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232

中 BYD 회장 “전기차 자율주행, 2~3년 내 현실화”

자동차

중국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 BYD(비야디) 왕촨푸 회장이 자율주행 기술의 대중화가 머지않았다고 전망했다. 그는 앞으로 2~3년 안에 획기적인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30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왕 회장은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기차 100인 포럼’에 참석해 “전기차 산업의 후반전 변혁 속도는 변화 속도는 매우 빠를 것”이라며 “피처폰이 스마트폰으로 전환되는데 2년이면 충분했듯, 대략 2~3년만 있으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전기차 100인 포럼’은 업계 주요 기업과 정부 관계자,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연례 행사다. 이 때문에 전기차 산업의 흐름을 가늠하는 지표로 여겨진다.중국 자동차업계는 신에너지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 경쟁에서 전반전은 전기화로, 후반전은 자율주행으로 정의 내려왔다. 중국은 내연기관차 경쟁에서의 한계를 인식하고 2009년부터 신에너지차를 전략적으로 육성해왔다. 이 같은 정책 지원과 기술 축적 덕분에 신에너지차의 시장 점유율은 2021년 이후 급격히 상승했다. 중국 내 승용차 시장에서 신에너지차 비중은 2020년까지 6%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2021년 14.8%로 증가한 뒤 작년 기준 47.6%로 급격히 뛰었다.BYD는 신에너지차 시장이 전체 자동차 시장의 10%를 넘어설 경우 본격적인 보급 단계에 진입한다고 분석해 왔다. 또 동일한 기준이 자율주행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현재 중국에서는 고속도로 및 도심에서의 자율주행 보조기능(NOA·Navigate on Autopilot)의 확산이 스마트 주행 확산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 자동차부품 플랫폼 ‘가스구’에 따르면, 지난해 NOA가 장착된 차량은 전체 시장의 7.3%에 달한다. 도심 NOA 보급률도 1.5%를 넘었다.BYD는 최근 ‘전 국민 스마트 주행’을 기치로 21개 모델에 스마트 주행 기능을 탑재한 업그레이드 모델을 선보였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아울러 최저 가격을 10만 위안(약 2000만원) 이하로 책정해 소비자 접근성을 대폭 높였다.왕 회장은 이번 포럼에서 해외 시장 확대 또한 주요 전략 중 하나로 언급했다. 그는 “중국의 신에너지차 기술과 산업 구조는 세계를 최소 3~5년 앞서고 있다”며 “중국 자동차 업계는 이 시기를 잘 붙잡아야한다”라고 말했다.실제로 BYD는 2023년 기준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인도량에서 테슬라를 넘어섰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BYD의 차량 판매량은 전년 대비 43% 이상 증가한 413만 대를 기록했다. 테슬라는 같은 해 1.1% 감소한 178만 대를 판매하며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그러나 중국 전기차 기업들이 기술적으로 테슬라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리창 알리바바클라우드 부총재는 “중국 내 선두 업체들이 보유한 컴퓨팅 파워는 아직 테슬라의 일부에 불과하다”며 “테슬라는 더 많은 컴퓨팅 파워를 보유하고 있고, 더 많은 혁신과 시행착오 기화를 보유중”이라고 분석했다.

2025.03.30 13:02

2분 소요
IT·자동차 ‘쌍두마차’...韓 2월 무역수지 흑자 전환

산업 일반

올해 1월 감소세를 보였던 우리나라 수출이 한 달 만에 반등하며 무역수지 역시 흑자로 돌아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5년 2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26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 증가했다. 이는 역대 2월 중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같은 기간 수입은 483억 달러로 0.2% 증가했으며, 무역수지는 4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1월 적자(-19억 달러)를 상쇄하며 올해 누계 무역수지도 24억 달러 흑자로 전환됐다.품목별로는 정보기술(IT) 부문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특히 컴퓨터(SSD) 수출은 8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28.5% 증가, 14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무선통신기기도 15억 달러로 42.3% 급증하면서 다시 플러스로 돌아섰다. 자동차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차 수출이 74.3% 증가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액이 61억 달러로 집계돼, 지난해 11월부터 이어진 감소세를 끊어냈다.반면, 반도체 수출은 글로벌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2월 반도체 수출액은 96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 감소했다. 고부가가치 메모리 반도체(HBM·DDR5)의 실적이 양호했음에도 불구하고, 범용 메모리 반도체(DDR4·NAND)의 고정 가격이 급락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주요 수출 시장별로는 엇갈린 흐름이 나타났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반도체 둔화에도 불구하고 무선통신기기와 일반기계 수출 호조 덕분에 95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미국으로의 수출은 99억 달러로 1% 증가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월 주춤했던 수출이 반등하며 무역수지 흑자를 함께 기록한 점은 긍정적인 신호”라며 “다만, 대외 무역 환경이 여전히 불확실한 만큼,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정부는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366조원의 무역금융을 공급하고, 관세 피해 우려 기업을 위한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등 ‘비상 수출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2025.03.01 09:58

2분 소요
1월 車 수출 50억달러…조업 일수 감소 등 영향

경제일반

올해 1월 자동차 수출액이 설 연휴로 인한 조업 일수 감소 등 영향으로 작년 1월보다 20% 가깝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산업통상자원부가 18일 발표한 '2025년 1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1월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49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1월보다 19.6% 감소했다.이는 역대 1월 중 최대였던 지난해 수출액에는 못 미치지만,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물량 기준 수출은 19만9663대로, 작년 1월보다 17.9% 줄었다.업체별로는 현대차 수출이 8만5241대로 15.3% 감소했으며 기아 수출은 7만6864대로 17.9% 줄었다.중형 3사 중에서는 한국지엠(3만392대)의 수출이 29.3%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KG모빌리티(5680대·5.0%↑)와 르노코리아(1216대·438.1%↑) 수출은 증가했다.1월 수출 감소는 설 연휴로 인해 조업 일수가 작년 동월 대비 4일 감소한 것과 작년 1월 수출 실적이 역대 최고를 달성한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친환경차 수출은 5만8091대로 4.4% 줄었다.전기차 수출은 1만7654대로, 41.8%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35.5% 증가한 3만5701대를 기록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4733대로, 16.7% 늘었다.1월 자동차 내수 판매는 10만5928대로, 작년 동월 대비 9.0% 감소했다.차종별로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강세를 보였던 지난해와 달리 아반떼, 그랜저 등 승용차 판매량이 상승했다.하이브리드차(3만6055대)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1092대) 판매가 각각 1.1%, 85.7%씩 증가하며 약진했지만, 전기차 판매는 1625대로 1.7% 감소했다. 수소차 판매도 24대로 전년보다 크게 줄었다.1월 자동차 국내 생산은 29만590대로 18.9% 감소했다. 조업일수 감소와 함께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이 전기차 생산설비 구축을 위해 한 달 동안 가동을 일시 중단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산업부 관계자는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우리 업계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민관 통상 합동 소통체계를 가동하고 미래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02.18 11:30

2분 소요
BYD 1위·테슬라 2위...지난해 세계 전기차 인도량 1763만대

자동차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이 중국 브랜드의 급성장으로 1700만대를 넘어섰다. 특히 1위를 차지한 BYD가 테슬라의 2.3배에 달하는 인도량을 기록하면서 존재감을 드러냈다.12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80개국에 등록된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포함)는 약 1763만대로 전년 대비 26.1% 늘었다.주요 브랜드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보면 BYD가 413만7000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43.4% 성장했다. 중국 시장에서 쑹(宋), 시걸, 친(秦)의 판매량이 호조세고, 중국 외 시장에서는 아토3와 돌핀 등의 판매가 확대되며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늘린 영향이다.2위를 기록한 테슬라는 전체 판매량의 약 95%를 차지하는 모델3와 모델Y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178만9000대를 판매했다. 상위 인도량 10위 내에서는 현대차그룹과 함께 2곳만 감소세를 보였다.3위인 중국 지리그룹은 138만6000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보다 59.8% 성장했다. 순위는 2023년 5위에서 두 단계 올랐다.4위 상하이자동차(SAIC)는 12.2% 증가한 101만8000대를 판매해 폭스바겐(5위)을 추월했다. 폭스바겐은 지난해 99만9000대를 판매해 0.3% 성장에 그쳤다.6위인 중국 창안자동차도 47.4% 증가한 69만4000대를 판매했다. 9위인 중국 체리자동차는 236% 성장한 52만대를 기록했다.7위 현대차그룹은 55만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8% 역성장을 기록했다. 주력 모델인 아이오닉5, EV6, 니로의 판매량이 부진했지만, EV3와 EV9의 글로벌 판매가 확대되고 있다고 SNE리서치는 분석했다.SNE리서치는 "전기차 기업들은 미국과 유럽의 보호무역 기조 등으로 인한 시장 구조 재편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수적인 시점"이라며 "가격 경쟁력 확보, 하이브리드 전략 강화, 자율주행 기술 도입 등 다각적인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고 밝혔다.

2025.02.12 17:24

2분 소요
쏟아지는 2025년 신차...구매 비용 아낄 방법은

자동차

2025년 을사년 새해를 맞아 다양한 신차가 출시되고 있다. 선택지가 많아진 만큼, 합리적인 자동차 구매를 위한 고민도 깊어진다. 이에 국내 최대 직영 중고차 플랫폼 기업 케이카(K Car)는 올해 첫 차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소식을 정리했다.현대차는 6년만에 풀체인지된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디 올 뉴 팰리세이드’와 완충 시 최대 532km를 주행할 수 있는 대형 SUV ‘아이오닉9’으로 패밀리카 시장 공략에 나섰다. 기아차는 페이스리프트된 준중형 SUV ‘더 뉴 스포티지’를 출시했으며, 준중형 세단 ‘EV4’와 준중형 SUV ‘EV5’로 전기차의 다양화를 꾀했다.중견 3사와 수입차 브랜드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르노코리아 준중형 SUV ‘세닉 E-Tech 일렉트릭’ ▲한국GM 쉐보레 중형 SUV ‘이쿼녹스 EV’ ▲BMW 준대형 세단 ‘뉴 550e xDrive’ ▲벤츠 ‘E350 e 4MATIC 위드 EQ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 ▲볼보 소형 SUV ‘EX30’ ▲아우디 중형 세단 ‘A6 e트론’ ▲포르쉐 중형 SUV ‘마칸 일렉트릭’을 출시한다.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신규 등록 승용차 평균 가격은 2023년 기준 4922만원으로 2019년(3620만원)보다 1302만원(35.9%) 상승했다. 올해도 이런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대표적으로 ‘디 올 뉴 팰리세이드’ 출고가는 기존 모델(익스클루시브 기준) 대비 487만원 상승했으며, 가격대는 4383~6424만원이다. ‘더 뉴 스포티지’는 2836~4107만원으로 기존 모델(프레스티지 기준)보다 212만원 오르는 등 연이어 가격이 인상되고 있다.‘세제 혜택’으로 ‘구매 비용’ 절감도 다양한 세제혜택을 활용하면 내 차 마련 부담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특히 신차와 중고차 상관없이 차량 구매 시에 부과되는 취득세 혜택은 꼭 확인해야 한다. 우선 다자녀 가구에 대한 자동차 취득세 감면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2자녀 가구는 2027년까지 취득세를 50% 감면 받을 수 있다. 단 6인승 이하 승용차의 감면 한도는 70만원이다. 3자녀 이상 가구는 2027년까지 취득세를 최대 100% 감면 받을 수 있다. 200만원까지 전액 면제되며, 200만원 초과 시 초과된 금액의 85%가 감면된다. 6인승 이하 승용차의 감면 한도는 140만원이다.신차에 적용되는 개별소비세의 경우 2027년까지 최대 300만원을 감면 받을 수 있다. 교육세와 부가가치세를 더한 감면액은 최대 429만원이다.친환경차에 대한 세제 혜택도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전기차 세제혜택은 2026년까지 연장됐다. 취득세와 개별소비세 감면 한도는 각각 140만원, 300만원이다. 개별소비세에 교육세, 부가가치세를 더해 최대 429만원을 감면 받을 수 있다. 생애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하는 만19~34세 청년은 국비 보조금의 20%(최대 116만원)를 추가 지원받게 된다.하이브리드차는 2026년까지 개별소비세 감면이 연장됐으나, 한도는 70만원으로 축소되었다. 교육세, 부가가치세를 더한 감면액은 최대 100만원이며, 취득세 감면은 폐지되었다.

2025.01.30 07:00

2분 소요
돌아온 트럼프…‘미국 우선주의’ 정책 본격화

산업 일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월 20일(현지 시각) ‘미국 우선주의 2.0’ 시대를 선언하며 백악관에 복귀했다. 2021년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패해 백악관에서 물러난 지 4년 만이다. 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그는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며 “임기 중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우 단순히, 미국을 최우선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한 것이다.주목할 점은 대선 시절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했던 공약을 관철할지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40개가 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바이든 행정부가 내렸던 행정명령 및 조치 78건을 철회했다. 이밖에 ‘보편 관세’ 부과 등 기존 정책을 변경하겠다고 언급한 것들도 많다. 이 가운데서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경제를 비롯해 우리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처들도 있다.트럼프 대통령이 전임 바이든 정부가 추진했던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비판하면서 한국 자동차·배터리 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기차 판매 목표치 기준을 철회하고, 환경 규제도 축소했다. 사실상 전기차 의무화 철회의 첫 단계를 밟은 셈이다. 그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50%를 전기차로 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도 폐기했다. 또 내연기관차의 판매를 제한하는 주(州) 정부 배출 규제를 적절할 경우 폐지해야 한다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이런 조치들은 미국에서 전기차 확산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평가된다.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그린 뉴딜(친환경 산업정책)을 종식하고, 전기차 의무화를 철회한다. (이는) 자동차 산업을 구하고, 위대한 미국 자동차 노동자들에 대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고 했다.이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세액공제) 등을 규정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기차 판매 목표치 기준을 없애고 전기차 충전소용 자금 집행도 금지하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판매 전망을 어둡게 했기 때문이다. IRA의 폐기를 위해서는 상·하원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현재 공화당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하고 있다. 현재 미국 상원은 공화당 52석, 민주당 47석(민주당 성향 무소속 포함)이고 하원은 공화당 219석, 민주당 215석이다.IRA는 전기차와 여기에 탑재하는 배터리를 대상으로 세액 공제 혜택을 주는 것이 핵심인데 이 정책이 폐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을 포함해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배터리 3사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IRA에 따라 배터리셀에 대해 ㎾h(킬로와트시)당 35달러, 모듈은 ㎾h당 10달러를 환급하는 제도를 통해 분기마다 최대 수천억원의 혜택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현대차그룹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가동한 미국 조지아주의 전기차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하이브리드차 생산을 병행하고, 올해 안에 생산량을 연간 50만대까지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보편 관세 부과 움직임…韓 기업들 전략 수정 불가피 ‘보편 관세’ 부과 움직임 역시 우리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10∼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할 것을 공언했고 중국에는 최대 60%의 추가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이 펜타닐(좀비 마약)을 멕시코와 캐나다에 보낸다는 사실에 근거해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1월 21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대중국 관세 부과 시점과 관련해 “아마도 2월 1일”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승리한 직후 멕시코와 캐나다가 불법 이민 및 마약 유입 방지에 노력하지 않는다며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했다.유럽도 ‘보편 관세’의 그물망을 피하지 못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과의 무역 적자 문제를 거론하면서 “중국은 미국을 악용하지만, 중국만 그런 것이 아니다. 유럽연합(EU)은 아주 아주 나쁘다(very, very bad)”고 말했다. 또 “그들은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they're going to be in for tariffs)”이라며 “그것이 (무역) 공정성을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조처는 그가 공언해 온 보편 관세 정책의 시작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미국의 관세 선전포고로 중국이 맞대응하는 경제 전쟁이 본격화할 경우 우리 정부와 기업이 가운데서 유탄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중국 견제가 강화되면 일부 우리 기업이 반사 이익을 볼 수 있지만, 중국의 대미 수출 둔화는 중국으로 중간재를 수출하는 우리 기업의 실적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가운데 85.86%가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부품 등을 포함한 중간재다. 한국은행이 2024년 발표한 ‘공급망 연계성을 고려한 대중국 수출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대로 관세가 인상되면 한국의 대중 수출 연계 생산이 6%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미국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멕시코를 통해 북미 지역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의 투자 전략도 수정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멕시코·캐나다 3국은 ‘무(無)관세’를 표방한 북미 협정(USMCA)을 맺고 있다. 멕시코나 캐나다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관세가 없다는 뜻이다. 이 정책을 이용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멕시코 케레타로와 티후아나에서 가전 공장과 TV 공장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LG전자는 레이노사(TV), 몬테레이(냉장고), 라모스(전장) 등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다. 기아는 몬테레이에서 연간 자동차 25만대를 생산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스텔란티스의 합작공장을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두고 배터리 모듈을 양산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도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함께 캐나다에 배터리 양극재 합작 공장을 건설 중이다. 이 기업들이 미국 관세를 염두에 두고 전략을 새로 짜야 하는 것이다.지난해 12월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 ‘트럼프 보편 관세의 효과 분석 : 대미 수출과 부가가치 효과를 중심으로’를 보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 확대와 보편 관세 부과 정책이 현실화할 경우 우리나라의 피해도 막대할 것이라는 분석이 포함됐다.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관세 10%, 중국은 60%를 부과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9.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멕시코·캐나다에는 10%, 중국은 60%, 한국을 포함한 그 외 국가들에 20%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우리나라의 수출 감소 효과는 13.1%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2025.01.23 10:00

5분 소요
현대차·기아, 지난해 친환경차 수출 역대 최대...70만대↑

자동차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해 친환경차 수출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수출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하이브리드차(HEV)와 전기차(EV) 등 친환경차 수출이 전년 대비 3% 증가한 70만7853대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이는 이전 최대인 2023년 수출을 넘어선 친환경차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이다. 27만여대를 수출한 2020년과 비교하면 160% 가까이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전체 수출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7% 수준에서 32% 이상으로 확대됐다.현대차·기아 친환경차 중 최다 수출 모델은 9만3547대가 수출된 현대차의 투싼 하이브리드였다. 현대차는 투싼 하이브리드에 이어 ▲코나 하이브리드 7만353대 ▲아이오닉 5 6만8227대 순으로 수출했다. 기아 수출은 ▲니로 하이브리드 6만9545대 ▲EV6 4만2488대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3만8297대 순이었다.특히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전년 대비 44.6% 증가한 39만7200대에 달했다. 전체 친환경차 수출 중 56.1%에 해당하는 실적이다.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글로벌 호평도 이어지고 있다.현대차 코나 하이브리드는 독일의 자동차 전문 매체 ‘아우토 빌트’(Auto Bild)가 진행한 비교평가에서 도요타의 코롤라 크로스 하이브리드를 넘어섰고, 기아 니로 하이브리드는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 평가 웹사이트 ‘카즈닷컴’이 발표한 ‘2023 최고의 차 어워즈’(2023 Best of Awards)'에서 경쟁 모델들을 제치고 최고의 차 자리에 오른 바 있다.현대차·기아의 지난해 전체 수출 대수는 218만698대, 수출액 533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대수, 수출액 모두 전년 대비 소폭 줄었지만,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수출 200만대, 수출액 500억 달러를 넘기며 양호한 실적을 이어갔다.현대차·기아가 기록한 수출액은 우리나라가 지난해 기록한 전체 수출액 6838억 달러 중 7.8%에 해당하며, 자동차 전체 수출액 708억 달러 중에는 75.4%에 달하는 규모다.차종별로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전체 수출 대수 중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SUV 비중은 69.1% 수준으로 150만6287대가 수출됐다. 현대차·기아의 최다 수출 모델은 23만1069대를 기록한 현대차의 아반떼가 차지했다. 현대차는 아반떼에 이어 ▲코나 22만2292대 ▲투싼 15만1171대 순으로 수출됐으며, 기아는 ▲스포티지 13만6533대 ▲모닝 11만4453대 ▲니로 11만4430대 순으로 수출됐다. 지역별로는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을 비롯해 아시아·중동·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으로 지역 다변화를 이룬 것이 특징이다.지역별 비중은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북미 55.6% ▲유럽 18.7% ▲아시아·태평양 9.1% ▲중동·아프리카 9.1% ▲중남미 5.2% 등으로 글로벌 전역에 수출되고 있다. 이로써 현대차·기아의 누적 수출 대수는 1975년부터 현재까지 5600만여대를 기록 중이다.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는 녹록지 않은 대내외 경영 환경 속에서도 친환경차 수출이 역대 기록을 경신하는 등 2년 연속으로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며 “앞으로도 본원적 제품·브랜드 경쟁력 강화, 유연한 생산·판매 체제 구축, 국내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수출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1.14 10:08

3분 소요
中, 지난해 전기·하이브리드차 판매량 41% 증가…역대 최대

산업 일반

중국의 지난해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전년보다 41%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9일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등을 한데 묶어 신에너지차로 분류한다.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내 승용차 판매량은 2310만대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4년 연속 성장세가 이어졌다. 이 가운데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1089만9000대로 전년 대비 40.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에너지차는 지난해 전체 승용차 판매량의 절반 수준인 47.6%에 달했다. 지난달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130만2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37.5% 증가했다. 로이터는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치열한 가격 경쟁과 친환경 차량 구매 보조금 지급으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전반적인) 자동차 판매가 2024년에도 성장 속도를 유지했다”고 전했다.중국내 전기차 판매 증가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 한 대당 2만위안(약 4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했는데, 660만대가 혜택을 받았다. 지난해 지급된 차량 보상판매 보조금의 60% 이상이 신에너지차에 지급됐다. 중국 정부는 내수 확대를 위한 소비재 보상판매 지원 강도와 범위를 올해 더 키우기로 했다.로이터 통신은 황빈 도이치뱅크 애널리스트의 말을 인용해 “차량 보상판매 보조금 프로그램으로 올해 연간 수요가 300만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도했다.

2025.01.09 22:40

1분 소요
K-배터리 3사 글로벌 점유율 20%도 깨졌다

산업 일반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K-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점유율이 20%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6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글로벌 전기차(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하이브리드차)에 탑재된 K-배터리 3사의 점유율이 19.8%를 기록했다.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2020·2021년 30%대를 기록했다. 이후 점유율은 하락하기 시작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24.4%, 2023년 23.5%를 기록했다. 1년 만에 3.7%가 더 떨어져 20%대 점유율도 지키지 못한 것이다. 기업별로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2023년 13.8%의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2024년에는 11.6%로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CATL과 BYD에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3위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는 테슬라·폭스바겐·포드·현대자동차그룹 등에 탑재되고 있다.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 등에 탑재된 SK온의 전기차 배터리 글로벌 시장 점유율 5위로 2023년 5.1%의 점유율을 보였지만 2024년에 4.5%에 그쳤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 7위를 기록한 삼성SDI는 2023년에 점유율 4.7%를 기록했고, 2024년에 3.7%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글로벌 점유율은 하락...배터리 사용량은 증가세K-배터리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해마다 하락하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의 성장세는 거침없다. 업계 관계자는 “안정적인 내수 시장과 가격이 저렴하고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는 게 중국 기업의 장점이다”라면서 “중국 정부의 지원까지 등에 업으면서 중국 배터리 기업이 여전히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점유율 1위 기업인 중국 CATL은 2023년 36.2%의 점유율을 기록했고, 2024년에는 36.8%로 성장했다. 2위에 오른 비야디(BYD)도 2023년 15.9%에서 2024년 17.1%의 점유율 성장세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줄어든 반면 배터리 사용량은 늘어났다는 점이 눈에 띈다. 국내에서는 ‘전기차 캐즘’이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여전히 전기차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총사용량은 2023년 85.5GWh를 기록했고, 2024년 91.4 GWh로 성장했다. 6.9% 정도의 사용량 증가세를 기록했다. SK온과 삼성SDI의 배터리 사용량 역시 2023년 각각 31.6 GWh·28.9 GWh를 기록했고, 2024년에는 각각 35.3GWh·28.9GWh의 사용량을 나타냈다. 한때 ‘넥스트 반도체’로 꼽혔던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드리운 그림자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불확실성이 커졌다. 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을 받기 위해 미국 현지에 제조 공장을 건설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에서 보조금 폐지나 축소 영향을 받을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위기경영 체제에 돌입하고, 지난해 SK온은 출범 이래 첫 희망퇴직까지 진행하기도 했다. K-배터리 3사의 위기감은 그만큼 크다. SNE리서치는 "단기적으로 중국을 제외한 주요 지역들의 성장세가 예상을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며 "자동차, 배터리 업체들은 전략 다각화와 기술 혁신으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5.01.09 05:00

3분 소요
미래에셋운용, 권선 세계 1위 에식스솔루션즈에 2900억 투자

증권 일반

미래에셋자산운용은 LS그룹 미국 자회사 에식스솔루션즈(Essex Solutions)의 2900억원 규모 투자 계약을 마무리했다고 5일 밝혔다.2024년 8월 에식스솔루션즈 투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미래에셋-KCGI컨소시엄은 프로젝트 펀드 조성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이달 3일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투자는 미래에셋-KCGI컨소시엄이 제3자 배정 유상증자 형태로 발행한 주식을 투자자가 인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이번 투자로 미래에셋-KCGI컨소시엄은 에식스솔루션즈 지분 약 20%를 취득한다. 이를 환산하면 에식스솔루션즈의 상장 전 시가총액은 약 10억달러, 한화 약 1조4500억원에 달한다.2008년 LS그룹이 인수한 에식스솔루션즈는 1930년에 설립된 미국 전선회사 에식스(Essex Wire Corporation)를 모태로 한다. 최근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중간 단계인 하이브리드차 수요가 확대되면서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통해 현재 글로벌 권선 기업 1위다.우량 투자처로 인정받으며 이번 에식스솔루션즈의 프리IPO(Pre-IPO)에는 싱가포르투자청(GIC), 베인캐피탈, 골드만삭스, IMM 등 굴지의 투자사들이 경쟁적으로 입찰에 참여했다.미래에셋그룹은 그동안 LS그룹과의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탄탄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최창훈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은 미래에셋PE의 전환점이 될 이번 투자를 직접 이끌었다.최 부회장은 에식스솔루션즈 미국 본사에 직접 방문해 최고 경영진과의 미팅을 진행하는 등 LS그룹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성공적인 계약 체결을 이뤄냈다.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내 1호 토종 PEF(사모펀드)를 선보인 이후 20여년간 PEF 투자 노하우를 쌓아 온 전통 강자다. ‘아쿠쉬네트 인수’ 등 국내 PEF 중 독보적인 글로벌 인수·합병(M&A)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HK이노엔’ 상장을 통해 성공적으로 투자 회수를 하는 등 엑시트 성과도 쌓이고 있다.지난해에는 PE부문 조직 개편을 통해 역량을 강화했다. 자회사인 대체투자 전문 운용사 멀티에셋자산운용과의 합병으로 자산 가치를 안정화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했다. 이번 에식스솔루션즈 투자를 통해 미래에셋PE는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적극적으로 신규 투자 기회를 발굴할 것으로 전망된다.최창훈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래에셋PE는 시장에서 또 하나의 의미 있는 사례를 만들게 됐다”며 “앞으로도 미래에셋은 ‘PE 명가’로서 글로벌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통해 시장 발전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2025.01.05 10:55

2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