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없는 이익 냈는데"...임금협상 난항에 금융노조 "총파업 불사"
은행권 노사, '1.8%' vs '4.3·8.6%' 임금 인상률 놓고 입장차

임금협상을 둘러싼 은행권의 노사 갈등이 총파업으로 번질 조짐이다.
3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는 이날 '2021년 임단투 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실질임금 보장 등의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10만 금융노동자들의 총의를 모아 총파업 총력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현재 금융노조는 정규직(임금인상률 4.3%)과 저임금직군(8.6%) 간의 불합리한 임금격차 축소, 비정규직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연대임금 조성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사용자협의회 측은 1.2%의 임금 인상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에도 금융노조는 ▲영업점 폐쇄 중단 ▲금융공공성 사수 ▲임금피크제 폐지 ▲공공기관 혁신 지침 철회 ▲법정휴게시간 보장 ▲경영평가제도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금융권이 전례 없는 이익을 누리고 있는 상황에서 진행돼 온 노사간 교섭이 막다른 길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며 "4월부터 본격화된 2021년 임금협상이 난항을 겪어온 가장 큰 문제점은 사용자단체인 은행연합회 회장과 사측 교섭위원들의 시종일관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라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금융노조는 지난 3월 사측에 올해 교섭안건을 제출한 이후 노사 간 18차례 실무 교섭, 5차례 대표단 교섭, 4차례 대대표 교섭, 2차례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과정을 거쳤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금융노조는 "지난해 코로나19 위기를 맞아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 취약노동자들과의 연대를 위해 공무원 임금인상률보다 1%포인트 낮은 1.8%의 임금인상률에 합의했고, 인상분의 절반은 지역화폐,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지급받고 나머지 절반도 취약노동자 지원과 근로복지진흥기금 조성에 사용했다"고 강조했다.
금융노조는 오는 10일부터 온·오프라인 총파업 결의대회 등 올해 '임단투(임금단체협약 투쟁) 승리'를 위해 본격적인 투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공인호 기자 kong.inh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데이터 보안 기업 코헤시티,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열고 ‘넷백업’ 새 기능 발표
2 ‘EIF’를 보면 ‘K기업의 나아갈 길’이 보입니다.
3제주공항 이륙 전 에어서울 항공기 비상문 열려…에어슬라이드 작동
4美 하버드대, 트럼프 정책에 반기…13조원 지원 포기 왜?
5비트코인 1억2200만원대…트럼프 관세 유예 기대에 반등세
6코스피, 장 초반 2,460선 강세…자동차주는 급등, 상승 탄력은 제한
7이솔이, 암 투병 고백 후 가짜뉴스 多.."어떻게 해야 할지" 호소
8'충격' 박나래 이어 솔비도? "자택서 2억원가량 도둑맞아"
9"다음부터.." 박슬기, 항공사에 분노했다가 반성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