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홀로 선 이병화 툴젠 대표, 다시 ‘기본’으로 [C-스위트]
- [CXO의 방] 이병화 툴젠 대표, 터 ‘基’ 근본 ‘本’
어려울 때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IP·신약 개발·종자 사업 목표 명확해”
CXO(Chief X Officer). 기업의 최고경영자인 CEO를 비롯해 CMO(마케팅), CTO(기술), CFO(재무), COO(운영) 등 각 기업의 분야별 최고책임자를 아울러 일컫는 말입니다. C레벨은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실력과 역량을 인정받아 C레벨의 자리에 오른 이들과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노력하는 예비 리더들과 함께합니다. ‘C-스위트(SUITE)’는 ‘CXO의 방’이라는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CXO가 머무는 공간을 글과 사진으로 보여주는 콘텐츠입니다. 기업을 이끄는 리더의 비전과 전략이 탄생하는 공간, ‘C-스위트’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고 성공의 꿈을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편집자주]

이 대표가 잠시 홀로서기를 했던 지난 2020년 당시만 해도 회사가 마주한 과제는 ‘상장’이었다. 회사는 지루하게 이어지는 특허 분쟁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신약을 개발했고,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을 준비했다. 툴젠은 유전자 가위 기술인 CRISPR-CAS9의 원천기술을 개발해 주목받았지만, 현재까지도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다른 기관들과 특허를 둘러싼 갈등을 이어가고 있다.

기업을 이끌어가기 위해 추진해야 할 과제가 명확한 만큼 다른 곳에 눈을 돌리지 않고 기업이 나아갈 방향에 집중하겠다는 뜻이다. 툴젠은 특허 분쟁이 마무리되는 대로 원천기술을 중심으로 한 지식재산권(IP)과 신약 개발, 종자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 이 대표는 “이전 상장 당시에 가장 주목했던 것은 시장이 툴젠의 위기를 무엇으로 보느냐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줄이고, 수익의 원천과 사업 모델의 강점을 강조해 상장에 성공했던 것처럼, 지금도 명확한 목표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라고 역설했다.

이병화 대표는_1967년생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장기신용은행(KB국민은행과 합병) 등에서 10여 년 동안 금융업무를 경험했다. 이후 마크로젠에 지난 2000년 합류해 해외법인에서 유전자 분석 사업을 추진했다. 분자 진단 기술 기업인 엠지메드에서는 대표로 회사를 코스닥시장에 입성시켰다. 지난 2019년 툴젠의 대표이사에 올라 기업 성장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워런 버핏 없는 버크셔해서웨이도 승승장구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원정 관중 전원 기립박수...'와이스 8이닝 무실점' 한화, 33년 만에 12연승 행진 [IS 고척]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돌아온 金 떠나는 韓…물 건너간 반(反) 이재명 빅텐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가해진 회사채 발행 시장…자금 조달 나서는 리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개미 지옥'되는 바이오벤처의 초기 신호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