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190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E-마이스]

전문가 칼럼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가 이달 13일 오사카 유메시마 인공섬에서 개막, 10월 13일까지 184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5년 주기로 열리는 엑스포가 일본에서 열리는 건 1970년 오사카, 2010년 아이치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국제박람회협회(BIE) 공인 36번째 ‘등록 박람회’인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개최로 일본은 영국, 이탈리아(2회)를 제치고 미국(7회), 벨기에(6회), 프랑스(5회)의 뒤를 잇는 세계 4위 엑스포 최다 개최 국가에 등극했다.55년 만에 오사카에서 열리는 이번 엑스포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생명’과 ‘친환경’이다. 주제인 ‘생명이 빛나는 미래사회 디자인’은 인류의 미래 번영을 이끄는 동력인 ‘생명’ 본연의 가치를 재조명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엑스포의 꽃’ 국가 전시관 메인 콘셉트는 ‘친환경’ 일본국제박람회협회와 BIE는 오사카·간사이 엑스포가 175년 국제 박람회 역사상 가장 친환경적인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사카시 서쪽 끝 매립 인공섬에 들어선 여의도 면적 절반 크기(1.55㎢)의 엑스포장은 ‘친환경’ 콘셉트에 따라 조성됐다. 엑스포장 내부에 110여 개 파빌리온(전시관) 역시 설계부터 시공, 운영에 이르는 전 과정을 ‘줄이기’(reduce)와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 이른바 ‘3R’ 원칙과 기준에 맞췄다.오사카·간사이 엑스포를 상징하는 대표 목조 구조물 ‘그랜드 링’(Grand Ring)도 ‘친환경’이 메인 콘셉트다. 일본산 삼나무와 편백나무, 유럽산 적삼나무를 이용해 면적 6만㎡ 부지에 건립한 그랜드 링은 수평 보와 수직 기둥을 홈을 파 연결하는 일본 전통 건축기법(누키)을 따랐다. 엑스포의 하이라이트 구역인 ‘시그니처’와 ‘해외’ 전시관을 둘러싸고 있는 그랜드 링은 지름 615m, 둘레 2㎞, 최대 높이 20m 규모로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큰 목조 건축물’로 등재됐다.‘엑스포의 꽃’인 국가별 전시관 간 친환경 경쟁도 치열하다. 전시관을 붉은 구체 형태로 디자인한 싱가포르를 비롯해 포르투갈, 영국, 독일 등은 전체 전시관에 쓰인 자재를 엑스포 이후에도 재활용할 계획이다. 미국, 호주는 지난 2020년 도쿄 올림픽 당시 경기장 건립에 사용한 건축자재를 재사용, 재활용해 국가 전시관을 건립했다. 테마관 중 하나인 여성관(우먼스 파빌리온) 건립에는 직전 대회인 2020 두바이 엑스포 당시 일본 국가관에 쓰였던 자재와 소재가 사용됐다. 일본과 말레이시아, 중국 등은 국가 전시관 시공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외부 인테리어에 삼나무, 대나무 등 천연 목재를 사용했다. 기업 전시관을 운영하는 일본 전자회사 파나소닉은 중고 가전제품에서 회수한 강철과 구리, 유리로 기업 전시관을 꾸몄다. 각각 크기가 다른 구체 5개 연결구조의 스위스 전시관은 자체 개발한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라는 플라오로 타입의 플라스틱 필름 형태의 멤브레인 소재를 사용했다. 스위스는 전체 무게가 다른 전시관의 100분의 1 수준인 약 450㎏에 불과한 초경량 전시관으로 탄소 배출량을 다른 전시관 대비 20~30% 수준으로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전시관 건립에 쓰인 자재의 재활용 계획도 각양각색이다. 스위스 전시관의 주재료인 플라스틱 필름 형태의 자재는 엑스포 이후 가구를 만드는 소재로 사용될 예정이다. 덴마크와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북유럽 5개국이 공동 운영하는 노르딕 전시관에 설치한 쌀 종이 스크린 등 기자재는 철거 후 호텔과 기차역, 학교, 도서관 등에 보급해 재사용할 계획이다. 입장권 판매 사전 판매 목표치 60% 수준 그쳐일본 민간 연구소 아사아태평양연구소(APIR)는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개최로 인한 직간접 경제적 효과가 2조 7500억엔(약 27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엑스포장 조성(2350억엔)과 행사 운영(1160억엔)에 들어간 3510억엔(약 3조 5000억원)의 8배에 가까운 규모다. 일본 민간 연구소 레소나리서치는 최근 오사카·간사이 엑스포가 일본 내 소비를 최대 1조엔(약 10조원) 늘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체 예상 방문객 2820만 명 가운데 외국인을 12%가 조금 넘는 약 350만 명으로 예상한 레소나리서치는 이들이 행사장 밖에서 교통, 숙박 등에 쓰는 비용이 전체의 약 30%인 2930억엔(약 3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엑스포 개막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입장권 판매는 여전히 저조한 상태다. 전시관 예약 추첨 신청이 시작된 1월 중순 이후부터 한 달 전인 3월 중 입장권 판매량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3월 말 기준 입장권 판매는 851만 장에 그쳤다. 사전 판매 목표치 1400만 장의 60%를 조금 웃도는 규모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일본국제박람회협회는 최근 학교를 대상으로 약 150만 장을 팔아 겨우 1000만 장 판매고를 채운 것으로 알려졌다. 오사카·간사이 엑스포는 전체 방문객 목표치 2820만 명 가운데 약 80%인 2300여 만 명에게 유료 입장권을 팔아 전체 개최비용의 약 30%인 1000억엔(약 1조원)을 조달할 계획이었다.레소나리서치는 “오사카는 지난해 호텔 객실 점유율이 평균 76%를 기록하는 등 전국에서 도쿄 다음으로 여행 수요가 높은 곳”이라며 “엑스포 기간 부족한 숙박시설로 호텔비가 폭등해 일정을 당일치기로 바꾸거나 아예 방문 자체를 포기할 경우 경제 효과는 예상치에 한참 미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입장권 구매 방법‘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입장권은 크게 3종(일일권·다중입장패스·특별 할인권)으로 나뉜다. 금액은 입장권 종류에 따라 성인 기준 3500엔부터 3만엔이다. 하루 1회 입장이 가능한 일일권은 전체 엑스포 기간 중 아무때나 사용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개막권(4월 13~26일)과 전기권(~7월 18일까지), 평일권(오전 11시 이후 입장)과 야간권(오후 5시 이후) 중 고를 수 있다. 입장권은 엑스포 공식 홈페이지와 입장권 구매 사이트 또는 국내 공식 판매처인 ‘놀유니버스 인터파크투어’에서 구매할 수 있다. 개막권과 전기권 포함 일일권은 3만 4672원, 원하는 날짜에 여러 번 입장이 가능한 다중 입장 패스 중 사용기간이 7월 19일부터 8월 31일까지인 ‘여름 패스’는 11만 1270원, 개막일부터 10월 3일까지 이용할 수 있는 연간(통상기간) 패스는 28만 1114원에 판매 중이다.

2025.04.05 07:00

5분 소요
LG전자, 아시아 소비자 타깃 한 'AI홈' AWE2025서 선봬

산업 일반

LG전자가 20일부터 나흘간 중국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에서 열리는 ‘AWE(Appliance & Electronics World Expo) 2025’에 참가한다.AWE는 약 1000개 업체가 참가하고 36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모이는 아시아 최대 가전 박람회로 미국 CES, 독일 IFA와 함께 글로벌 3대 가전·전자제품 박람회로 꼽힌다.LG전자는 올해 AWE에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LG전자의 공감지능(AI)’(Affectionate Intelligence designed for every lifestyle)을 주제로 규모 1104㎡ 전시관을 마련해 AI 홈 솔루션을 선보인다. LG전자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공감지능 기반의 AI 홈을 구현했다. 부스 입구에 설치된 하이라이트 존에서는 AI 홈 허브 ‘LG 씽큐 온’과 집 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말과 행동, 환경을 감지하고 대화하며 연결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AI 홈 플랫폼 LG 씽큐를 활용해 나에게 맞는 가전을 만들어가는 ‘씽큐 업(ThinQ UP)’과 고장이나 이상징후 등 제품의 상태를 손 쉽게 확인하고 관리하는 ‘씽큐 케어(ThinQ Care)’, AI 홈의 미래 모습도 알기 쉽게 전시해 관람객의 눈을 사로잡는다.AI 코어테크를 알기 쉽게 소개하는 공간도 마련했다. AI 코어테크는 모터∙컴프레서 등 LG전자가 수십 년간 쌓아온 핵심 부품 기술력에 AI를 적용해 제품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모두 끌어올린다.관람객들은 ▲AI로 세탁물의 무게∙옷감 등을 분석해 세탁 강도를 자동 조절하는 AI DD모터를 적용한 세탁기 ▲고객이 바람의 세기나 방향을 조절하지 않아도 AI가 공간을 분석해 최적의 온도를 맞춰주는 에어컨 ▲AI가 문개폐 시간, 냉장고 내부 확인 시간 등 고객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고 온도의 강약을 조절해 식재료를 신선하게 보관하는 냉장고 ▲AI가 내부 카메라로 식재료를 분석해 맞춤형 레시피를 추천하는 오븐 등 다양한 가전에 적용되고 있는 AI 코어테크를 볼 수 있다.관람객들은 또 온디바이스 및 클라우드형 AI 솔루션을 모두 제공하는 ‘멀티 AI’ 기능과 인텔의 차세대 프로세서인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시리즈2’를 탑재한 AI PC 그램을 체험할 수 있다.이 밖에 LG전자는 고물가·저탄소 시대 흐름을 반영한 고효율 프리미엄 제품과 이를 바탕으로 한 공간별 솔루션도 마련했다.특히 3~4인 가족을 위한 프리미엄 홈, 신혼부부를 위한 브릴리언트 홈, 시니어 부부를 위한 컴포터블 홈,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1인 가구를 위한 러빙 펫 홈 등 주거 공간의 형태에 따라 고를 수 있는 다양한 가전 솔루션을 선보인다.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아시아 고객들에게 LG전자의 혁신적인 제품과 기술력을 알려 글로벌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지겠다”고 말했다.

2025.03.20 15:41

2분 소요
스페인서 ‘K-AI’ 경쟁력 뽐냈다...MWC 채운 국내 AI 기술 다양

산업 일반

3월 3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가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 비아 전시장에서 개막했다. 이번 MWC에는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2700여 개가 참여했다. 이중 한국 기업은 190여 개사로, 국내 굵직한 이동통신 3사를 비롯해 삼성전자 등이 참여해 대한민국표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였다. 실제 KT는 K-팝 등 문화 콘텐츠를 활용해 대한민국표 AI 기술을 화려하게 뽐냈다. 먼저 KT는 부스에 광화문 사옥을 본뜬 ‘K오피스’를 마련해 업무를 돕는 ‘AI 에이전트’ 4종류를 선보였다. 또 미래 경기장 ‘K-스타디움’을 꾸며 관람객이 직접 AI기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 체험존에서는 AI 실시간 자막 번역, K-팝 댄스 챌린지 체험 등이 펼쳐졌다. 관람객들은 경기장 아나운서가 된 것처럼 말을 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번역하는 AI 기술을 경험하고, 댄스 챌린지 코너에서는 AR(증강현실)로 구현된 가상의 댄서들에게 춤을 배우고 함께 춤을 추는 방식으로 AI 기술을 체험했다. 윤태식 KT 브랜드전략실장 상무는 “AI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전세계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혁신이 되어야 한다”며 “KT는 MWC25 이후에도 국민들이 일상에서 AI를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AI 경험 콘텐츠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경쟁적으로 AI 기술 뽐낸 통신사 3사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DC)의 운영·보안을 총망라하는 기술을 전시했다.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을 제어하는 기술, 액체 냉각 기술, GPU 자원 관리 솔루션 등이 포함됐다. 또 SKT는 전시관 전면에 움직이는 LED 디스플레이 18개를 배치, 최대 505인치 화면에 SKT의 AI 비전을 담은 미디어 아트를 선보여 방문객의 시선을 사로 잡았다.SKT 외에도 SK 그룹사의 K-AI 반도체 관련 기술력도 선보여졌다. 부스에는 SK하이닉스의 HBM(고대역폭 메모리), SKC의 유리기판, 리벨리온 NPU(신경망 처리장치) 등이 보여졌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이번 MWC25를 통해 인공지능 혁신에 필요한 AI 데이터센터, AI 에이전트를 비롯한 차별적인 서비스와 인공지능을 품은 네트워크 인프라 등 핵심적인 성장 영역에서 리더십을 확보하고 글로벌 우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특히 SKT는 이번 MWC 행사를 기점으로 AI 기술의 본격적인 수익화 활동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유영상 SKT 대표는 MWC 개막 전날 기자 간담회를 열고 ‘AI 피라미드 전략 2.0’을 발표했다. AI 기술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유 대표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돈버는 AI를 시작할 것”이라며 “AI DC에서 시작된 수익화는 에이닷에서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첫 단독 부스를 마련했다. LG유플러스는 양자암호 등 암호 신기술로 AI 서비스를 고도화한 ‘안심 지능’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AI ‘익시’를 활용한 ‘익시퓨처빌리지’를 공개했다. 익시퓨처빌리지는 실제 주거 공간을 3분의 1 크기로 축소해 구현한 미래형 주거 공간으로, 익시를 통해 바뀌게 될 미래 삶을 상상해 보여주는 조형물이다. LG유플러스는 이 공간에 3개의 방을 만들고 노부부,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 소상공인 등 서로 다른 생활방식을 가진 세 그룹의 생활패턴을 AI로 모델링해 실생활 속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모습을 구현했다.가령 노부부가 사는 거주공간에서 노부부가 익시의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하루 권장 활동량과 혈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가 거실에서 넘어지면 AI가 이를 감지하고 보호자가 호출을 받는 모습을 보여준다. AI폰 대중화 꿈꾸는 갤럭시 S25도 전시 이동통신사 외에 삼성전자도 갤럭시 S25를 통해 자사만의 AI 기술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에 탑재된 AI 기능인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제미나이 라이브' ▲어느 화면에서나 동그라미를 그리기만 하면 빠르게 검색이 가능한 '서클 투 서치' ▲일상 속 맞춤형 정보를 브리핑해 주는 ‘나우 브리프' ▲관심사 및 사용 맥락에 따라 추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나우 바' 등을 관람객이 체험할 수 있도록 체험존을 마련했다. 또 AI 기술이 탑재해 개선된 카메라 성능도 소개했다. 실제 이번 갤럭시 S25 카메라 기능에는 전작 대비 40% 이상 늘어난 총 160개 AI 기술이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역대 갤럭시 S시리즈 중 가장 얇은 디자인의 '갤럭시 S25 엣지'와 최초의 안드로이드 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도 전시됐다.

2025.03.06 12:47

3분 소요
“‘중국산’ 못 믿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이코노 인터뷰]

유통

“가성비에 제품력을 더한 중국 제품들은 한국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통할 것”최근 중국기업들이 높은 구매력과 기술 제품 수요가 있는 한국 시장을 활발히 공략하고 있다. 취임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중국은 상대적으로 세제 경쟁력이 있는 한국 시장 문을 두드리는 분위기다.과연 국내 시장에서 중국기업들이 불신 이미지를 씻어내고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을 지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韓시장 얕봤던 中, 이번엔 다르다?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은 중국기업들의 한국 시장 러시는 어느 정도 예상됐던 일이었다고 평가한다. 중국에게 한국은 무역 측면에서 유리한 나라가 됐기 때문이다.전 소장은 “중국기업들 중에서도 전기차기업과 배터리기업들의 한국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이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한-중 자유무역협정 시행과 함께 한국이 중국과 경제적, 지리적 근접성을 갖고 있는 등 중국에게 매우 유리한 무역 조건을 갖췄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한국 소비자들의 높은 수준도 중국기업들의 시장 진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전 소장은 “한국 소비자들은 높은 구매력을 가지면서도 기술 제품에 대한 수요도 높다”면서 “기술력과 제품력을 갖춘 중국기업들의 세계화 욕구가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예상돼 이들 기업들의 한국 시장 진출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중국기업들의 한국 시장 진출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국기업들은 그동안 꾸준히 한국 시장의 벽을 두드려 왔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해왔다. 이는 중국기업들이 한국 소비자들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전 소장은 “그동안 한국은 규제 장벽이 높았던 측면이 있다”면서 “또 중국기업들이 한국의 법률 및 산업 규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던 부분도 주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한국은 삼성이나 LG 등 대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매우 높은데 중국기업들이 이를 과소평가하고 무리하게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며 “결국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지 못했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도 부재하다보니 소비자 마음을 얻는 데 실패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품력 갖춘 중국산, 성공 가능성 있다”전 소장은 중국기업들이 과거와 달리 한국 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중국기업들이 강력한 제품 경쟁력과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내세웠기 때문에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며 “이커머스(전자상거래)는 물론, 자동차, 정보통신(IT) 분야에서 일정비율 이상의 시장 장악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최근 중국은 심각한 내수 침체를 보이고 있다. 주요 상권에서 점포 폐쇄가 이어지고 있고 식당을 비롯해 대부분의 소매점 매출이 급감하고 있다. 결국 중국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았고 이는 기업의 수익성 저하와 고용 위축으로 이어지며 악순환이 되고 있다.중국 정부는 금리 인하 및 보조금 정책을 확대하며 내수 회복을 노리고 있지만 단기간에 이를 극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전 소장은 중국기업들의 한국 시장 진출이 그들의 내수 부진 때문만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핵심은 중국기업들의 경쟁력이 성장했고 한국 시장 진출은 그들의 세계 시장 진출 중 한 부분이라는 얘기다.그는 “중국의 내수 시장 침체는 일반 소비제품에 관한 얘기일 뿐, 전기차기업과 배터리기업의 경우 세계 최대 시장을 갖고 있고 성장률도 최고 수준”이라며 “기술력과 제품력을 모두 갖춘 중국의 기업들이 세계화를 위해 국내에 진출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설명했다.일각에서는 중국의 한국 시장 진출은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전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중국이 한국을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한 테스트배드로 활용한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 전 소장은 “동남아 시장은 한국 시장과 수요 및 패턴 등 수준이 많이 다르다”며 “그렇게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했다. 한국인들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거부감이 큰 상황이다. 국내 시장에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글로벌 이커머스업체들이 진출했지만 아직 확실한 존재감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중국기업들의 한국 시장에서의 성과는 결국 제품 신뢰도에서 갈릴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 전 소장은 “분명 이 부분은 중국기업들의 과제”라면서도 “최근 ‘로보락’ 등 중국 제품들을 보면 이미 불신 이미지를 제품력으로 극복한 사례가 나오고 있다”고 했다. 이어 “가성비에 제품력을 더한 중국 제품은 내수 침체기에 들어선 한국 시장에서도 충분히 먹힐 수 있는 전략으로 보여진다”며 “중국의 전기차 분야 역시 한국 시장에서 제품력과 가격 경쟁력을 모두 갖춘 성공 사례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2025.02.24 09:00

4분 소요

산업 일반

삼성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5에서 삼성 아트 스토어를 통해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아트 TV를 선보였다.삼성전자는 전시장에 'Home for Arts'존을 마련해 ▲Micro LED ▲Neo QLED 8K ▲Neo QLED ▲더 프레임 등을 소개했다. 이곳에서는 삼성전자와 파트너십을 맺은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 ▲프랑스 오르세 미술관(Musée d'Orsay) ▲아트바젤의 작품들이 공개됐다.삼성 아트 스토어는 2025년부터 더 프레임을 넘어 Neo QLED 및 QLED 모델로 확장 적용될 예정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2017년 아트 구독 서비스 '삼성 아트 스토어'를 론칭해 디지털 아트 보급에 집중해왔다. 실제 삼성 아트 스토어 구독자들은 삼성 TV를 통해 사진, 일러스트 작품부터 유명 미술관 및 갤러리가 소장한 작품 약 3000점을 4K 화질로 감상할 수 있다. 삼성 아트 스토어는 정기 업데이트를 통해 매월 다채로운 큐레이션 작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더 프레임의 '아트 스트림' 서비스를 통해 전문가가 직접 큐레이팅한 작품을 매월 30점씩 무료로 제공한다.또 삼성전자는 CES 2025 전 5일(현지시간)에 열린 '삼성 퍼스트 룩 2025(Samsung First Look 2025)'에서도 아트 TV 리더십을 공고히 한 바 있다.초청 연사로 나선 헤일리 로머(Hayley Romer) 아트 바젤 CGO(Chief Growth Officer)는 "아트 스토어를 통해 예술이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어 전 세계 다양한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며 "새로운 디지털 전시의 장으로서 대중의 예술 향유 기회를 증대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2025.01.09 16:43

2분 소요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 경연장 CES 2025…미래 흐름 예측할 수 있어 [현장에서]

테크

CES 2025에서 혁신상을 받은 핀테크 기업 모핀의 김준모 대표가 CES 체험기를 본지에 보냈다. <편집자 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입성하는 과정부터 힘들었다. 항공권에 문제가 생겨 중간 경유지인 미국 시애틀에서 내렸다가 다시 비행기에 탑승하면서 CES 2025가 개막하는 7일(현지 시간) 오후에야 행사장에 도착했다. 숙소에 짐부터 내리고 바로 행사장으로 향했다. CES에 참여한 글로벌 인사들의 기조연설이 이어지는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센터는 첫날부터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가장 눈길을 끌었던 것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기조연설이었다고 한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기조연설 2~3시간 전부터 행사장에 사람이 몰려왔을 정도라고 하니 몇 년 만에 CES에 온 젠슨 황의 인기를 실감했다. LVCC 센트럴홀 글로벌 기업들 부스로 가득글로벌 기업들의 부스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홀에 마련되어 있다. 삼성전자·LG전자·소니·캐논 등의 기업 부스가 눈에 띈다. CES에서 메인 부스로 꼽히는 곳이 바로 삼성전자와 LG전자 부스다. LG전자 부스는 생활에 스며든 인공지능(AI)을 구현했다. 시간대 별로 사람의 일상을 구현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오전 8시 조이의 온디바이스 AI, 오전 10시 라이더 비전 AI 모빌리티, 오후 12시 라이더의 그램 AI, 오후 6시에는 앨버트 & 그레이스의 ThinQ ON, 오후 8시 라일리의 오디오블 AI, 그리고 오후 10시에는 라일리의 WebOS AI를 AI 가전 별로 전시했다. 전시 콘셉트는 ‘미래 모빌리티’라는 단독 테마인데, 부스 한 가운데 어마어마한 크기의 세계 최초 무선 4K OLED TV가 설치되어 있었다. 많은 관람객의 탄성을 자아내게 한 인기 전시물이다.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를 주제로 초개인화된 맞춤형 AI를 제공하는 부스를 선보였다. 삼성 가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파트너사들의 제품이 에워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스마트싱스가 추구하는 ‘연결’이라는 주제를 체험할 수 있었다. 관람객이 궁금해하는 TV나 로봇 대신 현대자동차 아이오닉9 차량과 삼성중공업이 개발하고 있는 ‘자율 항해 선박’ 모형이 자리 잡고 있었다. 삼성전자는 참가 기업 중 가장 넓은 3368㎡(약 1019평) 규모의 공간을 사용했다고 한다. 혁신상 수상작 베네시안 엑스포에서 볼 수 있어컨벤션센터 북쪽 홀은 눈길을 사로잡는 기술 경연장이었다. AI·핀테크·사물인터넷·스마트시티 등의 분야에서 기술을 뽐내는 기업들의 부스들이 이곳에 마련되어 있다. 스타트업과 여러 작은 기업들이 자신들의 기술력을 소개하기 위해 크고 작은 다양한 부스들이 마련되어 있다. 모핀도 이곳에 부스를 마련했다. 이스라엘의 AI 기업 크레논의 관계자들이 모핀의 부스를 찾아서 데이터 추출 기술과 분석 그리고 가공 등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매년 CES에서 300여 기업이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받는다. CES를 주관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는 올해 33개 분야에서 전 세계 수상기업 292개사를 선정했다. 이중 129개 기업이 한국 기업이다. 이렇게 다양한 혁신상 수상 기업과 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 베네시안 엑스포다. 혁신상을 받은 기술의 면모를 꼼꼼하게 살펴볼 수 있다. 한국의 지자체 광주시·성남시를 포함해 코트라(KOTRA)와 같은 기관들이 마련한 부스도 이곳에 있다. LVCC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 보니 눈에 띄는 기업 부스가 몇 곳 있다. 그중의 한 곳이 델타항공이었다. 개막일 오후에 에드 바스티안 미국 델타항공 CEO가 라스베이거스 대형 공연장인 스피어 무대에 올랐다. 창사 100주년을 맞아 향후 비전을 발표하기 위해서였다. 글과 사진으로만 봤던 지구 모양과 흡사한 거대한 스피어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호이기도 했다. 바스티안 CEO의 키노트는 마치 비행기를 탄 느낌이 드는 이벤트처럼 느껴졌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과 유튜브 뮤직에 내장된 AI 기반 도우미인 델타 컨시어지라는 AI 비서도 확인할 기회였다. CES 2025의 메인 후원 기업인 소니와 혼다의 합작 전기차 기업 아피라(Afeela)는 CES 현장에서 신차를 론칭했고, 심지어 선주문도 받았다. 또한 파나소닉그룹은 글로벌 공급망을 넓히기 위한 파나소닉 고(Panasonic Go) 출시 소식을 발표했다. 창작자의 공간(Creator Space)에서는 각 미디어 매체에서 온·오프라인 현장 중계를 시간대별로 주제를 달리 구성하여 인터뷰이와 함께 진행했다. 이 글은 7일(현지 시간)부터 8일까지의 짧은 체험기다. 그 넓디넓은 전시장 곳곳을 이틀 동안 모두 돌아보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다. 발걸음 닫는 곳마다 볼거리가 가득했고, 각 부스는 첨단 기술의 집합체처럼 보일 정도였다. 무엇보다 CES 2025 현장 곳곳에서 한국 기업의 이름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는 게 놀라웠다. K-브랜드의 힘을 CES 2025에서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2025.01.09 14:55

3분 소요
‘아키텍트’로 보여준 하이브IM의 저력

IT 일반

하이브IM은 지난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나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지스타 2024’에 B2C 전시관 단독 부스로 처음 참가했다. ‘아키텍트’ 세계관을 중심으로 100 부스 규모의 대형 전시장을 꾸며, 이미지부터 조형물 등 실제 게임 안에 들어와 있는 듯한 몰입형 공간으로 조성했다.아키텍트는 언리얼 엔진5 기술을 활용한 실사풍 그래픽과 현존 최고 기술력이 집약된 하이엔드 AAA급 MMORPG다. 방대한 심리스 월드로 구현된 필드에서 펼쳐지는 개성 넘치는 보스, 몬스터들과의 박진감 넘치는 전투는 물론, ▲비행 ▲수영 ▲암벽 등반 등 제약 없는 특수 이동을 통해 세계 곳곳을 자유롭게 모험하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아키텍트는 ‘리니지2 레볼루션’과 ‘제2의 나라: Cross Worlds’를 개발한 박범진 사단의 아쿠아트리와 하이브IM이 만나 선보이는 MMORPG다. 하이브IM 관계자는 “이번 게임은 대한민국 RPG 시장에서 큰 획을 그은 박범진 사단의 검증된 개발 역량과 노하우가 총동원된 차세대 하이퀄리티 MMORPG로, 플레이어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플레이어는 수천 년간 방치된 미지의 땅 ‘버려진 땅’으로 향하는 모험가가 돼 다양한 몬스터를 조우하며 아키텍트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이상 현상과 전투, 탐험을 체험할 수 있다. 월드는 크게 탑의 내부 공간과 버려진 땅으로 나뉘어 있다. 언리얼 엔진 5로 구현된 뛰어난 그래픽 덕분에 아키텍트만의 신비롭고 비밀스러운 분위기가 플레이어의 눈을 사로잡는다.아키텍트의 주 무대인 ‘버려진 땅'은 거대한 심리스 월드를 하나의 채널로 개발됐다. 플레이어는 방대한 필드 속에서 몰입감 넘치는 모험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비행, 수영, 암벽 등반과 같은 특수 이동을 활용해 모든 지역을 제한 없이 자유롭게 탐험도 가능하다. 아키텍트의 전투는 보다 빠르고 역동적인 전투를 지향하고 있어, 점프, 대쉬 등 다양한 모션을 활용해 몬스터의 기믹을 파훼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현장에서는 부스 전면에 설치된 대형 LED 스크린을 통해 실제 플레이 화면으로 제작된 게임의 배경이 될 신비로운 세계와 캐릭터 영상을 선보이며 시선을 압도했다. 또 부스 중앙에 위치한 메인 스테이지에서 아키텍트에 대한 퀴즈를 비롯해 유명 인플루언서가 참여한 특별 무대 이벤트가 진행되며 현장의 열기를 더했다. 이와 함께, 게임을 직접 플레이할 수 있도록 마련된 시연존에서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폐장 시간까지 긴 대기열을 이루는 등 높은 기대감을 입증했다.특히 ▲캐릭터 커스터마이징부터 세계관을 감상할 수 있는 ‘스토리 시연’ ▲비행의 시련과 도약의 시련, 도전관문 등으로 구성된 ‘탐험 시연’ 등 아키텍트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를 미리 엿볼 수 있는 밀도 있는 시연 콘텐츠를 제공해 큰 호평을 받았다.또 이번 시연에서 삼성전자와의 협업으로 최상의 게임 플레이 환경을 구축했다. 삼성전자의 HDR10+ GAMING 기능이 탑재된 모니터를 통해 언리얼 엔진 5 등 최고 기술력이 집약된 아키텍트의 현실 이상의 세계를 더욱 생동감 있게 선사해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정우용 하이브IM 대표는 “지스타 2024 참가는 아키텍트를 최초 공개하고 게임이 추구하는 차별화된 즐거움을 다양한 모습으로 선보일 수 있는 자리로써 의미가 깊다”며 “현장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차세대 하이엔드 MMORPG로서 혁신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4.11.18 18:00

3분 소요
펄어비스 붉은사막, ‘지스타 2024’ 시연

IT 일반

펄어비스가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하는 ‘지스타(G-STAR) 2024’에 참가해 붉은사막(Crimson Desert)으로 국내 게임 팬들을 만난다.붉은사막 전시관은 총 100부스 규모로 입장부터 시연까지 마치 게임 세상에 들어온 것 같은 몰입감을 선사할 예정이다붉은사막 지스타 시연 버전은 액션성에 집중한다. ‘클리프(Kliff)’를 주인공으로 회색갈기 동료들과 치열한 전장에서 시작한다. 공격, 방어, 회피, 특수 스킬 등 기본 조작법을 익히며 몰려오는 다수의 적들을 상대한다. 전투 중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다양한 컷신 연출을 통해 클리프와 동료들의 이야기도 엿볼 수 있다. 보스전은 총 4개로 구성돼 있고 강렬한 인상의 보스들은 각자 특색 있는 외형 디자인과 공격의 범위, 속도, 패턴 등을 가지고 있다. 보스들의 전투 스타일을 분석해 자신만의 공략법으로 맞서는 재미도 기대할 수 있다.게이머들은 클리프의 한손검과 방패, 스킬 등 다양한 액션을 조합해 콤보를 구성하고 짜릿한 손맛을 느낄 수 있다. 붉은사막은 게이머 자신만의 플레이 스타일과 조작법에 따라 전투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펄어비스는 최상의 게임 플레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고의 파트너사와 함께한다. 펄어비스의 차세대 게임 엔진 ‘블랙스페이스 엔진(BlackSpace Engine)’에 기반한 고퀄리티 퍼포먼스와 시너지 효과를 위해 삼성전자, AMD, 스틸시리즈, 시디즈와 손잡고 독특한 스타일의 전투 게임플레이를 선보일 예정이다. 붉은사막은 해외에서도 시연을 확대하고 있다. 8월 글로벌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 2024(Gamescom 2024)’을 시작으로 9월 ‘2024 트위치콘(TwitchCon)’, 10월 ‘2024 파리 게임 위크(Paris Games Week)’ 등 행사 기간동안 전 세계 게임 팬들을 만나고 있다. 붉은사막은 광대한 파이웰 대륙에서 사명을 위해 싸우는 용병들의 이야기를 다룬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Open World Action-Adventure) 게임이다. 콘솔 및 PC 플랫폼, 글로벌 동시 출시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2024.10.31 15:42

2분 소요
‘6만 전자’로 내려오자…한종희 부회장, 7억3900만원 규모 자사주 매입

CEO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대표이사) 겸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이 자사주 1만주를 매입했다. 약 7억3900만원 규모의 주식을 매입하면서 책임경영의 의지를 대외에 내비쳤다. 한 부회장이 자사주를 매입한 건 2년 6개월 만이다.삼성전자는 한 부회장이 자사주 1만주를 매입했다고 6일 공시했다. 1만주를 추가로 사들이면서 한 부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은 2만5000주로 늘었다. 한 부사장이 자사주 매입을 체결한 시점은 지난 3일이고, 결제는 지난 5일 이뤄졌다. 주당 7만3900원에 장내 매수했다. 한 부회장은 지난 2022년 3월 자사주 1만5000주를 매입한 바 있다.삼성전자 주가는 7월 8만8000원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최근에는 다소 주춤한 모습이다. 6일 종가 기준 6만8900원을 기록했다. 업계에선 삼성전자 주가가 최근 내림세를 보이자, 한 부회장이 자사주를 매입하면서 책임경영의 의지를 내비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한 부회장 외에도 다수의 삼성전자 임원은 올해 들어 잇따라 자사주를 매입하고 있다. 지난 6월 박학규 경영지원실장(사장), 노태문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사장) 등 삼성전자 임원 6명이 자사주 총 1만5490주를 사들였다. 매수 금액은 11억4908억원에 달한다. 비슷한 시기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수장인 전영현 부회장과 이정배 메모리사업부 사장,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 사장 등 주요 임원들이 10억원 이상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다.한 부회장은 2021년 12월 부회장으로 오른 뒤 삼성전자 완제품·전자기기 사업 부문을 이끌고 있다. 삼성전자는 한 부회장의 경영 아래 지난해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위기에도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역대급 ‘반도체 불황’에 회사가 휘청일 때 한 부회장이 이끄는 스마트폰·TV·가전 사업 분야가 선방하면서 실적 방어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2024.09.06 20:04

2분 소요
독일 총리, 삼성전자 IFA 전시관 방문…AI 집사 ‘볼리’ 체험

IT 일반

올라프 숄츠(Olaf Scholz) 독일 총리가 6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개막한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 2024’를 찾아 삼성전자 전시관을 방문했다.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4는 이날 개막해 10일까지 닷새간 진행된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를 주제로 전시 부스를 꾸렸다.올라프 숄츠 총리는 삼성전자 전시장에서 ‘모두를 위한 AI’에 대한 설명을 듣고 AI 홈 컴패니언(AI Home Companion) ‘볼리’를 체험했다. 또 ‘비스포크 AI 콤보’ 등 삼성전자 제품을 살펴봤다.삼성전자 볼리는 AI 반려 로봇을 콘셉트로 개발된 기기다. 노란 공 모양으로 고객을 따라다니며 요구사항을 수행하는 식으로 작동한다. 바닥에 빔 프로젝터로 쏴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도 탑재돼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 볼리를 개발 중으로 올해 안에는 출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메세 베를린’(Messe Berlin) 전시장 내 시티 큐브 베를린(City Cube Berlin)에 업계 최대 규모인 6017㎡(약 1820평)의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와 영상디스플레이·생활가전·모바일 등 최신 AI 제품을 대거 전시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IFA 전시 부스를 보안·개인정보보호·지속가능성·쉬운 연결과 제어·안전과 건강·기업간거래(B2B) 솔루션 등으로 테마를 나눠 꾸렸다. 전시장 입구 초대형 스크린에서는 스마트싱스의 지난 10년간의 발전사와 AI를 통해 변화될 일상을 영상으로 보여준다.스마트싱스는 삼성전자가 지난 2014년 약 2억 달러에 인수한 미국 사물인터넷(IoT) 기업이다. 삼성에 합류한 지 올해 10주년을 맞은 스마트싱스는 점차 역량을 키워 현재는 스마트홈 연결 생태계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입자 수는 약 3억5000만명 이상이다.

2024.09.06 18:37

2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