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화폐' 검색결과
5 건

한국은행이 지난해 훼손되거나 오염된 지폐와 동전 3조4000억원어치를 폐기한 것으로 알려졌다.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폐기한 손상화폐는 4억7489만장으로, 액면가는 3조3761억원 규모로 조사됐다. 지폐와 동전은 모두 '장' 단위로 통일했다. 이는 지난 2023년(4억8385만장·3조8803억원) 대비 897만장(1.9%) 감소한 규모다.화폐 종류별로는 지폐 3억7336만장(액면가 3조3643억원)과 동전 1억153만장(118억원)이 각각 폐기됐다. 지폐 중에는 1만원권이 1억9704만장으로 전체의 52.8%를 차지했다.한국은행은 폐기한 화폐를 전부 옆으로 나란히 늘어놓으면 총길이 5만5906km로, 경부고속도로(415km)를 67차례 왕복할 수 있는 정도라고 설명했다.또 이를 위로 쌓으면 총 높이가 20만3701m로, 에베레스트산(8849m)의 23배, 롯데월드타워(555m)의 367배에 달한다.한국은행은 지폐가 손상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남아있는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 금액의 전액을, 5분의 2 이상이자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으로 교환해주고 있다. 다만 동전은 모양을 알아보기 어렵거나 진위를 판정하기 어려운 경우 교환해주지 않는다. 지난해 교환이 이뤄진 대표적 손상 화폐 사례를 살펴보면, 서울에 사는 신씨는 공장 화재로 불에 탄 은행권 8140만원을, 경남에 사는 김씨는 습기로 손상된 은행권 106만을 정상 지폐로 교환했다. 전남에 사는 박씨는 사찰 내 소원을 비는 연못에서 수거한 손상 주화 376만원어치를 교환했다. 한은 관계자는 "화폐를 깨끗이 사용하면 매년 화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돈 깨끗이 쓰기 홍보 활동을 지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2025.02.03 13:36
1분 소요
올해 상반기 중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화폐는 1억 9166만장으로 1조1566억원에 달하는 규모로 나타났다. 한은은 4일 '2022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규모' 자료를 발표하며 은행권 폐기량은 1억6943만장(1조1541억원)이며 권종별로 ▶1만원권 930만장(전체의 54.9%) ▶1000원권 655만장(38.7%) ▶5000원권 860만장(5.1%) ▶5만원권 230만장(1.4%) 순이라고 밝혔다. 주화 폐기량은 2223만장(25억원)이며, 화종별로 10원화 950만장(전체의 42.9%), 100원화 560만장(25.2%), 50원화 370만장(16.5%), 500원화 340만장(15.4%) 순이다. 한은은 “폐기된 물량을 낱장으로 이으면 총 길이가 2만4765km이고 경부고속도로 415km를 약 30회 왕복한 수준”이라며 “올해 상반기 중 폐기된 손상화폐는 전년 동기 대비 3144만장 감소했다”고 밝혔다. 은행권의 경우 비현금 지급수단 발달, 비대면 거래 확대, 연초 코로나19 확산세 심화 등에 따른 은행권 환수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7만장 감소했다. 주화는 지난해 상반기 중 주화 환수량의 일시적 급증에 따른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87만장 줄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2022.08.04 12:00
1분 소요
2일부터 쓰던 돈을 새 돈(신권)으로 교환하기 어려워진다. 한국은행(한은)에 따르면 이날부터 새로운 화폐교환 기준에 따라 화폐교환 요청이 들어오면 원칙적으로 신권이 아닌 ‘사용화폐’만 지급한다. 사용화폐는 시중에서 유통되다 금융기관 교환창구를 통해 한은에 환수된 뒤 청결도 판정 등을 거쳐 재발행한 화폐다. 다만 훼손이나 오염의 정도가 심해 통용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화폐는 제조화폐(신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교환 규모나 손상 과정·고의 훼손 여부 등에 따라 사용화폐로 지급할 수 있다. 설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에는 예외적으로 신권 교환이 가능하다. 다만 5만원권은 지역별로 하루에 1인당 50만~100만원까지만 바꿀 수 있다. 한은은 새 화폐교환 기준 운용을 통해 신권에 대한 과도한 수요를 완화하고, 사용화폐의 재유통으로 화폐제조를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2022.03.02 06:00
1분 소요![지난해 폐기된 돈, 2조400억…에베레스트 15배 높이 [체크리포트]](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2/12/ecnb8efc8be-b246-4831-9195-177a3572dc54.353x220.0.jpg)
지난해 화재, 수해 등으로 폐기된 손상화폐 규모가 2조423억원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폐기된 권종은 1000원권(1억5960만장)이었으며 주화는 100원화가 65%를 차지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비대면 거래로 시중 화폐 수요가 줄면서 은행권 환수량이 감소해 손상화폐 폐기규모는 전년보다 40% 가까이 줄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중 손상화폐 폐기 규모’에 따르면 지난해 한은이 폐기한 손상화폐는 4억352만장(2조423억원)으로 집계됐다. 폐기 규모는 1년 전보다 37.2% 줄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금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카드, 비대면 결제가 늘면서 현금 사용량이 더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권종별로는 1000원권이 1억5960만장 폐기됐다. 전체의 46.4%다. 만원권은 1억5530만장(45.1%), 5000원권은 2530만장(7.3%), 5만원권 은 390만장(1.1%)으로 뒤를 이었다. 주화는 5933만장(57억3000만원) 폐기됐다. 1년 전보다 74.1%(2525만장) 증가한 것이다. 최근 환수량 급증에 대응한 100원화 중심의 집중 정사 실시 등의 영향이 컸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화종별로는 100원화가 전체의 65.1%에 달했다. 이어 10원화(21.4%), 50원화(8.5%), 500원화(5%) 순이었다. 한편 지난해 폐기된 물량의 총 높이는 에베레스트산의 약 15배, 롯데월드타워의 약 241배에 육박한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2022.02.12 19:00
1분 소요
불에 타고 습기에 젖어 못 쓰게 된 돈이 지난해 약 4조4000억원어치에 달했다. 한국은행이 1월 15일 발표한 ‘2019년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 규모’를 보면 지난해 한은이 폐기한 손상 화폐는 6억4000만장이다. 5만원권이 발행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최대 규모다. 버려진 돈을 액수로 따지면 4조3540억원이다.지폐는 6억1000만장, 총 4조3516억원어치가 쓸 수 없어서 버려졌다. 이 가운데 1만원권이 3억3000만장으로 폐기된 지폐의 53.5%였고, 1000원권은 2억3000만장(37.8%), 5000원권이 4000만장(6.7%), 5만원권은 1000만장(2.0%)이 버려졌다. 폐기된 지폐는 5t 트럭 114대 분량에 해당한다. 동전은 2590만개, 액수로 24억원어치가 폐기됐다. 이 가운데 10원짜리가 1110만개(42.9%)로 가장 많았다. 100원짜리는 990만개(38.2%), 50원짜리는 260만개(10.1%), 500원짜리가 230만개(8.8%)로 뒤를 이었다.한은의 화폐교환 창구에서 바꿔 간 손상 화폐는 7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억6000만원 늘었다. 돈이 손상된 이유를 봤더니 화재가 11억5000만원어치로 가장 많았고 장판 아래 뒀다가 눌어붙거나 습기에 부패하는 등 잘못 보관한 경우가 10억7000만원어치였다. 실수로 세탁기·세단기에 잘못 넣은 경우는 3억9000만원어치였다. 한국은행은 화재 등으로 지폐가 손상됐을 때, 원래 면적의 4분의 3 이상이 남아있어야 전액 새 돈으로 바꿔준다. 5분의 2가 채 안 되면 바꿔주지 않는다. 동전은 모양을 알아볼 수 있는 경우에는 전액 교환해준다.
2020.01.19 17:36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