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 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네댓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단락의 핵심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에 흐르는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한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이룬다면 하나의 단락은 소주제를 이룬다. 하나의 단락은 구조적으로 볼 때 대개 Topic Sentence(주제 문장)와 Supporting Details(뒷받침 문장), 그리고 Closing Sentence(맺음 문장)로 구성되며 의미의 흐름으로 볼 때는 기(Introduction) - 승(Development) - 전(Turn) - 결(Conclusion)의 형식을 따른다.
SKIMMING그런 구성을 머리 속에 그려놓고 글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어들을 찾아 그 틀 안에 집어넣으면 이해가 훨씬 쉽고 빨라진다. 그 핵심 주제어를 찾을 때 유용한 기법으로 skimming이 있다. 글의 제목과 내용을 대강 훑어보며 납작한 돌로 물수제비를 뜨듯, 하늘을 나는 새가 물고기를 낚아채듯 눈에 띄는 key words를 찾아내 빠르게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렇게 주제를 파악해 다시 공들여 읽을 만한 내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skimming을 할 때는 잘 모르는 단어나 문장구조의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정보 단위로 끊어 읽으며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 내려가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물론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요구하지만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을 모두 읽어야 하는 토플·토익·수능 시험 등에도 꼭 필요한 방법이다.
다음은 skimming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다.
첫째, 제목·사진·발문을 훑어보며 글쓴이의 의도를 추리한다.
둘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중심으로 읽어 내려가며 육하원칙의 각 요소를 파악한다.
셋째, 부사 등의 수식어, 부연 설명하는 문장,
직책, 숫자, 인용구 등은 과감히 건너뛴다.
넷째, 특히 중문과 복문은 문장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정보 단위로 읽는다.
다섯째,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주제의 핵심 단어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집중해서 읽는다
여섯째, ‘for example’ ‘in contrast’ ‘consequently’ 등
글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담화표지(discourse marker)에 주목한다.
일곱째, 그렇게 추려낸 키워드로 주제를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다음 문장을 skimming하며 키워드를 찾아 보자. (난이도: 중급)
유전자 변형 모기 vs 자연산 모기
GOD LIVES IN A LAB IN ARIZONA
For more than a century, people have battled malaria by fighting its carrier, the indomitable mosquito. But last month,
scientists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found a way to turn this blood-sucking enemy into a potential ally.
They performed the trick by altering the bug’s DNA, making it 100 percent resistant to the disease and shortening its life span enough to stymie the growth of malarial parasites. The next step would be to give this malaria-proof insect an evolutionary edge and release it into the wild, where it can conquer the world’s existing mosquito species.
Vocabulary
· carrier 매개체, 보균자
· indomitable 불굴의, 정복할 수 없는
· turn A into B A를 B로 전환하다, 탈바꿈시키다
· stymie 방해하다, 저지하다
· give an edge 우위에 서게 하다, 유리하게 하다
· the wild 야생, 자연
Clues 애리조나대 과학자들이 이 피를 빨아먹는 해충을 잠재적인 아군으로 돌려놓을 방법을 찾아냈다.
Tips ‘God Lives in a Lab in Arizona(애리조나의 실험실에 신이 산다)’는 비유적인 제목은
주제 파악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주제의 등장을 알리는 대표적인 안내표지
but으로 시작되는 둘째 문장으로 곧바로 넘어가 보자. 그동안 누차 강조했지만 but의 뒤에는
글의 주제를 이루는 최신 정보가 오는 경우가 많다. 지문에는 마침 last month까지 함께 쓰여
최신 정보가 뒤따라 등장하리라는 심증을 굳혀준다(8월 2일에 시판되는 뉴스위크에
실린 글이므로 last month는 최근 시점이다). “지난 7월 애리조나대 연구팀이 사람 피를 빨아먹는 해충인 모기를 잠재적인 아군으로 돌려놓을 방법을 찾아냈다”는 내용에서 제목의
‘애리조나 실험실의 신’은 곧 애리조나대 연구팀을 가리킨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연구팀이 창조주의 역할을 대신해 모기에 어떤 조화를 부렸다는 의미가 된다.
그렇다면 주제는 알아냈으니 이제부턴 편안하게 how의 답만 찾으면 된다.
지난주 이 란에서 첫 문장의 ‘have long ...’이 전체 기사의 배경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는데 이 단락에서도 for more than a century가 그 역할을 대신할 뿐 똑같은 패턴이다.
의미상으론 “오랫동안 …해 왔는데 최근 어떤 변화가 일어났다”는 형식이 된다.
이같은 기본 패턴 몇 가지를 머릿속에 기억해둔다면 문장의 주제를 파악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다시 말해 이 단락의 경우 제목을 본 다음에 곧바로 but으로 건너뛰어 주제를
먼저 알아내면 독해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는 말이다.
Inference 말라리아와의 싸움에서 그 매개체인 모기를 우리의 아군으로 돌려놓을 방법을 찾아냈다.
Chunking 이번에는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며 추론이 맞았는지 확인해 보자.
1 For more than a century, / people have battled malaria / by fighting its carrier, /
the indomitable mosquito.1세기 이상 동안 → 누가 무슨 일을 했나? → 사람들이 말라리아 퇴치에 힘써 왔다 → 어떤 방법으로 힘써 왔나? →
그 매개체와 싸우는 방법으로 → 매개체는 누구인가? → 불멸의 모기
2 But last month, / scientists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found / a way to turn this
blood-sucking enemy / into a potential ally.그러나 지난 달 → 누가 무엇을 했나? → 애리조나대 연구팀이 발견했다 → 무엇을 발견했나?
→ 피를 빨아먹는 이 해충을 바꿔놓을 방법을 → 무엇으로 바꿔놓나? → 잠재적인 우군으로
3 They performed the trick / by altering the bug’s DNA, / making it 100 percent
resistant to the disease / and shortening its life span / enough to stymie the growth / of malarial parasites.그들은 그 마법을 이행했다 → 어떤 방법으로 이행했나? → 모기의 DNA를 바꾸는 방법으로
→ 그래서 어떻게 됐나? → 모기를 말라리아에 100% 내성을 갖도록 만들었다
→ 그리고 어떻게 했나? → 수명을 줄였다 → 수명을 얼마나 줄였나?
→ 성장을 억제하기에 충분할 만큼 → 무엇의 성장인가? → 말라리아 기생충의 성장
4 The next step would be / to give this malaria-proof insect / an evolutionary edge /
and release it into the wild, / where it can conquer /
the world’s existing mosquito species.다음 단계는 → 무엇인가? → 이 말라리아 내성을 지닌 모기에 주는 과정 → 무엇을 주나?
→ 진화상의 우위를 → 그런 다음 어떻게 하나? → 야생에 풀어놓는다 → 그러면 어떻게 되나?
→ 모기가 정복한다 → 무엇을 정복하나? → 세계의 기존 모기 개체들을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싸이만 그랬을까?…비대면 마약류 처방 충격 실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숭용 감독, SSG와 2+1년 재계약...까닭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우원식 “7년 만에 봅니다” 인사에...김정은 의외의 반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준오헤어 품은 블랙스톤?…'대규모 투자' 두고 엇갈린 해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고바이오랩, ‘주사 대신 자연 GLP-1…비만 치료제 판도 흔드나[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