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4100달러까지 돌파하는 등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투자 자금의 유입과 또 다른 안전자산인 국채에 대한 불안감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간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3.3% 오른 온스당 4133.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온스당 4,018.3달러로 거래를 개시한 금 선물은 장중 한때 4137.2달러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밤 뉴욕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우려가 완화되며 2% 전후로 치솟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 글에서 "중국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다"며 "그(시진핑 주석)는 자기 나라가 불황을 겪는 것을 원하지 않고, 나 역시 마찬가지다"라고 밝힌 덕분이다.
역사적으로 안전자산인 금 가격과 위험자산인 주가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지만, 최근에는 전 세계 물가 상승의 수혜로 금 가격과 주가가 함께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미중 갈등 완화에도 불구, 투기성 자금들의 유입이 지속되며 금이 4100달러를 상회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제 금 시세는 올해 들어 56% 급등했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 등 주요 투자은행(IB)은 금 가격이 온스당 48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주가와 동행, 달러와 금리의 절대 수준 등은 금에 우호적이지 않다"면서도 "현재 금 가격 상승의 핵심은 '유동성 및 국채 대용'의 가치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다른 안전자산인 국채가 무역 전쟁 등으로 불안감을 사면서 금이 대신 떠올랐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미국 경기침체가 본격화한다면 금 가격 상승세도 주춤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윤 애널리스트는 진단했다.
경기 위축은 통상 금 가격에 긍정적 재료이지만, 수요 감소로 물가 상승이 둔화한다면 투자자들이 금보다 채권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윤 애널리스트는 "역사적 강세를 시현 중인 금 가격은 유동성의 '탐욕'과 재정 신뢰성이라는 '공포'가 만들어낸 결과"라면서 "당분간 금 투자에 유리한 환경인 점은 인정하나 금리를 같이 볼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암 이어 자가면역질환까지"…현대ADM, 페니트리움 적응증 넓힌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김제동 근황 공개 “나 무시하냐” 발끈..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정부 합동대응팀 캄보디아 급파…李대통령 "모든 방안 강구하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MBK 국감 소환에 'PEF 긴장'…정책 리스크, 새 변수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의료AI 다크호스]"업무 효율·수익 동시에 UP"…와이즈AI, 성장 날갯짓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