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값 상승요인, '시장 반영 못한 주택정책' 가장 높아
주택안정화 위해 정비사업 규제 완화, 공공주택 확대 실시해야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9명은 문재인 정부의 주택정책이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부동산학회와 함께 학회 소속 부동산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차기 정부 주택정책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92.8%가 지난 5년간 시행한 주택정책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잘했다는 응답 비율은 3.6%에 불과했다.

집값 급등의 요인으로는 49.1%가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주택정책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자금이 29.1%, 주거 선호지역 공급 부족은 14.5%로 조사됐다. 투기 수요에 따른 가수요 발생은 5.5%에 그쳤다.

중장기적인 주택 관련 세금 부과 방향과 관련해선 54.5%가 '보유세 강화·양도세 완화'라고 응답했다.
주택가격 안정화 시기를 묻는 말에는 58.2%가 2년 이후라고 전망했다. 특히 올해 서울 집값의 매매가격이 지난해 대비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 전문가는 전체의 61.8%에 달했다. 반면 하락을 전망한 비율은 34.6%였다.
다만 올해 비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하락한다는 전망이 우세했다. 응답자의 60%는 비수도권의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차기 정부는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주택시장을 정상화하고, 공공투자를 통해 서민을 위한 주거복지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두현 기자 kim.doohye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일동제약, 동전파스 ‘로이히츠보코’ 국내 정식 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권은비, 워터밤 여신의 당당한 셀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이주비 규제해 투기 막겠다"는 정부…'졸속 규제' 논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럽 동정적 사용은 ‘효과 입증’ 필수…젬백스, 알츠하이머 임상2상 성공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