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美, 1㎏ 금괴에 고율 관세 부과…스위스 금 수출 타격
- 뉴욕 금 재고↑·런던 공급 부족 사태 우려

특히 세계 최대 금 정제 국가인 스위스가 39%의 고율 관세를 맞게 되면서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의 지난달 31일자 통관 결정서를 확인한 결과 1kg 금괴와 100온스(약 3.1㎏) 금괴가 관세 부과 대상으로 분류됐다고 8일 보도했다.
CBP의 이 같은 결정은 업계의 예상과 다른 결과다. 금 관련 업계는 1㎏ 금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하는 관세에서 면제될 것으로 기대해왔다.
1㎏ 금괴는 세계 최대 금 선물 시장인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가장 널리 거래되는 형태다. 스위스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금도 대부분 이 형태다.
스위스는 미국으로부터 39%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아 비상이 걸린 상태다. 세관 자료에 따르면 금은 스위스가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이다.
스위스 귀금속 제조 및 거래 협회의 크리스토프 빌트 회장은 이런 관세 부과 결정은 스위스와 미국 간 금 무역에 '또 다른 타격'을 가했다면서 관세로 인해 금 수급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하기 전에 금 거래업자들은 혹시 있을지 모를 관세를 피하기 위해 올해 초 금을 미국으로 대거 이송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뉴욕상품거래소의 금 재고가 크게 늘었고 경쟁 시장인 런던에서는 일시적인 금 부족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대형 금괴는 스위스에서 다양한 형태로 주조되며, 런던과 뉴욕에서 주로 거래된다.
런던 시장에서는 벽돌 크기의 400 트로이 온스(약 11.34㎏) 금괴가, 뉴욕 시장에서는 스마트폰 크기의 1kg 금괴가 많이 거래된다.
금 가격은 올해 27% 상승해 한때 트로이 온스당 3천500달러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 우려와 미국 정부 부채 급증, 미국 달러화 지위 약세 등이 금 가격 급등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스위스는 작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2개월 동안 미국에 615억 달러어치 금을 수출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찬원, 트렌드를 이끄는 아이코닉 스타 1위 [일간스포츠X팬캐스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슈, 눈물의 도박 해명…'오늘 다 말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다음은 퀄컴"…삼성 빅테크 추가 수주 기대감 커진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년간 배당 늘린다더니…고려아연, 중간배당 생략한 배경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엔허투 SC' 임상 다음달 개시…알테오젠, 글로벌 ADC 개발 판도 바꾸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