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앞둔 바이젠셀, 미발행 스톡옵션이 총 발행주식 11% 달해
스톡옵션 대부분은 김태규 대표에게 부여… 오버행 우려는 크지 않아

29일 바이젠셀의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가 2018년부터 올해 3월까지 임직원들에게 부여해 아직 행사되지 않은 스톡옵션은 총 104만3630주다. 이는 IPO 후 바이젠셀의 예상 주식수(943만2400주)의 11.06%에 달한다.
IPO가 진행된 이후 임직원이 스톡옵션을 행사하면 회사는 보통주 신주를 추가 발행해 임직원에게 지급한다. 부여된 스톡옵션이 모두 행사되면 발행 주식수가 11%나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선 상장 후 대규모 신주 발행에 따른 주가하락 리스크가 생긴다. 증권가에선 바이젠셀의 스톡옵션 대부분이 창업자와 최대주주 간 경영권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시장에 풀려 주가하락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
실제 이 회사의 스톡옵션 중 큰 비중(전체 미행사 스톡옵션의 76%)이 이 회사 창업자인 김태규 대표이사에게 부여됐다. 가톨릭대 의과대학 교수인 김 대표는 기초 연구를 통해 임상적 효과를 확인한 선도적 면역세포 치료 기술을 바탕으로 2013년 바이젠셀(당시 옥셀바이오메디칼)을 창업했다.
김 대표는 상장 준비에 돌입한 2018년부터 회사로부터 스톡옵션을 받기 시작했다. 2018년 4만5770주, 2019년 52만9700주, 2021년 22만주의 스톡옵션을 받아 79만5400주의 스톡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김 대표는 스톡옵션 외에 회사 주식 45만7740주도 보유 중이다.
증권업계 및 바이오 투자업계에선 김 대표가 받는 스톡옵션이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바이젠셀은 지난 2016년 보령제약으로부터 투자를 유치, 한때 보령제약이 50% 이상의 지분을 확보했던 회사다. 바이젠셀은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중소기업 요건을 갖추기 위해 현재 보령제약의 지분율을 29.5%로 낮췄다. IPO가 완료되면 지분율이 23% 수준이 될 전망이다. 이에 반해 창업자인 김 대표의 지분율은 6.1%(IPO 이후 4.9% 예상)에 그친다.
바이젠셀은 이런 지배구조를 리스크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바이젠셀은 증권신고서에 “당사의 최대주주와 대표이사가 동일인이 아니며, 대표이사의 지분율이 낮기 때문에, 향후 최대주주 간 의사결정의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특정 주주의 경영권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고 명기했다. 예컨대 최대주주인 보령제약이 보유한 지분을 매각할 경우 창업자인 김 대표가 경영권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얘기다.
바이젠셀은 이런 위험에 대해 안전장치를 마련해 놓은 상태다. 먼저 보령제약은 의무보유확약 기간(1년) 종료 후 3년, 김 대표는 2년간 지분을 매도하지 않기로 했다. 이와 함께 보령제약과 김 대표 외 바이젠셀 임원 2인은 주주간계약서를 통해 의결권을 공동행사하고, 보유 주식 양도 시 주주간 계약 당사자에 우선매수청구권을 부여했다.
그럼에도 김 대표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가지려면 지분율을 높여야 한다. 김 대표에게 부여된 스톡옵션은 이를 위한 장치라는 게 업계의 해석이다. IPO 이후 바이젠셀이 임직원에게 부여한 스톡옵션이 모두 행사될 경우 김 대표의 지분율은 12% 수준이 된다. 최대주주인 보령제약은 21% 수준으로 떨어진다.
바이젠셀은 오는 8월 4일과 5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9일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8월 10일과 11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8월 중순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며,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과 KB증권이 맡았다.
최윤신 기자 choi.yoonsh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