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네이버, 컬리와 손잡았다..."사용자 단골력 높일 것"
- 네이버 커머스, 친사용자 생태계로 확장...빅브랜드 협업 확대
장보기 플랫폼부터 물류·멤버십까지 그로서리 유저 단골력 강화

네이버는 9일 네이버스퀘어 종로에서 ‘네이버 커머스 밋업’을 개최했다. 행사는 인공지능(AI) 기술과 전략적 빅파트너십을 중심으로 네이버가 만들어갈 단골력 생태계 및 방향성을 소개하는 자리다.
오프닝 세션을 맡은 이윤숙 네이버 쇼핑사업 부문장은 “그동안 네이버 커머스는 판매자 중심의 기술·정책·교육 등 친판매자 중심 전략으로 성장해왔다”며 “AI 커머스 시대에서는 그간 친판매자 생태계 경험을 기반으로 친사용자 생태계까지 성장해나가며 사용자 단골력을 높이기 위해 빅브랜드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일환으로 넷플릭스에 이어 프리미엄 장보기 시장에서 가장 풍부한 사용자층을 가진 컬리와의 파트너십을 시작했다”고 컬리와의 협업 배경의 의미를 강조했다.
네이버와 컬리는 사용자의 반복구매와 정기구독 비율이 높은 장보기 플랫폼·멤버십·새벽배송을 중심으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 ‘컬리N마트’를 설계했다. 컬리N마트에서는 스마트스토어의 인기상품과 컬리의 신선식품을 새벽배송을 통해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 특히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은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 배송 받을 수 있다. 또 이달 초부터 컬리의 물류자회사 컬리넥스트마일이 네이버 NFA에 합류해 스마트스토어 상품의 새벽배송도 시작했다.
양사의 협업은 컬리가 가진 독보적 상품 큐레이션 역량 및 안정적인 물류 시스템과 네이버가 보유한 폭넓은 사용자층과 개인화 기술 및 마케팅 인프라가 서로 융합돼 시너지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새로운 협력의 모델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윤숙 부문장은 “네이버는 컬리와의 협업을 통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신선식품 DB와 프리미엄 장보기, 새벽배송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일관된 장보기 경험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OTT·그로서리·모빌리티 등 사용자 단골력 중심 생활 밀착형 분야에서 대표적 리더십과 로열티를 가진 파트너 중심으로 협업을 넓혀나가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전략적 제휴 측면 외에도 기술 프로덕트 관점에서 사용자 단골력을 키워가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이하 네플스)의 개편 방향성에 대해 공개했다.
정경화 네플스 프로덕트 리더는 “네플스는 가격 뿐 아니라 배송 속도·리뷰·멤버십 혜택 등 복합적인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개인화 추천을 고도화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단골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신뢰도를 나타내는 주문이행·배송·CS 등의 판매자 활동들도 개인화 추천 과정에 반영하고 판매자 성장 지표도 새롭게 그룹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네플스의 개인화 추천 프로덕트들도 더 고도화된다. 올 하반기 네플스 홈 첫 화면에 개인화 추천 영역을 전면 확대하고 사용자 잠재 맥락과 파생의도를 정교하게 분석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상품과 스토어 단위까지 맞춤형 추천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네이버는 이날 새로운 파트너십도 공개했다. 네이버는 9월 말께 글로벌 택시 호출 플랫폼 ‘우버 택시’(Uber Taxi)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우버 택시의 멤버십 서비스 ‘우버 원’(Uber One)을 연계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동성제약 나원균 모친 이경희, “믿었던 동생에게 배신당했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노시환은 노려서 칠 것인가 공 보고 공 칠 것인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박진영 대중문화교류위원장 "K팝 특별한 기회 살려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이런 M&A가 어딨냐”…고팍스 전 경영진-바이낸스, 국제분쟁 돌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태유 아이엠비디엑스 대표 “조기 검진 매출 급증…내년 분기 흑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