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외국인 근로자, 한 달 얼마 벌까…주로 '이곳'서 일한다
- 주 40~50시간 근무…단순노무 종사자 많아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결과-체류자격별 외국인의 한국생활'을 보면 지난해 5월 기준 15세 이상 국내 상주 외국인은 156만명으로, 연령대별 비중은 15~29세(29.7%), 30대(27.7%), 40대(15.5%)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수준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51.2%, 300만원 이상이 37.1%를 차지했다. 비전문취업의 70.8%, 전문인력 50.5%, 결혼이민 46.6% 등은 200만~300만원 미만을 벌었다.
영주(55.2%), 재외동포(46.1%)는 300만원 이상이 가장 많고, 유학생은 100만~200만 원 미만 비중이 48.3%였다.
외국인의 한국어 실력 평균은 3.4점이고 체류자격별로 영주(4.3점), 재외동포(4.2점), 방문취업(3.8점) 순이었다. 비전문취업(2.8점), 전문인력(2.8점)은 낮았다.
외국인의 한국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4.3점으로 집계됐다. 비전문취업(4.4)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방문취업·유학생·재외동포는 4.2점으로 평균보다 낮았다.
차별을 경험한 외국인은 전체의 17.4%였으며 체류자격별로 특히 유학생(27.7%)이 높았다. 주된 차별 이유로는 비전문취업을 제외한 모든 체류자격에서 '출신 국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비전문취업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주된 차별 이유로 꼽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4일 최대 70% 관세율 통보"…여한구 통상본부장 미국행(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민아 "정말 뜨거웠다"…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SKT “5000억원 규모 고객 보상안...해지고객 위약금 면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