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석의 ‘의예동률(醫藝同律)’] 웅담은 어혈 푸는 치료제
[윤영석의 ‘의예동률(醫藝同律)’] 웅담은 어혈 푸는 치료제

끊어질 뻔했던 한의업 맥 이어
평양의 춘원당은 금세 자리를 잡았습니다. 명의로 소문난 김춘성 선생의 처방법을 제대로 배웠을 뿐만 아니라 가전의 비방과 유주침법을 써서 병을 잘 고쳤으니 이것이 입소문을 탄 때문입니다. 해방이 되고 북한에 정부가 수립된 이후 윤종흠 선생은 북한 부수상의 가족 주치의를 맡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은 명의로 자리 잡았습니다.
6대 윤용희(尹容熙) 선생 역시 한의학의 길을 걷기 위한 준비를 차곡차곡 해나갔습니다. 선조들과 달리 근대교육을 받고 평양의전에 입학합니다. 그는 북한의 정치이념에 반대하는 입장이었고 반동분자로 낙인 찍혀 체포되기도 했습니다. 의전 2학년 재학 중에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1·4후퇴 때 아버지인 윤종흠 선생과 함께 잠시 몸을 피할 요량으로 월남합니다. 대부분의 피난민들이 그렇듯 한두 달만 있으면 집에 돌아가리라 생각하고 가족들과 헤어진 것입니다.
부자가 월남하면서 봇짐에 챙긴 짐은 세 가지였습니다. 선대부터 내려온 한의서 몇 권과 경혈도(明堂圖), 웅담 2개, 금 한 덩어리였습니다. 하지만 월남하는 중에 금덩어리는 짐을 수색하던 군인에게 빼앗기고 한의서와 웅담 2개만 부자와 함께 남쪽 땅을 밟았습니다. 이 물건들은 60년이 지난 지금도 춘원당한방박물관에 보관돼 내려오고 있습니다.
윤종흠 선생이 많은 물건 중 경혈도와 웅담을 챙긴 데에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춘원당의 자오유주 침법을 시술하려면 제대로 된 혈 자리를 알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썼던 경혈도가 꼭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춘원당에서 전해 내려오는 경혈도에는 명당도(明堂圖)라는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경혈이란 질병에 대한 오장육부의 반응이 피부에 나타나고 에너지가 모이는 반응점인데, 이를 그림으로 그려놓은 것이 경혈도입니다. 침구학의 경혈(침자리)이나 풍수에서 보는 묘혈(묏자리) 둘 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혈(穴) 자리이기 때문에 경혈도를 다른 말로 명당도라고도 했던 것입니다.
이들이 피난 온 1951년경이나 지금이나 한방에서 최고로 치는 약재 중 하나는 웅담입니다. 웅담은 곰의 쓸개를 말린 것인데, 1g만 써도 어혈을 풀거나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탁월한 약이기 때문에 봇짐에 넣어온 겁니다. 사실 같은 무게의 금보다 더 값어치가 있는 물건인 셈입니다.
그런데 웅담은 보약이 아닙니다. 열이 심하거나 경련이 있을 때, 교통사고나 타박으로 어혈이 심할 때에 쓰는 치료제입니다. 해독작용이 뛰어나기 때문에 간 기능이 떨어졌을 때나 담낭질환에도 씁니다. 체내의 각종 유해 성분과 독성 물질을 걸러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해독의 목적으로도 많이 씁니다. 또한 각막이 혼탁해지거나 충혈이 심할 때 0.1g만 생리식염수에 타서 눈에 넣어주어도 호전될 정도로 소염 효과가 좋습니다.
웅담의 색깔은 어두운 황갈색이고 무척이나 맛이 쓰고 비린내도 약간 납니다. 일반적으로 한번에 0.5g씩 복용하는데 소주 반 잔 정도의 뜨거운 물에 3시간 정도 녹였다 복용합니다. 사고 등으로 인한 어혈 치료에는 소주에 녹여 마시는 것이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모든 귀한 약재가 그렇듯이 웅담 또한 약효의 편차가 많습니다. 살아있는 곰의 쓸개에 링거바늘을 꼽고 강제로 추출해낸 담즙에는 담낭의 염증으로 인한 세균과 고름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외국의 관광지에서 구입한 웅담은 거의 대부분이 저급한 제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웅담은 CITES협약(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반드시 한의사에게 처방을 받고 복용해야 문제가 없습니다.
멧돼지 쓸개도 웅담과 비슷한 효과
윤영석 - 경희대 한의과대학을 졸업했다. 한의학 박사. 경희대 한의과대학 외래교수로 후학을 양성하면서 7대째 가업을 계승해 춘원당한방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한의학 관련 유물 4500여점을 모아 춘원당한방박물관도 세웠다. 저서로는 [갑상선 질환, 이렇게 고친다] [축농증·비염이 골치라고요?] 등이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피 결국 2,300 붕괴...환율은 1,487원 급등
2더퓨어랩, K-뷰티 수출 주도…올해 3000억 매출 넘본다
3종합외식기업 꿈꾼다...BBQ, 친환경 푸드 기업 ‘파티센타’ 계열사 편입
4롯데웰푸드 제로, 1년 만에 수출액 4배 늘었다
5“오감으로 즐기는 ‘프레시’”…오비맥주 카스, 팝업스토어 ‘카스 월드’ 연다
6우리은행, 해병대 2사단 자매결연 40주년 기념 위문 방문
7KB금융, 3년 연속 ‘MSCI ESG평가’ 최상위 등급 ‘AAA’ 획득
8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가상자산 흔들'…비트코인 3%↓
9글로벌 감사 전문 솔루션 팀메이트, ‘2025 G2 Best Software Awards’서 우수성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