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독일의 “중대한 금기가 깨졌다”

독일의 “중대한 금기가 깨졌다”

나치의 전쟁범죄에 대한 죄의식으로 대중은 평화주의를 원하지만 유럽 최대의 경제강국되면서 정치인들은 해외 파병에 더 적극적
지난해 6월 독일군은 리투아니아에서 나토 연합군 훈련에 참가했다.
 GIVE WAR A CHANCE


As Germany’s global influence grows, politicians are more willing to deploy the military overseas in spite of lingering wariness of some voters.The deliberations by the German parliament in early December over sending troops to a foreign war were notable for perhaps one aspect above all: the ease with which Chancellor Angela Merkel’s government gained approval to deploy 1,200 German troops to help in the fight against the militant group that calls itself the Islamic State (ISIS). The government overwhelmingly won a vote in the lower house of parliament, or Bundestag, which must approve all military operations. The mission will constitute Germany’s largest current overseas deployment. Germany will provide logistical support and conduct reconnaissance as part of the U.S.-led coalition against ISIS, but German troops will not engage in combat.

Even opponents of the initiative seemed resigned to a move that just a few years ago would have been unacceptable to a majority of Germans. Stefan Liebich, responsible for the foreign policy of the Left Party, admitted on the eve of the vote that a protest his pacifist party had helped organize for that night had little chance of affecting the outcome. “I fear that Germany is becoming less and less willing to say no” to military engagements abroad, Liebich told Newsweek.

For decades, most Germans have been deeply skeptical about building up and using the country’s military. Germany started and lost two world wars in the 20th century, and many Germans feel the military should never again be involved in ventures beyond Germany’s borders. Debates in the Bundestag about sending troops abroad have often been long and rancorous. During the first Gulf War, German leaders decided against joining international allies in the fight against Iraqi leader Saddam Hussein.

But as Germany has grown into Europe’s largest and strongest economy, its leaders are increasingly open to responding to calls from allies to send troops to take part in military engagements abroad. The vote on Syria suggests that the public hostility to such missions seems to be waning. The Left Party’s protest near Berlin’s iconic Brandenburg Gate drew about 2,000 people but, as Liebich predicted, did little to sway members of the Bundestag, nearly 75 percent of whom voted on December 4 to support a campaign against ISIS in Syria.

After World War II, the victorious powers took steps to make sure Germany’s military would never again threaten Europe and the wider world. Allied powers embarked on a re-education process that taught Germans to be suspicious of their military, or Bundeswehr. The constitution limits the military’s activities to defense. “We, the Germans, have been rightly educated as being a pacifist society,” says Karl-Heinz Kamp, academic director of the Federal Academy for Security Policy in Berlin.

In 1992, Germany sent a small group of military medics to Cambodia, marking the first time it had sent troops overseas in the modern era, but for the most part the country practiced “checkbook diplomacy,” contributing financially to allies’ war efforts. But in 1995, after Bosnian Serb forces killed more than 8,000 Bosnian Muslim men and boys near the town of Srebrenica, Germans struggled with the decision of whether to get involved in a European war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nd of WWII. The debate in Germany was cast as a choice between “not another war” and “not another Auschwitz.” Germany contributed to the NATO mission with troops that provided logistical and medical help, billing the mission as a humanitarian operation.

Just a few years later, in 1999, Germany had to decide whether to join NATO partners in the Yugoslav province of Kosovo, this time without explicit authorization from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Germany again justified the mission on humanitarian grounds, but critics felt the decision to send ground troops and aircraft to keep the peace in southern Kosovo was overstepping the Bundeswehr’s strict mandate. This was a region, after all, where the Nazi Wehrmacht had been active. “It broke a major taboo,” says Liebich.

Since then, it has become harder for German leaders to say no to calls from NATO allies to join in foreign missions. It still has to convince the German public on a case-by-case basis — but that’s becoming easier.

In 2001, politicians initially justified sending 1,200 troops as part of the NATO force in Afghanistan as a deployment intended to stabilize the country rather than to engage in battle. While the mission drew heavy protests, Germans believed its troops would be building schools and training locals, says Klaus Naumann, a historian at the Hamburg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But when German troops began to come home in body bags (56 German soldiers have died in Afghanistan), Germans could no longer deny they were in a war.

Today, Germans are growing more accustomed to seeing their troops at war. Since 1992, it has been involved in more than 60 foreign operations, contributing equipment and troops to U.N. and NATO missions throughout Africa, Europe and Asia. About 40 percent of Germans polled in October by the nonprofit Körber Foundation say the country should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international conflicts, up from 34 percent this past January.

Roderich Kiesewetter, a member of parliament for the Christian Democratic Union, Merkel’s party, and a former general staff officer, believes Germany should be more involved in military engagements overseas, especially after the ISIS attacks in Paris in November, but he acknowledges that will require Germans to support increased military investment. Fifty-one percent of Germans surveyed in recent months support more military spending, up from 32 percent in 2014, according to the Bundeswehr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Rainer Arnold, a defense expert for the Social Democrat Party, says politicians still have to convince the German public of the merits of military operations abroad, but he believes Germans are more receptive because they increasingly see the military as a potential force for good. The legacy of the Nazis’ ultranationalism and their ensuing war crimes has long made many Germans hesitant about being publicly proud of their country. Sending German troops overseas, for most Germans, has to be about helping other people, not conquering them. “Patriotism will never inspire the German people,” Arnold told Newsweek minutes after he voted for the anti-ISIS operation. “I believe that is a rather good thing.”

- RENUKA RAYASAM
 독일의 “중대한 금기가 깨졌다”


나치의 전쟁범죄에 대한 죄의식으로 대중은 평화주의를 원하지만 유럽 최대의 경제강국되면서 정치인들은 해외 파병에 더 적극적
시리아-터키 국경 부근에 배치된 독일 방어 미사일. 1992년 이래 독일은 60건의 해외 작전에 참여했다.
지난해 12월 초 독일 분데스타그(하원)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해외 파병안을 표결에 붙였다. 수니파 급진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와의 전쟁에 협력하기 위해 독일군 병력 1200명을 시리아에 파병하는 그 안은 너무도 쉽게 통과됐다. 제2차 세계대전 이래 전례 없는 대규모 파병이다. 물론 독일군은 미국이 주도하는 연합군에 소속돼 병참 지원과 정찰 임무만 수행할 뿐 실제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몇 년 전만해도 독일인 대다수가 용납하지 않았을 그런 조치를 야당마저 받아들였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독일 좌파당(Die Linke)의 스테판 리비흐 의원은 표결 전날 자신이 주도한 반대 시위가 아무런 효과가 없다고 인정했다. 그는 뉴스위크에 “독일이 해외 파병에 갈수록 수동적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독일인 대다수는 지난 수십년 동안 군사력 증강과 무력 사용에 극히 회의적이었다. 지난 세기 독일은 세계대전을 두 차례나 일으켜 패배했다. 지금도 독일인 다수는 국경 너머의 분쟁에 독일군이 다신 개입해선 안 된다고 느낀다. 지금까지 해외 파병에 관해 분데스타그도 매우 회의적이었다. 예를 들어 독일은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권을 상대로 한 제1차 걸프전 당시 다국적군 합류를 거부했다.

그러나 독일이 유럽 최대 경제강국으로 부상하면서 정치인들이 해외 파병에 적극적으로 변했다. 분데스타그의 시리아 파병안 통과는 그런 임무에 대한 독일인의 반감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좌파당의 반대 시위에 약 2000명이 모였지만 리비흐 의원이 예측했듯이 의원들의 마음을 돌리지 못했다. 약 75%가 시리아 파병안을 지지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승전 연합국들은 독일 군사력이 유럽과 세계 전체에 다시는 위협이 되지 않도록 조치를 강구했다. 독일인에게 군국주의를 거부하도록 재교육했다. 헌법도 자위권만 인정한다. 독일 연방안보정책연구원의 칼-하인츠 캄프 소장은 “우리 독일인은 평화 반전주의자가 돼야 한다고 교육받았는데 그게 옳다”고 말했다.

독일은 1992년 소규모 군의관 부대를 캄보디아에 파견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최초의 파병이었다. 그 후에도 독일은 대부분 연합군의 전쟁에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수표 외교’를 택했다. 그러나 1995년 보스니아의 세르비아계 민병대가 스레브레니차 현지의 무슬림 청년 8000명 이상을 학살하자 독일인은 자신이 몸담은 유럽에서 발생한 전쟁에 개입해야 할지를 두고 고심했다. ‘또 다른 전쟁’이냐 ‘또 다른 아우슈비츠’냐의 논쟁이었다. 결국 독일은 인도주의 작전이라는 명분으로 나토군에 병참과 의료 지원 병력을 파견했다.

몇 년 뒤인 1999년 독일은 코소보 사태에서 나토군에 합류해야 할지 결단을 내려야 했다. 유엔 안보리의 명시적 개입 승인도 없었다. 결국 독일은 또 다시 파병을 승인하면서 인도주의를 명분으로 내세웠다. 비판자들은 코소보 남부의 평화 유지를 위해 지상군과 공군을 파견하겠다는 결정이 독일군이 지켜야 할 자위권 수준을 넘어선다고 봤다. 리비히 의원은 “그로써 중대한 금기가 깨졌다”고 말했다.

그 이래 독일 지도자들은 나토의 파병 요청을 거부하기가 더 힘들어졌다. 사안 별로 국민을 설득해야 했다. 하지만 그런 과정이 갈수록 수월해졌다.

2001년 독일 정치인들은 병력 1200명의 아프가니스탄 파견을 전투 개입이 아니라 평화유지와 안정화 임무라고 정당화했다. 함부르크 사회연구소의 역사학자 클라우스 나우만은 당시 반발이 거셌지만 독일인은 현지 주민을 교육하고 학교를 건설하는 임무라고 믿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에서 독일군 56명이 사망해 시신으로 돌아오자 독일인은 더는 전쟁 개입을 부인할 수 없었다.

독일인은 갈수록 해외 파병에 익숙해졌다. 1992년 이래 독일은 60건의 해외 작전에 참여했다. 아프리카·유럽·아시아에서 유엔군과 나토군 임무에 장비와 병력을 제공했다. 지난해 10월 비영리단체 쾨르버 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독일인의 약 40%가 국제 분쟁에 독일이 더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1월엔 그 비율이 34%였다.

독일군 작전참모를 지낸 독일 집권여당 기민당 소속의 로드리흐 키제베테 의원은 지난해 11월 IS의 파리 테러 후 독일이 해외 군사적 개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국방비 예산 증액에는 국민의 지지가 필요하다는 점은 인정했다. 분데스베르 사회과학연구소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독일인의 51%는 국방 예산 증액을 지지했다. 2014년엔 그 비율이 32%였다.

독일 사민당의 국방정책 전문가 라이너 아르놀트 의원은 독일군의 해외 작전에 따르는 이점이 뭔지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독일 국민이 선의를 위한 군의 잠재력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나치의 국수주의와 전쟁범죄에 따른 죄의식으로 독일인 다수는 지금까지 공개적으로 애국주의 표명을 꺼렸다. 지금도 대다수 독일인은 해외 파병이 정복이 아니라 현지의 국가재건을 돕는 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르놀트 의원은 독일군의 시리아 파병에 찬성표를 던진 직후 뉴스위크에 이렇게 말했다. “앞으로도 독일인은 애국심을 가질 수 없다. 그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RENUKA RAYASAM NEWSWEEK 기자 / 번역 이원기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DGB금융, 계열사 CEO 경영승계 교육 프로그램 실시

2“집값 떨어뜨린 부동산 안정화 정책, 사실상 1기 신도시 개발 뿐"

3반도건설, 프리미엄 주거 브랜드 '카이브 유보라' 출시

4한독, 인도 기업 바이오콘 비만 치료제 독점 유통 계약 체결

5차백신연구소-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백신 플랫폼 개발 협력

6 ‘주먹구구’ 부동산 대책이 불러온 결과

7 안희정, ‘비서 성폭행’ 손배소송 패소...“8400만원 지급하라”

8실시간 화상 수업 ‘노이지’ 6월 여름 학기 개강한다.

9중국 출입국자 1분기에만 1억 4100만명… 中 외교부 “외국인 방문 환영”

실시간 뉴스

1DGB금융, 계열사 CEO 경영승계 교육 프로그램 실시

2“집값 떨어뜨린 부동산 안정화 정책, 사실상 1기 신도시 개발 뿐"

3반도건설, 프리미엄 주거 브랜드 '카이브 유보라' 출시

4한독, 인도 기업 바이오콘 비만 치료제 독점 유통 계약 체결

5차백신연구소-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백신 플랫폼 개발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