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로 보는 경제 동향]
설치기기수 58만여대 3배 넘어

두 앱은 특히 수수료 차이가 크다. 음식점 입장에서 보면 민간 배달 앱은 수수료가 8% 안팎에 이르는데다 별도의 광고비도 지출해야 한다.
하지만 배달특급은 수수료가 1% 전후에 그치며 광고비도 없다. 게다가 배달특급 이용 시 주문 금액을 지역화폐로도 결제할 수 있다. 지역민이 지역화폐를 구입할 땐 할인도 받을 수 있다.

배달특급이 서비스를 처음 선보인 한 2020년 12월 대비 올해 7월 증감 추이를 비교한 결과 설치기기수는 19만2000여대에서 58만여대로 3배 넘게 늘어났다. 실행 횟수는 96만9000여회에서 230만7000여회로 2배 이상 증가했다.
TDI 관계자는 “방역 지침이 완화되면서 올해 소폭 증감 추세를 반복하고 있으나 높은 설치기기수 덕에 공공 배달 앱 중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꼽히고 있다”며 “하지만 민간 앱보다 여전히 낮은 인지도와 가맹점 수는 앞으로 극복해야할 과제”라고 말했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죽었으면 버려"...'여고생 성폭행 사망' 막을 수 있었다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0만원 돌려준다”…첫날 79만명 몰린 ‘상생페이백’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