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세상에 없던 혁신 기술”...현대·기아 전기차, 공간 더 넓어진다
- 주요 구동 부품 휠 내부로 집어넣어 공간 활용성 등 극대화
실내 늘리거나 배터리 추가 탑재할 수 있는 여유 공간 생겨

현대차·기아는 28일 서울 중구 명동 소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유니휠 테크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현장에는 유니휠을 연구개발 중인 박종술 수석연구위원과 임우현·김기석·민경철·이대인·이여해 책임연구원 등이 함께 했다.
‘유니휠’은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Universal Wheel Drive System)의 약자다. 중앙의 선 기어와 좌우 각 4개의 피니언 기어, 그리고 가장 바깥쪽의 링 기어 등으로 이뤄진 특수한 유성 기어 구조를 띈다. 모터가 만든 동력이 선 기어로 전달되면 피니언 기어들이 맞물려 링 기어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링 기어는 최종적으로 휠까지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원리다.
유니휠의 주요 콘셉트는 전기차의 주요 구동 부품인 감속기, 드라이브 샤프트(동력 전달 축), 등속(CV) 조인트(동력 전달 장치)를 모두 휠 안에 삽입한다는 것이다. 모터는 소형화시켜 각 휠에 인접하게 배치한다.
이렇게 되면 차량 내 새로운 공간이 창출된다. 기존 구동 시스템의 경우 양쪽 휠 사이에 모터, 감속기 등이 배치돼 공간 손실이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유니휠로 새롭게 확보한 공간(양쪽 휠 사이 공간)에는 배터리를 추가 탑재해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다. 짐 칸이나 탑승 공간을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한 모터를 쓰더라도 더 많은 힘을 낼 수 있다는 점도 유니휠의 장점 중 하나다. 유니휠은 기어 조합에 따라 6~10까지 감속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구동 모터가 전달하는 것보다 6~10배 높은 토크를 휠에 전달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대차·기아는 유니휠이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높은 공간 활용성과 저상화 설계를 추구해야 하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부문에서 큰 진가를 발휘할 것이라는 게 현대차·기아 측 설명이다. 유니휠을 통해 구현되는 플랫 플로어 플랫폼은 PBV에 강력한 유연성과 확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바디 타입 설계를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또한 유니휠은 기존 전기차에 필요한 동력원 및 감속기 기능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일반 승용 및 고성능 전기차 등 모든 종류의 전기차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차량뿐 아니라 휠체어, 자전거, 배송로봇 등 다채로운 모빌리티에도 적용 가능하다. 유니휠의 경우 대상에 따라 최소 4인치부터 최대 25인치 이상의 휠에 탑재할 수 있도록 자유자재로 크기가 조절된다.
유니휠은 기존 구동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임이 분명하다. 다만 이 기술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종술 수석연구위원 “유니휠 기술이 태동한지 약 2년 반 정도 됐으며, 총 3단계 중 2단계에 해당하는 개발이 막 끝났다”며 “아직 상용화를 논하기에는 이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터를 2개로 분리함에 따라 모터 1개가 들어가는 것보다는 가격 측면에서 더 비쌀 것으로 예상된다. (상용화 시) 고급차에 먼저 들어갈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더블유에스아이, ‘유봇’으로 의료로봇 도전장[인베스트 바이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준호♥김지민 오늘 결혼…하객 수에 '깜짝'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의대생 ‘전원 복귀’ 선언에…교육부 “대학·관계부처와 논의 필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