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에선 카드 안 받던데”…‘카드 불모지’ 두드리는 韓
우리카드, 인도네시아 할부금융사 인수
국민카드, 카카오페이와 동반진출 협약
롯데·신한카드는 기존 해외법인에 추가 투자
동남아, 현금 줄고 카드 사용 늘 전망
![](/data/ecn/image/2022/07/04/ecn4331c827-5ad2-4954-bf0c-1bda42c96ec5.jpg)
![](/data/ecn/image/2022/07/04/ecn862cc41d-f154-4628-aeb7-84cf49586b16.jpg)
우리카드는 올해 3분기 내 지분 인수 거래를 마무리하고, 인도네시아 법인을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미얀마 투투파이낸스’를 이은 두 번째 해외 자회사다. 첫 번째 해외 법인인 미얀마 투투파이낸스는 소액 대출업을 통해 설립 3년 만인 2019년 흑자 전환했으며, 지난해 1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2016년 개설 이후 27개 지점을 운영 중이다.
성장성이 높은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해외 영업망을 한층 더 넓히며 지속해서 글로벌 사업을 다각화한다는 게 우리카드의 계획이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국내 할부금융 노하우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금리의 신차 등 신규 할부금융 상품을 통해 현지 영업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먼저 진출한 우리소다라은행 등 우리금융그룹 그룹사와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성장에 속도를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data/ecn/image/2022/07/04/ecn6f15382b-079e-497a-bd38-5bd4a9368731.jpg)
KB국민카드 관계자는 “최근 동남아시아 국민의 디지털 수요가 증가하고 정부의 금융 포용성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며 “해외사업 경험을 축적한 KB국민카드와 검증된 디지털 역량을 보유한 카카오페이의 협업으로 신규 수익 발굴을 위한 안정적인 해외 진출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미 KB국민카드는 2018년 ‘KB대한 특수은행’을 통해 캄보디아 시장에 진출했고, 2020년에는 ‘KB 파이낸시아 멀티 파이낸스’로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여기에 지난해 2월 태국 여신전문금융회사 ‘제이 핀테크’를 인수하고, 사명을 ‘KB 제이 캐피탈’로 변경했다.
![](/data/ecn/image/2022/07/04/ecn02e556fe-a840-40bb-b629-f7a001a72317.jpg)
롯데카드 관계자는 “롯데 파이낸스 베트남은 운영 효율성 등에 집중해 예상보다 빠른 올해 9월에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롯데 파이낸스 베트남은 지난해 168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data/ecn/image/2022/07/04/ecn105402c6-7f47-420e-8f34-786ed58c4c27.jpg)
신한카드는 지난해 카자흐스탄 법인과 인도네시아 법인에 각각 553억원, 31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결정했다. 앞서 4월에는 카자흐스탄 법인과 베트남 법인에 각각 246억원, 183억원의 지급보증을 제공했다.
지난해 카자흐스탄에서 21억원, 인도네시아에서 26억원, 베트남에서 6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는 등의 성적을 냈다. 단 미얀마에서는 쿠데타 변수로 98억원의 손실을 보았다.
동남아, 아직 현금 사용 많지만 뛰어드는 이유
![](/data/ecn/image/2022/07/04/ecn06139593-36cf-4252-a2e1-f13a8587d78f.jpg)
베트남의 경우 2014년 15세 이상 국민 30.8%만이 보유하던 은행 계좌가 2020년 70%까지 높아졌다. 또한 베트남 정부는 ‘현금 없는 사회’를 내걸고, 전체 결제금액에서 현금 사용률을 2025년까지 8% 미만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아일랜드 시장조사 업체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지난 2020년 2억700만 달러(약 2663억원)에 불과했던 베트남 신용카드 할부액은 지난해 6억9710만 달러(약 8968억원)로 급증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동남아는 카드사 입장에서 무이자 할부 이용 등 신용카드 사용 비중이 늘고 있는 ‘이머징 마켓(신흥 시장)’”이라며 “현재는 진출 초기이므로 투자가 더 필요한 시기지만, 이를 넘어서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