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라인 확대한 신라젠, 새로운 연구개발 전략은
바실리아서 도입한 BAL0891, 내년 미국 임상 시작
SJ-600 시리즈, 항암 바이러스 생존율 높여 IV 투여

신라젠에서 연구개발 부문을 총괄하는 박상근 전무는 1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미국 댈러스, 뉴욕, 포트랜드에 있는 3개의 임상 기관에서 BAL0891의 임상 1상에 참여할 환자를 모집할 예정”이라며 “임상의 진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미국 현지의 임상 기관을 추가할 것”이라고 했다. 신라젠은 이달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BAL0891의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신청하고, 국내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임상 1상에서는 난치성 암세포주를 표적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혈액암(AML)을 비롯한 다양한 암세포주로 치료 대상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신라젠은 BAL0891와 함께 항암제 후보물질 펙사벡, SJ-600의 연구개발 현황도 공개했다. 임상 단계가 가장 앞선 파이프라인은 신장암을 대상으로 펙사벡과 면역관문 억제제인 리브타요(성분명 세미플리맙)를 병용 투여하는 임상이다. 이 파이프라인은 현재 임상 2상 단계로, 신라젠은 내년 3분기에 이 파이프라인의 결과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신라젠은 펙사벡을 흑색종, 전립선암 치료제로도 개발 중이다. 전립선암을 대상으로 한 파이프라인은 내년 1분기 호주에서 임상 2상에 진입한다는 목표다.
SJ-600은 신라젠의 항암 바이러스 플랫폼 GEEV를 적용한 항암 바이러스다. 기존 항암 바이러스와 달리 보체의 공격을 잘 견디게 만들어 정맥 투여(IV)할 수 있게 했다. 이날 SJ-600의 연구개발 현황을 발표한 오근희 신라젠 연구소장은 “SJ-600는 항암 바이러스의 외피막에 보체 조절 단백질 CD55를 발현시켜 항암 바이러스가 혈액 속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다른 항암 바이러스와 비교했을 때 GEEV 기술을 적용한 SJ-600 시리즈의 항암 바이러스는 혈청 내 생존율이 5배 높아, 더 많은 항암 바이러스가 종양에 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혈청 내 생존율이 높기 때문에 정맥 주사로 전신에 투여할 수 있어, 고형암뿐만 아니라 전이암에도 쓸 수 있다”며 “SJ-600 시리즈인 SJ-607은 전임상에서 다른 항암 바이러스보다 5분의 1 이하의 적은 양으로 동일한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신라젠은 SJ-607의 전임상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발표할 예정이다. 내년에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등에서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는 설명이다.
신라젠은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의 기술 이전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신현필 신라젠 전략기획부문 부사장은 “협력사가 약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되면, 초기 임상 단계에서 기술 수출하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며 “파이프라인의 연구 및 임상 성과가 나오는 시점부터 기술 이전을 지속해서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