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K-콘텐츠 열풍에 관광객은 폭발…면세점은 '텅장'"
- 1인당 구매액 4년 새 1/6 토막

1일 한국면세점협회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면세점 매출액은 9199억4652만원으로, 작년 7월 1조65억268만원보다 8.6% 줄었다.
같은 기간 구매 인원이 236만3113명에서 258만339명으로 9.2% 증가한 것과 상반된다.
이에 따라 매출액을 구매 인원수로 나눈 1인당 면세 구매액은 42만6000원에서 35만6000원으로 16.4% 감소했다.
'다이궁'(보따리상) 매출 비중이 높았던 2021년만 해도 263만4000원에 이르던 1인당 면세 구매액은 2022년 164만5000원, 2023년 62만3000원, 작년 50만원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올해 1∼7월 1인당 면세 구매액은 43만4000원이다.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며 객수 자체는 늘었으나 구매액은 지속해 감소하고 있다.
지난 7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작년 동기보다 23.1% 늘었고 면세점에서 물품을 구매한 외국인 수도 관광객 수 증가폭과 비슷하게 25.1% 늘었다.
그러나 구매액은 오히려 14.2% 감소했다.
지난 6월과 비교해도 구매 인원은 2.2% 늘었으나 구매액은 22.1% 줄었다.
업계는 면세점의 부진을 소비 패턴의 변화에서 찾는다.
핵심 쇼핑 명소에 있는 올리브영 등의 매장들이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체험존 운영, 결제 편의성 제공 등의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반해 상대적으로 한정된 공간과 상품을 갖춘 면세점의 매력이 근원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2분기 신라·신세계면세점이 작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한 것과 달리 올리브영과 무신사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것도 이런 해석에 힘을 싣는다.
업계 관계자는 "문화산업에서 한국의 위상이 많이 올라가고 있지만 쇼핑 행태가 변하면서 면세업종은 과거보다 어려워져 '생존의 위기'에 놓였다"며 "내달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는 것을 계기로 콘텐츠와 마케팅을 강화해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싸이만 그랬을까?…비대면 마약류 처방 충격 실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숭용 감독, SSG와 2+1년 재계약...까닭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우원식 “7년 만에 봅니다” 인사에...김정은 의외의 반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준오헤어 품은 블랙스톤?…'대규모 투자' 두고 엇갈린 해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고바이오랩, ‘주사 대신 자연 GLP-1…비만 치료제 판도 흔드나[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