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4월 거래량 3천 건대로 ‘뚝’…서울 아파트 거래 얼어붙나
- 토허제 강화 후 매매·전월세 거래 동반 하락…“올해 거래 3월이 ‘상투’ 가능성”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는 총 3191건으로 전월(9675건) 대비 67.0%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647건)보다는 31.3% 줄었다.
올해 2∼3월 거래가 급증하고 신고가가 속출했던 강남3구(서초·강남·송파)는 3월에서 4월로 넘어오며 ▲송파(865건→63건) ▲강남(802건→37건) ▲서초(410건→11건) 모두 거래가 크게 감소했다.
4월 마지막 거래일 기준으로 실거래 신고가 완료되려면 아직 한 달가량이 남았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확대·재지정 여파로 4월 거래량이 다시 3천 건대로 떨어지거나 많아도 5천건 대를 벗어나지 못하리란 관측이 나온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3천 건대에 머물렀다. 고금리 기조와 주택담보대출 강화에 지난해 7월(9225건)을 정점으로 급락했다. 그러다 올해 2∼3월 강남권의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이 잠시 해제되면서 2월 6462건, 3월 9675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88.1%, 47.7% 늘었다.
거래량은 3월 기준으로는 2020년 7월(1만1139건) 이후 4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1분기(1만9376건) 기준으로는 2021년 1분기(1만3799건)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았다.
그러나 4월 들어 거래가 줄면서 매매뿐 아니라 전월세 거래도 떨어지는 모습이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지난달 9011건으로 전월 대비 32.8% 감소했다. 월세 거래는 총 6324건으로 23.1% 줄었다. 전세와 월세 거래는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평균 거래 금액을 보면 지난달 매매는 10억7674억원으로 전월 대비 21.7% 하락했다. 전세 보증금은 평균 5억4882만원으로 1.6%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대선 이후에도 주택 담보 대출 규제나 금리 상황에 따라 거래 하락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한다. 부동산시장 관계자는 “대선 이후에도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시행하면 거래가 떨어질 것”이라며 “주택 시장을 주도하는 강남3구와 용산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을 보이고 있어 3월 거래량이 올해의 상투일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국은 끝났다” 섬뜩한 경고…국내외 석학 머리 맞댄다[ESF2025]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故강지용 아내, 시댁 폭로 후 심경 고백...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자 가상대결, 이재명 우위…한덕수 선호도↑[리얼미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DN솔루션즈 상장 철회는 시장 탓일까 과한 몸값 탓일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 월간 맥짚기]기업가치 평가 시험대 열렸다...주인공 누가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