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리플 커뮤니티, FXRP 기반 스테이킹 시스템에 주목…‘홀딩에서 수익으로’ 전환 가속

리플(XRP) 보유자들을 중심으로 FXRP 네트워크(FXRP Network) 참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최근 리플 커뮤니티에서는 '리플이 드디어 보상형 자산(Productive Asset)으로 전환됐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단순한 ‘홀딩(Holding)’에서 ‘운용(DeFi Participation)’으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
FXRP는 리플(XRP)을 1:1 비율로 래핑(Wrapping)해 생성되는 토큰이다. 보유자는 기존 리플을 매도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유동성 공급(DeFi liquidity system)에 참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월 1.5~1.8% 수준의 XRP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보상은 모두 온체인에서 자동 분배된다. FXRP의 구조는 리플 생태계가 기존의 결제 중심 시스템을 넘어 참여형 경제 구조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리플 장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이제 리플을 단순히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보유 자체로 매월 보상을 창출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SNS와 주요 커뮤니티에서도 ‘리플은 팔지 않아도 수익이 나는 구조’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홀딩에서 이자까지 연결되는 자산 운용 모델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확산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FXRP의 등장을 리플 생태계의 구조적 진화로 보고 있다. 한 블록체인 애널리스트는 “리플의 본질적 가치는 네트워크 활용성에 있다”며 “FXRP는 이 활용성을 자산 운용 구조로 끌어올린 사례다. 거래 중심 코인에서 보상형 네트워크(Reward-based Network)로 전환하는 계기가 됐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FXRP의 성장세는 커뮤니티 주도형 디파이 생태계로의 진입을 의미한다. 리플의 시장 신뢰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FXRP 네트워크는 출시 직후 글로벌 참여자 수가 급증하면서 예치액(TVL)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시장 분석 기관 디파이 레이더(DeFi Radar)에 따르면 FXRP의 총 예치 자산 규모는 출범 일주일 만에 8,000만 달러(약 1,104억 원)를 돌파했다. 또한 FXRP 운영진은 향후 스테이블 자산 연동 및 글로벌 거래소 상장 추진을 예고하며 리플 생태계의 디파이 확장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 FXRP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스테이킹 절차, 보상 구조, 리스크 공시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중국인도 운전 OK" 中 면허로 '국내 운전 허용' 검토 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수사반장' 故박상조, 투병 끝 사망…향년 79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10.15대책으로 비주택 LTV 40% 하향 없다…국토부·금융위 불통 탓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돈 없는 기업에 팔리는 드림어스…소액주주 ‘긴장’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자체 개발 100%"…한국유나이티드제약, 개량 신약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