 대한 도전”이라며 이같이 밝혔다.이 대표는 “국가적 위기와 민생의 고통이 큰 지금 참으로 안타까운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뚜렷한 혐의도 없이 제1야당 대표를 구속 시키려는 헌정 사상 초유의 이번 사태는 대한민국 헌정사에 역사적인 한 장면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또 “영장 혐의 내용이 참으로 억지스럽다”며 “돈을 버는 것이 시장의 의무도 아니지만 적극 행정을 통해서 5503억원을 벌었음에도, 더 많이 벌었어야 한다라며 배임죄라고 주장한다”고 설명했다.그는 “개발이익중 70%를 환수못했으니 배임죄라는데, 70%는 대체 어디서 나온 기준이냐”며 “그렇다면 개발이익 환수가 아예 0%인 부산 엘씨티나 양평공흥지구, 일반적인 민간개발허가는 무슨죄가 되냐”고 반문했다.또 “대법원도 번 돈이 5503억원이라 판결했는데 검찰은 여전히 1830억이라 우긴다”며 “미르재단과 달리 성남FC는 성남시조례로 설립된 시 산하기업이라 사유화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성남FC는 시예산으로 운영되는만큼 자체수입이 늘면 세금지원이 줄어 성남시가 혜택볼 뿐, 누구도 사익을 취할 수 없고 실제 사익을 취한 바도 없다”며 “기업유치를 위한 성남시 행정은 모두 적법하고 정당했다”고 주장했다.이 대표는 “50억 클럽은 면죄부를 주고, 도이치모터스는 수사하지 않는 윤석열 검찰이 이재명은 반드시 잡겠다고 검사 60여명을 투입해 근 1년간 탈탈 털고 있다”며 “저를 겨냥한 압수수색이 보도된 것만 332차례, 윤 대통령 취임후 매일 한건 꼴”이라고 비판했다.그러면서 “무죄추정, 불구속수사원칙은 차치하더라도 소환요구에 모두 응했고 주거부정, 도주나 증거인멸 우려 같은 구속사유도 없다. 영향력이 큰 제1야당대표라 구속해야한다는 등의 해괴한 억지와 정치적 언어만 가득하다”면서 “수사가 사람을 향해 있다. 목표물을 잡을 때까지 사법사냥을 한다”고 강조했다.

2023.02.27 16:10

2분 소요
글로벌세아, 쌍용건설 사실상 인수…해외 디벨로퍼 도약 기대

건설

글로벌 의류 제조 및 판매기업인 글로벌세아그룹이 해외 건설 명가로 꼽히는 쌍용건설 인수에 나섰다. 쌍용건설은 다양한 시공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세아그룹 계열사와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해외 디벨로퍼로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글로벌세아그룹은 두바이투자청에 쌍용건설 입찰참여의향서를 단독으로 제출하며 인수 작업에 나섰다. ━ 글로벌세아, 쌍용건설 지분 매입 후 대규모 유상증자 예정 글로벌세아그룹이 쌍용건설을 인수하는 이유는 두바이투자청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투자 계열사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했기 때문이다. 글로벌세아그룹은 쌍용건설이 보유한 약 7조원 규모의 수주 잔고와 해외 인지도, 시공 경험과 기술력을 활용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전망이다. 두바이투자청은 국부펀드로 공사입찰 초청 외에 적극적인 지원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계열사인 쌍용건설을 발전시킬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글로벌세아에서 지분 인수뿐 아니라 쌍용건설을 발전시키기 위한 대규모 유상증자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지분 매각가와 유상증자 규모 등은 인수 전까지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한 관계로 알려지지 않았다. 글로벌세아그룹은 이르면 오는 7월 말 주식매매계약(SPA)을 목표로 두바이투자청과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글로벌세아는 섬유 및 의류 제조업에 주력하는 세아상역을 중심으로 종합제지업체 태림페이퍼, 글로벌 설계‧조달‧시공(EPC) 전문 기업인 세아STX엔테크, 친환경 에너지기업인 발맥스기술 등 10여개 계열사를 보유한 지주회사다. 세계 10개국에 현지생산법인을 두고 있다. 지난해 그룹 매출액은 약 4조2500억원에 달한다. ━ 쌍용건설, 단순도급 외 투자개발사업 진출도 '청신호' 쌍용건설 인수 작업을 마무리하면 글로벌세아그룹 관련 공사뿐 아니라 유통 관련 건설사업 진출, 민간개발사업, 주택‧호텔사업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에서도 단순도급에서 벗어나 글로벌세아그룹의 해외투자 경험과 쌍용건설의 시공 역량을 더해 디벨로퍼로서 사업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아그룹이 진출한 중남미 국가 등에서도 발전, 철도, 도로 등 다양한 인프라사업뿐 아니라 재원과 투자방식을 활용한 도시개발사업에도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세아그룹 계열사와 쌍용건설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국내외 오일, 가스시설, 발전소, 신재생 에너지 EPC사업에 강점이 있는 세아STX엔테크와 S-oil 온산 프로젝트 EPC 경험을 보유한 쌍용건설이 역량을 합쳐 국내외 다양한 EPC 사업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세아그룹은 2025년까지 섬유‧패션, 건설(제지, 포장), F&B‧Dining, IT‧투자를 주축으로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1조원 규모의 그룹으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쌍용건설은 코로나19 사태로 2년 동안 대규모 인력 투입이 필요한 해외 대형 건축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되면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다. 해외건축 손실은 지난해 결산에 반영했으며 올해 3월 기준 차입금은 약 800억원이다. 우발 채무가 없기 때문에 유상증자를 통한 신규자금이 들어오면 재무 건전성을 확대하면서 수주 경쟁력과 시공능력평가 순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쌍용건설은 2015년 이후 두바이에서 9건, 약 23억 달러(약 2조7000억원) 규모 공사를 수행했다. 향후 두바이투자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두바이, 중동 발주 공사의 지속적인 수주 가능성도 열어뒀다. 쌍용건설은 창립이래 세계 21개국에서 총 167개 프로젝트, 130억 달러를 수주했다.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싱가포르 도심 지하철, 싱가포르 남북 지하고속도로 등 고급건축과 고부가가치 토목공사에 강점을 가졌다. 국내에서도 리모델링 국내 1위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쌍용건설의 국내외 수주 잔고는 약 7조원 규모다. 쌍용건설은 지난 1998년 쌍용그룹 해체 후 2002년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2015년 두바이투자청을 대주주로 맞이했다. 글로벌세아그룹이 쌍용건설을 인수하게 되면 7년 만에 국내 기업으로 주인이 바뀌는 것이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2022.06.02 14:37

3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