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뒤늦은 비토르 토큰 지급 논란
6년 간 쌓아둔 비토르 토큰 5억7000만개…지급 시기·기준 논란
일부 물량 지급 제외 가능성도…업비트·코인원은 정기 지급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가상자산 수십억원어치를 수년 만에 지급하면서, 지급 방식과 시기를 둘러싸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빗썸은 지난 20일 비체인(VET)의 가스 토큰인 비토르(VHTO)를 6년 만에 고객들에게 지급했다. 빗썸이 비토르 토큰을 지급한 건 비체인 거래를 지원하기 시작한 2018년 4월 이후 처음이다. 그동안 이를 고객들에게 지급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재무제표에도 관련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비트로 토큰은 비체인 재단에서 발행하는 가상자산으로, 비체인 홀더에게 주어지는 보상이다. 만약 비체인 홀더가 재단이 미리 설정한 노드 구성 최소 물량과 기간을 충족하면 비토르 토큰을 에어드롭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는다.
빗썸이 지난 6년동안 비체인 홀더들에게 돌려주지 않고 자체 지갑에 쌓아 둔 비토르 토큰은 총 5억7400만개에 이른다. 이를 21일 비토르의 시세로 환산할 시 29억원 수준이다. 과거 최고점 기준으로는 약 240억원에 달한다.
빗썸의 늦은 토큰 지급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가상자산 시장 내에서 흔히 이뤄지는 ‘에어드롭’이 법리적으로는 무상증자된 주식 또는 이익배당된 금원 형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특히 비체인의 경우 코인의 보유 개수에 따라 노드가 구성돼, 단순 보유만으로도 비토르 토큰 보상을 받는다. 이에 해당 비토르 토큰 물량이 비체인 실소유주인 고객들에게 지급돼야 했으나, 그동안 이뤄지지 않았다.
비토르 토큰의 가격이 지난 6년간 등락을 반복했던 것을 감안하면 빗썸의 비체인 홀더들에게는 뒤늦은 에어드랍이 더욱 아쉬움으로 남는다. 지난 2018년 7월 비토르 토큰의 가격은 47원으로, 21일 현재가보다 약 9배 높은 가격에 형성돼 있었다. 2021년에도 매물대가 20원 내외에서 형성된 바 있어, 만약 당시에 비체인 홀더들이 비토르 토큰을 지급받았다면 지금보다 더 큰 이익 실현이 가능했다.

일각에서는 보상 물량에 대해서도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빗썸은 2018~2025년 내 비체인을 보유한 고객들에게 비토르 토큰을 지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구체적인 스냅샷 주기 등 세부 지급 기준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에 스냅샷이 이뤄지지 않은 물량에 대해서는 비토르 토큰 지급이 제한돼, 고객들이 지급받고 남은 토큰 잔량이 빗썸의 자산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민법상 지체상금이나 지연배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빗썸이 지난 6년간 비토르 토큰을 지급하지 않은 것이 채권·채무 관계의 불이행으로 해석될 수 있는 까닭이다.
이 밖에 업비트, 코인원 등 타 국내 원화거래소들이 꾸준하게 비체인 홀더들에게 비토르 토큰을 지급했던 점도 비교된다. 업비트는 지난 2020년 4월부터 매주 에어드랍을 진행해, 지금까지 총 257회 비토르 토큰 지급이 이뤄졌다. 코인원도 지난해 4월부터 에어드랍을 시작해 지금까지 총 11회 비토르 토큰 지급을 진행했다.
그간 빗썸을 이용하는 비체인 홀더들은 비토르 지급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을 터트려 왔다. 가상자산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다른 거래소는 다 주는데 빗썸만 안 준다’ 혹은 ‘빗썸이 다 꿀꺽한 거 아니냐’는 등의 항의글이 발견되기도 했다. 빗썸의 비체인 홀더는 약 14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빗썸이 에어드롭 문제로 이용자와 갈등을 겪은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빗썸은 지난 2018년 이오스(EOS) 코인의 재단에서 진행한 에어드롭을 이용자들에게 지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고객들과 갈등을 겪었다. 당시 법무법인 동인은 빗썸을 대상으로 기획 소송을 준비했으나, 저조한 참여율로 인해 실제 법정 분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빗썸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공식적인 답변을 내놓을 수 없다" 입장을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넷플, 매일 5시 예능 공개한다는 데"...일일 예능제, 성공할까?
2노바이 챌린지와 매드맨 전략
3'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4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5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6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7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8"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9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