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두나무, 웹3 인프라 ‘기와’ 공개…“새로운 글로벌 표준 될 것” [UDC2025]
- 레이어2 메인넷으로 짧은 블록타임과 저렴한 수수료 제공
“확장성·신뢰성·유동성·편의성 등 모든 면 충족”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 두나무가 자체 웹3 인프라 프로젝트 ‘기와(GIWA)’를 공개하며 글로벌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25(UDC 2025)’에서 송원준 두나무 크립토 프로덕트 리드는 “기와는 한국에서 출발해 글로벌에 제시하는 웹3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기와체인은 옵티미스틱 롤업 기반의 레이어2 메인넷으로 짧은 블록타임과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한다. 금융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온체인 베리파이’를 통해 기관 서비스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업비트가 보유한 자산·시세 데이터를 오라클로 제공해 금융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그는 “1000년간 한 장 한 장이 쌓여 단단해지고 지붕을 완성한 기와에서 영감을 받았다”며 “확장성과 신뢰성, 유동성, 편의성 네 가지가 맞물릴 때 웹3의 대중화를 이끌 수 있는데 기와는 모든 면에서 이를 충족한다”고 밝혔다.
이어 “레이어2 프라이빗 네트워크 실험, 이메일 기반 월렛, 블록체인 추첨 기술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왔다”며 “블록체인이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경험을 꾸준히 연구해온 과정이 기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업비트는 약 1200만명의 가입자와 80조원의 수탁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3조8000억원에 달하는 스테이킹 자산이 더해지면서 충분한 생태계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송 리드는 이러한 기반이 스테이블코인과 다양한 디지털 자산의 활용도를 넓히는 핵심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함께 공개된 ‘기와월렛’은 셀프 커스터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편의성을 높였다. 다자간계산(MPC) 기술을 활용해 ▲이메일 로그인 ▲드라이브 백업 ▲아이디 기반 송금 서비스 ‘기와 아이디’ ▲온체인 신뢰 증명 기능 ▲거래소·온체인 자산을 통합 확인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뷰 기능 등을 제공한다.
행사장에서는 기와월렛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GIWA’ 전시 부스에서는 데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참가자들이 입·출금을 시연해 보고 업비트 계정과 연동해 자산을 관리하는 기능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일부 참가자들은 기와아이디를 활용한 간편 송금과 포트폴리오 뷰 기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웹3 지갑의 활용 가능성을 체감했다.
송 리드는 “기와는 한국에서 출발해 글로벌로 확장할 웹3 인프라”라며 “가장 신뢰받는 거래소 업비트와 함께 웹3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현대차, 임단협 잠정합의…"하반기 위기 극복 공동 노력"(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JYP, 대통령 직속 문화교류위 공동위원장 내정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통령실 인사수석 신설…대중문화교류 공동위원장에 박진영 발탁(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수백억 차익' 배우 박중훈, 강남 오피스 '타워 432' 매물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태유 아이엠비디엑스 대표 “조기 검진 매출 급증…내년 분기 흑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