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환율 치솟으니 밥상이 흔들...‘물가 쓰나미’ 온다

[유통가 덮친 고환율]①
원·달러 환율 1480원까지 기록…원자재 의존도 높은 유통산업에 타격
식품·뷰티 브랜드, 가격 인상 줄지어…수익성 악화·소비 심리 위축 이중고

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원·달러 환율이 1480원을 돌파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유통업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소비자 가격 인상 압박이 커져 불경기 중 물가 상승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서다. 이 같은 원가 상승과 소비 심리 위축이라는 이중고를 극복하기 위해 업계 전반에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7일 원·달러 환율은 1480원을 돌파했다. 환율이 장중 1480원을 넘어선 것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인 2008년 11월 27일 이후 16년 만이다. 새해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기는 했으나, 여전히 1450원대(1월 7일 종가 1454.5원)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의 이 같은 환율 급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단연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목된다.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가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준 것이다. 대개 정치적 불안정성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이는 외환시장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계엄 선언 1개월 전인 지난해 11월 4일 원·달러 환율은 1376원이었지만, 계엄 직후인 같은 해 12월 3일에는 1417.5원으로 급등했다.

문제는 환율 상승이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기업들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이는 곧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연결될 개연성이 크다. 특히 원유·철광석 등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들은 환율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웰스파고·노무라은행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은 오는 3분기까지 환율이 1450~1500원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며, 정치적 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환율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최근 3개월 원·달러 환율 추이
‘샐러드, 드레싱 없이 먹어야 하나…’

이처럼 환율이 치솟는 상황에서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높은 유통업계에도 그림자가 드리웠다. 특히 식음료 업계가 매우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밀가루·설탕·식용유 등 주요 원자재의 3분의 2가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현실에서, 환율 상승이 제조 원가를 빠르게 끌어올리는 상황이다. 밀가루의 경우 자급률이 채 1%에 불과하다.

실제 대상은 오는 1월 16일부터 청정원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등 소스류 가격을 평균 19.1% 올린다. 프레시마요네즈(300g) 가격은 대형마트 기준 3100원에서 3380원으로 9% 인상된다. 순후추(50g)는 3680원에서 4380원으로 19% 오른다. 여기에 드레싱류 가격은 평균 23.4%나 인상된다.

오리온은 앞서 12월 초코송이·오징어땅콩 등 13개 제품 가격을 평균 10.6% 인상했으며, 해태제과도 홈런볼·포키 등 10개 제품 가격을 평균 8.6% 올렸다. 동아오츠카는 이달 포카리스웨트·데미소다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 인상하는 등 평균 6.3% 올렸고, 오뚜기는 업소용 딸기잼 가격을 최대 10% 인상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잼이 진열돼 있다. [사진 연합뉴스]
서울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이모 씨는 “파스타를 즐겨 먹어 마트에서 파스타 소스를 사려고 보니 예전에 비해 가격이 많이 올랐다”며 “파스타 소스처럼 직접 만들 수 있는 것은 구매를 자제하고 필수품만 사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주요 식품 업체들도 제품 가격 인상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품업체들은 통상 3~4개월간 원자재 재고를 비축해서 당장은 버틸 여력이 있다”면서도 “현재는 비축 원료를 사용하고 있지만, 고환율이 지속되면 소비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것은 명확하다”고 설명했다.

고환율로 인한 비용 부담으로 기업들의 실질적인 이익 감소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내 최대 식품업체인 CJ제일제당의 지난해 3분기 보고서에서 원·달러 환율이 10% 오를 경우 세후 이익이 141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당시 CJ제일제당이 적용한 원·달러 환율은 1352원이었다. 만일 환율이 1500원까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10% 넘게 오른 것이므로 이익 감소는 불가피하다.

뷰티·패션도 ‘울상’…가격 인상 불가피

뷰티업계 역시 고환율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화장품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수입의존도가 70%가 넘고, 포장재 또한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들여오기 때문이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환율 상승으로 원료 수입 비용이 증가한 것이 사실”이라며 “뷰티업계도 식품업계처럼 전반적으로 판매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설화수 자음 2종. [사진 아모레퍼시픽]
실제 아모레퍼시픽은 자사 프리미엄 브랜드인 설화수 가격을 오는 3월 인상한다. ▲자음수(150㎖·6만8000원) ▲자음유액(125㎖·7만2000원) ▲탄력크림(50㎖·9만원) 3개 품목을 리뉴얼하는 동시에 가격 인상도 나서는 것이다. 인상률은 아직 결정되진 않았지만 6~8% 수준으로 알려졌다.

LG생활건강의 브랜드 오휘는 이달 1일부터 ‘더퍼스트 제너츄어 심마이크로 에센스’ 가격을 17만원에서 17만5000원으로 올리는 등 더퍼스트·웰메이드·포맨 등 주요 라인의 화장품 가격을 최대 5000원 인상했다. 프라임·미라클 모이스터 라인 일부 제품도 2월 1일부터 가격을 올린다.

패션업계 또한 사정이 다르지 않다. 해외에서 원단과 부자재를 수입해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아 환율 급등이 곧 비용 부담으로 직결되는 셈이다.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 해외 본사의 가격 정책에 따라 국내 판매 가격을 조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난처한 상황이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업계가 계속되는 경기 악화에 이상고온 현상으로 대목인 겨울 매출이 급감한 가운데, 고환율까지 겹쳐 3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불경기일수록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 가격을 올리기 힘든 구조 속에서 업계 전체가 수익성 악화를 걱정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고용강세에 금리인하 기대감↓…뉴욕 증시도 긴장

2역대 최고치 찍은 '국제 커피 지수'...커피값 어디로 가나

3‘뉴스테이’부터 ‘장기민간임대주택’까지 정부가 주도한 임대사업

4기후플레이션 심화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5“계엄·탄핵정국, 환율 고공행진”...유통가 생존 전략은

6외국 큰손들이 기업형 임대주택 투자에 나선 이유는?

7환율 치솟으니 밥상이 흔들...‘물가 쓰나미’ 온다

8톱스타 대거 출연한 '오징어게임2'...배우 리스크도 그만큼 컸다

9정치는 정치대로, 경제는 경제대로

실시간 뉴스

1美 고용강세에 금리인하 기대감↓…뉴욕 증시도 긴장

2역대 최고치 찍은 '국제 커피 지수'...커피값 어디로 가나

3‘뉴스테이’부터 ‘장기민간임대주택’까지 정부가 주도한 임대사업

4기후플레이션 심화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5“계엄·탄핵정국, 환율 고공행진”...유통가 생존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