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보험사기 유형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통원 등이 감소하면서 허위·과다사고 유형이 줄어든 반면, 보험금 편취가 쉬운 허위장해 등 단발성 보험사기가 늘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보험사기 중 허위·과다사고 유형이 65.8%(5914억원)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중은 전년대비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병원에 직접 방문하는 통원환자가 줄면서 허위입원 등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고의사고는 15.4%(1385억원), 자동차사고 피해 과장은 9.8%(878억원)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장해가 없음에도 장해가 발생한 것으로 위장하거나 장해정도를 부풀려 보험금을 청구하는 허위장해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보험금을 쉽게 청구하고 받을 수 있는 허위장해를 통한 단발성 보험사기가 늘었다는 얘기다.
적발자 유형 중에는 무직·일용직, 요식업 종사자의 비중이 증가했다. 2019년 무직·일용직, 요식업 종사자 보험사기 비중은 각각 9.5%(8766명), 1.8%(1668명)이었지만 지난해에는 각각 10.5%(1만338명), 2.9%(2890명)로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이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자 '생계형 보험사기'에 뛰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적발비중이 가장 높았으며(24.9%), 10∼20대 보험사기가 전년대비 18.8% 증가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