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물가 전년 대비 2.6% 올라
9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
농축산물 가격, 국제유가 상승 영향
장바구니 들기가 무서워졌다. 지난 1월 0.6% 상승률을 기록한 소비자물가는 계속되는 농축산물 가격 상승 속에 지난 4월 2%대로 올라서더니 5월 2.6%까지 닿았다. 2012년 4월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46(2015년=100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6% 상승했다. 올해 들어 1월 0.6% 상승률을 기록한 소비자물가는 2월 1.1%, 3월 1.5%, 4월 2.3%로 꾸준히 올랐다.
전체 상품 가격은 1년 전보다 4% 상승했다. 같은 기간 농축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12.1% 뛰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작황 부진과 조류 인플루엔자(AI) 영향이 이어지는 탓이다. 지난 1월(10.0%) 이후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폭이다.

사과(60.3%)·마늘(53.0%)·배(52.1%)·고춧가루(35.3%)·상추(22.0%)·오이(21.9%)·고구마(12.2%)·국산쇠고기(9.4%)·돼지고기(6.8%)·닭고기(6.3%) 등도 상승폭이 컸다. 석유류 가격도 23.3% 올라 2008년 8월 이후 가장 크게 뛰었다. 휘발유는 23%, 경유는 25.7%, 자동차용 엘피지(LPG)는 24.5% 올랐다. 덕분에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두 품목의 물가상승 ‘기여도’ 합계는 1.8%포인트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6%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개인 서비스 가격이 2.5% 상승하는 등 서비스 영역도 물가 인상에 크게 기여했다. 보험서비스료(9.6%), 구내식당식사비(4.4%) 등이 상승을 이끌었다. 집세도 1년 전보다 1.3% 올라 2017년 10∼11월(1.4%) 이후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해 2분기 국제유가가 하락한 데 따라 올해 기저효과가 발생하면서 다음 달까지는 2%대의 상승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배동주 기자 bae.dongju@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사시대 창의성 담은 걸작"…'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됐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서현불패' 겸손 발언! "아직 부족하다" 까닭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창업 뛰어든 청년 사장님, 5년도 안 돼 무너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