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코스피 내리막 언제까지…증권가 “하반기 3000 탈환” 전망도
- 증시 부진으로 삼성전자·네이버·카카오 등 신저가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와 중국 공급망 해결이 우선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0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종목 2497개 중 종가 기준 52주 신저가를 경신한 종목은 총 503개였다. 전체의 20.1%로 상장된 종목 5개 중 1개는 신저가를 기록한 셈이다.
코스피·코스닥 상장종목 20%는 신저가
개미들의 사랑을 받은 삼성전자(6만4800원·4월 28일)와 국내 대표 성장주인 네이버(27만원·5월 12일)‧카카오(8만400원·5월 19일)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종가 기준 줄줄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이마트도 지난 19일 신저가인 11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시장도 예외는 아니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 16일 5만4000원, 셀트리온제약은 지난 19일 7만3900원으로 신저가를 경신했다.

시장에서는 금리인상 이슈가 일단락된 만큼 하반기엔 반등세를 보일 것으로 에상한다. 하반기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를 발표한 증권사 중 삼성증권(2500~3000), 한국투자증권(2460~3000), 한화투자증권(3000 재탈환), 케이프투자증권(2500~2900‧최상 시나리오 3000) 등 4곳이 코스피 3000 회복 가능성을 전망했다.

중국발 공급망 차질 해소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2분기 안에 끝나고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코로나19 확산을 제어한다면 공급망 차질 완화라는 최상의 시나리오에서 코스피 3000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유진투자증권, 2400~2500 보수적 전망도
하반기 반등이 쉽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IBK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는 코스피 범위를 2400~2850으로 내다봤다. 유진투자증권은 2400~2500으로 하단만 제시했다. 가파른 금리 인상, 물가 상승 우려가 크지만 이를 뒤집을 만한 호재가 보이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경제는 코로나19를 극복했지만, 내수는 코로나19 직전 수준에 그쳤다”면서도 “코스피가 하락할 만큼 하락했기 때문에 추가 하락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물가와 연준 긴축 우려가 선반영됐고 하반기엔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이지만, 미국 증시 하락과 경기 둔화 확대 가능성은 증시 상승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이라고 말했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