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YG 각각 주당 200원·250원 배당, 하이브는 1조 매출에도 0원
리오프닝에 따른 아티스트 컴백,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에 주가 ‘쑥’

에스엠은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인 7015억원의 매출을 냈다. 호실적을 내면서 주당 20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한다. 배당금 총액은 46억8000만원이다.
YG의 지난해 매출액은 3556억원으로 1년 전보다 39%, 영업이익은 506억원으로 370%가 늘었다. 엔터 사업을 기반으로 메타버스와 대체불가토큰(NFT) 등 신사업에서 성과를 내면서 호실적을 견인했다. 실적 개선에 지난 23일 보통주 1주당 2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YG는 2012년부터 배당을 이어왔지만 지난 2019년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후 배당을 멈췄다.
꾸준한 성장을 하는 JYP는 아직 배당 발표 전이지만 대형 엔터사 중에 유일하게 매년 배당을 하고 있다. 2018년부터 현금배당을 하는 만큼 이번에도 배당 가능성이 높다. 사실 배당금 기대가 높았던 곳은 방탄소년단(BTS)이 소속되어 있는 하이브다. 하이브 매출액은 지난해 방탄소년단의 음반 판매 호조와 미국 콘서트 흥행에 1조2577억원으로 전년 대비 58% 늘었다. 영업이익은 1903억원으로 30.8% 증가했다. 연매출 1조원을 넘긴 건 가요 기획사를 통틀어서도 최초다.
엔터株, 이달 들어 두 자릿수 상승

올해 엔터사들의 실적은 지난해보다 더 좋아질 가능성이 크다. 리오프닝(코로나19 이후 경재활동 재개)에 따른 콘서트 개최 등으로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발한 활동이 예상돼서다. YG는 위너와 아이콘에 이어 빅뱅, 블랙핑크 등이 컴백한다. 에스엠은 여성 아이돌그룹인 레드벨벳이, JYP는 3년 만에 내놓는 신인 걸그룹 엔믹스(NMIXX)가 선보인다. 하이브는 오는 3월 BTS의 서울 오프라인 콘서트가 예정돼 있고, 투모로우바이투게더·엔하이픈 등의 첫 오프라인 콘서트가 열린다.
증권업계에선 엔터사들의 주가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KB증권은 YG의 목표 주가를 기존 7만3000원에서 7만8000원, 메리츠증권은 6만9000원에서 7만3000원으로 올렸다. 하이브에 대해서는 증권사 대부분이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보고서를 낸 증권사 11곳의 목표 주가는 평균 약 43만원이다. 26일 종가 기준으로 하이브는 28만6500원이다. IBK투자증권은 에스엠 목표 주가를 11만원으로 유지했다. 에스엠 주가는 현재(26일 기준) 7만1400원이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케이팝 유포하면 사형"…북한, 韓문화 확산에 초긴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민아 "정말 뜨거웠다"…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4일 최대 70% 관세율 통보"…여한구 통상본부장 미국행(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