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왓츠앱 前 보안책임자, 메타에 소송…"직원 1500명, 사용자 민감정보 접근 가능"
- 계정 해킹·개인정보 관리 부실 주장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왓츠앱에서 보안 책임자를 지낸 아타울라 베이그는 최근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에 메타를 제소했다.
왓츠앱은 메타가 2014년 190억 달러에 인수한 SNS 플랫폼으로 현재 사용자는 30억 명에 달한다. 메타는 암호화 등 왓츠앱의 보안 기능을 강화했다고 해왔다.
베이그는 그러나 소장에서 2021년 왓츠앱 보안 책임자로 합류한 뒤 보안 점검을 하면서 직원 1500명이 이용자의 프로필 사진과 위치, 그룹 멤버십, 연락처 목록 등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매일 10만 개 이상의 계정이 해킹당했음에도 메타는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았고 자신의 보안 개선 제안도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22년 10월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메타 최고경영진에 사용자 피해 사실을 알렸지만, 회사는 오히려 자신을 보복성 인사 조치 끝에 지난 2월 해고했다고 강조했다.
베이그는 메타의 이런 조치는 2019년 당시 페이스북이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맺은 개인정보 합의 및 증권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증권법은 기업이 주주에게 보안 등의 리스크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그는 "사용자들이 직면하는 피해가 너무나 크다. FTC와 증권거래위원회(SEC)에도 이 문제점을 알렸다"며 "이 소송은 메타에 책임을 묻고, 사용자들의 이익을 최우선에 두기 위한 것"이라고 제소 이유를 밝혔다.
이어 "메타를 수십억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꿈의 직장이라고 생각했지만, 메타는 사용자를 단지 대시보드 속 숫자로만 본다"고 말했다.
메타의 내부 고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1년 페이스북 프로덕트 매니저를 지낸 프랜시스 하우겐은 메타가 10대 청소년에게 해로운 제품을 고의로 만들었다고 폭로하며 수천 쪽의 내부 문서를 미 의회에 제출하고 증언한 바 있다.
최근에는 전현직 직원 6명이 가상현실(VR) 플랫폼에서 아동 안전이 위협받았다고 의회와 규제 당국에 제보했고, 전 정책 책임자 사라 윈 윌리엄스는 고위 임원들의 성희롱 의혹 등을 폭로하는 책 출간을 시도하다 메타의 법적 대응에 막히기도 했다.
메타는 그러나 그동안 이런 주장을 부인해 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금투자 ‘잭팟’ 노리는 투자자들…‘여기’ 몰렸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노시환은 노려서 칠 것인가 공 보고 공 칠 것인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하루 만에 주가 3000% 폭등…'월드코인' 베팅한 '이 회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이런 M&A가 어딨냐”…고팍스 전 경영진-바이낸스, 국제분쟁 돌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태유 아이엠비디엑스 대표 “조기 검진 매출 급증…내년 분기 흑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