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스·지하철 타러 가는 거리만큼 마일리지 적립
최대 1만9800원 절약 가능…저소득층은 혜택 더 커
후불형은 신한·하나·우리카드에서 발급 가능
주민등록 소재지 증명과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필수

알뜰교통카드는 보행 또는 자전거로 800m 이동했을 시 지하철·버스 등 교통요금의 지출액이 2000원 미만이면 250원, 2000~3000원이면 350원, 3000원 이상이면 450원의 마일리지가 적립된다. 단, 이는 최대 인정 거리(800m) 기준이며, 800m 미만이면 이동 거리에 비례해 지급된다. 쌓인 마일리지는 한 달마다 정산돼 캐시백된다.
1일 적립 횟수 한도는 없지만, 한 달엔 44회까지만 적용된다. 최소 1만1000원에서 최대 1만9800원까지의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셈이다.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일엔 마일리지가 2배 지급되니 확인해두면 좋다.
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이라면 마일리지 혜택 폭이 더 커진다. 도보·자건거 이동 거리 800m 기준 대중교통 1회 이용 건당 350~900원을 적립받을 수 있다.
여기에 카드사마다 대중교통비를 기본적으로 10~20% 할인해주기 때문에 교통비를 최대 30% 아끼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국토교통부는 설명한다. 실제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들은 연간 교통비 지출액의 22.8%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으론 1만4172원(마일리지 적립 9419원+카드할인 4753원)씩 아낄 수 있었다.

선불형 상품도 있다. 티머니 제로페이·모바일캐시비·DGB유패스원패스 등 3종류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티머니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서울시의 정책 변경으로 인해 신규가입은 중단됐다.
이처럼 알뜰교통카드는 혜택이 좋고 유용하지만, 사용 시 유의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다. 우선 실물카드 수령 후 스마트폰에 ‘알뜰교통카드’ 앱을 깔고 주민등록등·초본을 올려야 한다. 마일리지가 거주 중인 지방자치단체 예산으로 지급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마일리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15회 미만으로 적은 편이라면 카드사의 다른 대중교통비 할인 카드를 발급받는 편이 낫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美, 韓 근로자 구금 재발 방지에 “국토안보부·상무부 공동 대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JYP, 대통령 직속 문화교류위 공동위원장 내정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애플, 초슬림 '아이폰 에어’ 첫선…갤럭시 S25엣지보다 얇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수백억 차익' 배우 박중훈, 강남 오피스 '타워 432' 매물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태유 아이엠비디엑스 대표 “조기 검진 매출 급증…내년 분기 흑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