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삼바, 4공장 부분 가동 시작…글로벌 톱 CDMO 기업으로 한 걸음
- 4공장 완전 가동시 생산능력 60만ℓ 규모로 확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서도 생산 기지 확장 속도

삼성은 일찍이 바이오 사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낙점하고 관련 사업 부문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이에 따라 삼성의 바이오 사업 선두에 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8년 의약품 CMO 시장에서 손꼽히는 기업으로 자리를 잡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은 대부분 CMO에서 나온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1조원 이상.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실적을 포함하지 않고도 1조15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실적을 이끈 사업 부문은 CMO를 포함한 CDMO 부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상반기 CMO 부문에서 누적 수주 73건, 위탁개발(CDO) 부문에서 95건을 기록했다. 이 기간 CDMO 사업 부문에서 올린 제품 매출만 9389억원. 현재 공사 중인 4공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완공 전 수주에 나서 글로벌 제약사 5곳과 계약을 체결했고, 7개 제품을 생산하기로 했다.

2032년까지 바이오 사업에 7조5000억원 투자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CDMO 수요에 발맞추기 위해 인천 송도에 공장 부지를 더 확보했다. 특히 항체 의약품 CMO에 치중한 사업을 CDO 서비스, 메신저 리보핵산(mRNA)과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생산으로 확장해 글로벌 종합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새로운 부지에 만들어질 생산 기지는 제2바이오캠퍼스. 이곳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5, 6공장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특히 5공장은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바이오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 Modal)’ 형식의 생산 기지다. mRNA 및 CGT, 바이럴 벡터 등 새로운 기술 기반의 CMO 사업을 추진해 미래 성장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기 위해 글로벌 인수합병(M&A)에 나설 수 있다고 언급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해외 생산 기지를 직접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최근 존림 대표는 미국 현지 매체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사업이 대부분 미국, 유럽 등에 있는 점을 고려해 다양한 방향의 확장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유럽에 생산 공장을 짓거나 인수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내비쳤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생명공학 제품을 제국에서 생산하는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한 만큼, 대응에 나선 모습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텍사스와 노스캐롤라이나, 캘리포니아 등을 공장 설립 부지로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싸이만 그랬을까?…비대면 마약류 처방 충격 실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숭용 감독, SSG와 2+1년 재계약...까닭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우원식 “7년 만에 봅니다” 인사에...김정은 의외의 반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준오헤어 품은 블랙스톤?…'대규모 투자' 두고 엇갈린 해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고바이오랩, ‘주사 대신 자연 GLP-1…비만 치료제 판도 흔드나[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